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호미닌 화석의 보고 오모-투르카나 분지, 인골 통합 데이터 구축
오모-투르카나 분지 화석 목록, 초기 호미닌 기록 조각 모음에 도움
by Krystal Kasal, Phys.org

오모 강Omo River이 아프리카 투르카나 호수Lake Turkana로 흘러드는 오모-투르카나 분지Omo-Turkana Basin는 아프리카 호미닌 진화 연구에 가장 귀중한 세 지역 중 하나다.
1960년대 이후 이 지역에서 많은 대규모 연구가 수행되어 인류 진화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기여했다.
프랑수아 마르샬François Marchal이 이끄는 연구진은 1967년부터 2022년까지 출판된 117건 자료를 통합해 이 지역 호미닌 화석에 대한 완전하고 포괄적인 목록을 작성하고, 초기 호미닌 진화와 공존을 특징짓는 패턴을 분석했다.
이 연구는 Journal of Human Evolution에 게재되었다.
풍부한 호미닌 화석의 보고
케냐와 에티오피아 일부 지역에 걸친 이곳 동아프리카 오모-투르카나 분지는 700만 년에서 78만 년 전까지 아프리카 호미닌 화석 기록 약 3분의 1을 담당한다.
서부, 동부, 북부 세 주요 지역에서 총 658개체 호미닌 표본 1,231점이 수집되었다.
그러나 연구 저자들은 이러한 귀중한 연구 자료가 단편화한 상태라고 지적한다.
이전 목록은 특정 장소, 분류군 또는 해부학적 부위에 집중했기에, 이 모든 정보를 더욱 포괄적인 방식으로 통합할 필요가 있었다.
"국경을 가로지르는 이 분지의 지리적 위치와 여러 국제 연구팀의 연구 역사는 이 분지의 주요 지역에 걸쳐 데이터가 분산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저자들은 "출판된 모든 호미닌 화석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이 분지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간주하여 1) 지리적 및 역사적으로 발견의 역사와 상대적인 화석 풍부도, 2) 메시니아기부터 칼라브리아기에 이르는 화석 기록의 지층학적 및 시간적 (불)연속성, 3) 골격 요소 보존 패턴, 4) 종의 기원과 멸종 패턴 및 고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등 분지 전체의 패턴을 밝혀냈다."고 설명한다.
패턴 발견
연구진은 화석 분포가 전반적으로 고르지 않았으며, 동부 지역에서 47%, 서부 지역에서 30%, 북부 지역에서 23%가 발견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개체 80%가 단일 표본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거의 완전한 골격은 소수에 불과했다.
가장 풍부한 표본은 치아였으며, 특히 687개 분리된 치아 또는 치아 파편이 발견되었다.
나머지 표본은 두개골 또는 두개골 파편 175개, 하악골 또는 하악골 파편 116개, 그리고 두개골 후유골 253개로 구성되었다.
흥미롭게도, 골격 유해 분포 또한 고르지 않았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보다 치아가 더 풍부했다.
이는 주로 보존 환경의 차이에 기인한다.
연구팀은 또한 골격의 완전성이 동부 호숫가 환경에서 가장 높고, 북부 하천 퇴적물에서 가장 낮다고 지적했다.
연구 대상 기간 동안 이 지역은 약 400만 년 전에 초기 퇴적물에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Australopithecus anamensis를 포함한 여러 초기 호미닌을 거주했고, 그 후 케냐트로푸스 플라티옵스Kenyanthropus platyops와 같은 종이 나타났으며, 나중에는 호모 종이 더 풍부해졌다.
"오모-투르카나 분지 화석 기록은 420만 년에서 150만 년 사이 270만 년의 시간 간격에 대한 독특한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이 기간 동안 분지의 화석 기록은 거의 연속적이며, 두 개 주요 간격은 총 약 50만 년에 이릅니다. 따라서 넓은 시야는 420만 년에서 150만 년 사이 270만 년의 시간 범위 중 81%에 화석 호미닌이 존재하는 분지를 보여줍니다."
연구 저자들은 이렇게 기술했다.
이 연구에서 중요한 발견은 호모 루돌펜시스Homo rudolfensis, 호모 에르가스터Homo ergaster, 호모 하빌루스Homo habilus, 초기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를 포함한 초기 호모가 270만 년에서 200만 년 전까지 잘 대표되며, 최소 45개체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파란트로푸스 속(Paranthropus)은 이 기간 중 150만 년 동안 호모와 공존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파란트로푸스는 일반적으로 호모보다 두 배나 많았지만, 호모가 우세한 특정 지역을 제외하고는 그랬다.
앞으로 진행될 연구
연구진은 아직 잘 기술되지 않은 표본이 많고, 화석 70%만이 종 수준 분류를 지닌다고 지적한다.
더욱이, 이 지역에서는 더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이 지역 호미닌에 대한 더 많은 분석과 발견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저자들은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오늘날 수많은 국제 연구팀이 이 분지 세 지역에서 현장 연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화석이 발굴될 것이고, 이전에 발견된 화석은 특히 내부 치형, 법랑질 두께의 영상화 및 분석, 새로운 확률론적 접근법, 기하학적 형태 계측의 정교한 방법, 교두 비율 분석, 그리고 개별 형질 분석과 같은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법 덕분에 마침내 기술되거나 분류학적으로 더 잘 분류될 것입니다."
"더 나아가, 이 모든 호미닌의 연대지층학적 및 고환경적 틀에 대한 진전 또한 계속되어 공간적 및 연대학적 정확성이 더욱 높아질 것입니다."
More information: François Marchal et al, The hominin fossil record of the Omo-Turkana Basin, Journal of Human Evolution (2025). DOI: 10.1016/j.jhevol.2025.103731
Journal information: Journal of Human Evolution
© 2025 Science X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