NEWS & THESIS

영상 기술이 5,000년 전 핀란드 암벽화를 드러내다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0. 28. 10:02
반응형

 

[아스투반살미Astuvansalmi 위치] 

 

Bing 지도

여러 위치를 찾고, 환승/도보/운전 방향을 확인하고, 실시간 교통량을 보고, 여행을 계획하고, 위성, 공중 및 3D 이미지를 봅니다. Bing 지도를 다양하게 이용하세요.

www.bing.com

 

핀란드 리스티이나Ristiina에 위치한 아스투반살미Astuvansalmi는 북유럽 국가에서 가장 큰 선사 시대 암벽화 컬렉션을 보유한다.

요베시 호수Lake Yövesi를 마주 보는 절벽에서 동물, 사람, 그리고 추상 인물 등 약 80여 점 암각화가 발견되었으며, 그 연대는 약 5,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동핀란드 대학교 연구진은 첨단 영상 기술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아직 표면 아래 숨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암벽화를 발굴하고 있다. 

핀란드 리스티이나에 있는 아스투반살미 선사 시대 암벽화. 출처: Ohto Kokko / Xanara; CC BY-SA 4.0


이 프로젝트는 고고학, 컴퓨터 과학, 그리고 영상 분석을 통합하여 유적을 전례 없는 수준으로 상세하게 기록한다.

초분광 카메라를 사용하여 연구진은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색소 구성의 미묘한 차이까지 관찰할 수 있다.

고해상도 이미지를 통해 과학자들은 붉은 황토의 다양한 색조를 구별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술가들이 서로 다른 페인트 혼합물을 사용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체 암벽은 파노라마 기가팬(GigaPan) 사진, 3대의 카메라 스캐닝 장비, 그리고 매터포트(Matterport) 3D 스캐너를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기록 중이다.

접근하기 어려운 곳은 초분광 카메라와 시스템 카메라로 촬영하고, 날씨가 좋을 때는 드론 촬영을 활용한다.

수집된 모든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되어 그림의 정확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생성한다.

이 디지털 사본을 통해 오랜 세월 혹독한 환경 조건을 견딘 섬세한 예술 작품을 분석하고 보존할 수 있다. 

연구원들은 게임 기술을 활용하여 고대 풍경을 복원하고 있다.

수천 년 전 사이마Saimaa 호수 수위는 더 높았으며, 선사 시대 예술가들은 얼음 위나 배 위에서 그림을 그렸을 가능성이 높다.

과학자들은 수위를 이전 상태로 가상화하여 당시 환경을 시각화하고 미발견 암벽화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위치를 찾아낸다. 

이 새로운 이미징 기술은 최근까지 존재하지 않았다. 사진 속 인물들은 베이코 미에티넨(Veikko Miettinen), 라미 사리코르피(Rami Saarikorpi), 드미트리 세메노프(Dmitri Semenov)다. 출처: 동핀란드 대학교


안료에는 연대 측정이 가능한 유기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진은 황토와 지방, 달걀 흰자, 또는 피를 섞은 실험용 물감 혼합물을 재현하여 고대 유화액의 작용과 노화 과정을 연구했다.

이 실험을 통해 선사 시대 물감의 구성과 도포 기법을 원본 작품에 손상 없이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인공지능은 침식으로 가려진 희미한 모티프와 반복되는 형태를 감지하는 데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신경망Neural networks은 알타Alta나 무르만스크Murmansk와 같은 북부 지역 다른 암각화 유적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형태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지역 간 양식적 연관성을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과학자들은 신중한 입장을 취한다.

관련 없는 데이터 세트로 훈련된 AI 모델은 이를 문화적 또는 연대적 차이로 잘못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핀란드 리스티이나의 아스투반살미 선사 시대 암벽화. 출처: 오토 코코; CC BY-SA 3.0


디지털 보존은 발견 외에도 아스투반살미 예술을 대중에 공개한다.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박물관 방문객은 암벽화 환경을 3D로 재구성하여 수천 년 전 모습 그대로 그림을 감상할 수 있다. 


More information: University of Eastern Finlan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