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대중 물고기 어종 판별은 가라! 콜라겐 지문 분석법 도입

콜라겐에 숨은 화학적 지문을 통해 드러난 석기 시대 태평양 어업 관행
by Sanjukta Mondal, Phys.org
새로운 콜라겐 지문 분석 도구collagen fingerprinting tool는 과학자들이 고고학적 뼈 조각에서 종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신석기 시대라고도 알려진 후기 석기 시대 태평양 섬 주민들은 뛰어난 어부였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들은 연안과 외해 모두에서 물고기를 잡았다.
이제 연구자들은 그들이 어떤 종류의 물고기를 먹었는지, 그리고 이들을 포획하는 데 사용된 첨단 어업 기술을 밝혀낼 방법을 발견했다.
새로운 질량 분석법을 이용한 동물원 고고학Zooarchaeology by Mass Spectrometry (ZooMS) 도구는 뼈 질량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구조 단백질인 콜라겐collagen에 숨은 고유한 화학적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
연구진은 131개 고고학적 유골을 분석하여 참치 3종과 상어 5종을 정확하게 식별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고고학 과학 저널(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에 게재되었다.
파이스 섬Fais Island 방문
연구에 따르면 상어나 참치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해양 포식자를 겨냥하는 원양 어업pelagic fishing은 태평양 섬 초기 주민들의 생존과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크로네시아 야프 주Yap State of Micronesia에 있는 작은 산호섬coral island인 파이스Fais는 고고학적 관심 지역이 되었다. 이 섬에 대한 여러 차례 탐사를 통해 남쪽 해안에서 포와Powa 유적이 발견되었다.

과학자들은 지표면 아래 토양층에 남은 단서들을 조사해 파이스에 거의 1,800년 동안 사람이 살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섬 주민들은 주변 산호초를 항해하며 연안 어류를 잡는 일이 매우 까다로웠기 때문에 원양 어업에 크게 의존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이 상어와 참치 종을 식별하기 위해 어류 유해를 분석했을 때, 전통적인 뼈 비교 방법은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기술로는 과科 단위를 넘어서는 어류 식별이 어려웠고, 토양 내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별 표시가 희미해졌다.
또한, 이러한 어류 중 다수는 골격에 연골이 있어 화석화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 연구진은 어류를 구별하는 데 더욱 신뢰성 있고 화학 반응에 의존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콜라겐 펩타이드 질량 지문 분석Collagen peptide mass fingerprinting
본 연구에서는 콜라겐 지문 분석 기술인 ZooMS를 사용하여 훨씬 더 정확한 결과를 얻었다.
수집된 시료는 산 용해성 콜라겐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되었는데, 이 방법은 뼈를 먼저 산에 용해시켜 콜라겐을 펩타이드로 분해한다. 일부 뼈 시료는 산에 용해하는 대신 연마지로 문질러 콜라겐을 추출했다.
추출된 물질은 질량 분석법으로 분석하여 고유한 콜라겐 "지문"을 생성하고 이를 현대 표준 시료와 비교했다.

이 방법은 높은 신뢰도로 참치류 뼈 97%를 식별했다. 77개 참치류 시료 중 75개는 가다랑어skipjack tuna였고, 나머지 2개는 황다랑어yellowfin tuna와 와후wahoo였다.
상어 유해는 더욱 다양한 종을 보여주었다.
정확한 식별을 위한 참조 데이터베이스가 불완전했지만, 성공적으로 지문 채취된 50개의 표본 중 20개는 실키 상어silky shark와, 11개는 갈라파고스 상어Galapagos shark와, 17개는 실버팁 상어silvertip shark와, 그리고 1개는 화이트팁 리프 상어hitetip reef shark와 가까운 친척 관계였다.
연구진은 이러한 발견이 고대 어류 유해 식별의 정확도를 높여 역사적 어업 관행에 대한 더욱 명확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지적한다.
또한, ZooMS의 잠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참조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분자 수준의 기술은 종 식별의 남은 공백을 메우고 어업 습관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More information: Clara Boulanger et al, ZooMS as a tool for understanding prehistoric pelagic fishing: Insights from archaeological shark and scombrid remains on Fais Island, Micronesia, over the last two millenni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025). DOI: 10.1016/j.jas.2025.106386
Journal information: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 2025 Science X Network
***
한국고고학에서 보면 뼈를 토대로 삼는 무수한 어종 식별 분류 시도가 보이는데, 내가 볼 적엔 몇 가지 빼고선 도대체 동의를 할 수 없는 눈대중 감정이 판을 친다. 어류만 그런가? 동물 식물도 다 그렇다.
이런 저급한 학문은 퇴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