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THESIS

벽돌 입에 문 16세기 이탈리아 '뱀파이어' 얼굴 복원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0. 11. 03:55
반응형
3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여성 얼굴을 재현함으로써 입에 벽돌이 들어갔을 가능성을 조사할 수 있었다. 이미지 출처: SWNS

 
이는 2024년 3월에 공개된 소식이라, 다름 아닌 뱀파이어 이야기라 흥미를 돋우는 대목이 적지 않아 새삼 소개한다. 

과학자들이 입에 돌벽돌을 물고 묻힌 16세기 소위 '뱀파이어Vampire' 얼굴을 복원했다.

베네치아 라차레토 누오보Lazzaretto Nuovo 섬 전염병 희생자 집단 매장지에서 발견된 여성 시체 얼굴 특징을 복원한 안면 복원 전문가가 있다.

브라질 법의학 전문가이자 3D 일러스트레이터인 시세로 모라이스Cícero Moraes는 2006년 고고학 발굴에서 발굴된 이 여성 시신에 얼굴 특징을 적용했다.

고대 두개골의 3D 스캔을 사용하여 제작된 놀라운 새로운 이미지에서 뾰족한 턱, 은발, 주름진 피부, 그리고 약간 비뚤어진 코를 지닌 여성이 드러난다.

모라이스는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누군가의 입에 벽돌을 넣는 것이 실제로 가능한지에 대한 이론을 시험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그녀가 죽은 직후에 함께 전염병으로 희생된 다른 사람들을 그녀가 잡아먹을까 봐 두려워한 지역 주민들이 벽돌을 그곳에 두었다고 생각한다.

법의인류학자 마테오 보리니Matteo Borrini는 1576년 전염병 발생 당시 집단 매장지 탐사를 주도했다.

모리니는 2년간 이 사건을 조사한 후 2009년 성명을 통해 "뱀파이어는 존재하지 않지만, 당시 사람들은 존재했다고 믿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뱀파이어를 퇴치하는 의식의 증거를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16세기 베네치아에서 발견된 여성 '뱀파이어'의 유해. 다른 전염병 희생자를 잡아먹는 것을 막기 위해 입에 벽돌을 물고 매장된 것으로 알려짐. 사진: 로이터

 
이미 유골 증거를 통해 사망 당시 61세였음이 확인되었으며, 추가 연구를 통해 유골이 유럽계 여성의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유골의 식단 분석 결과, 주로 곡물과 채소를 섭취했던 것으로 나타나 당시 유럽의 하층 계급 출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자들은 무덤을 만드는 사람이 시체 이빨 사이에 돌멩이를 끼워 넣어 뱀파이어가 수의를 갉아먹어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병을 옮기는 것을 막았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 시기 유럽 역사에서 마을 사람들이 대륙을 휩쓴 치명적인 질병의 원인을 초자연적인 것으로 돌리기 시작하면서 뱀파이어 히스테리vampire hysteria가 고조되었다.

뱀파이어 이론은 이탈리아 무덤 파는 사람들이 추가 시신을 수용하기 위해 대량 매장을 재개할 때 끔찍한 부패한 시체를 자주 목격하면서 퍼진 것으로 여겨진다.

이 부패한 유해가 무덤 동료의 피를 먹고 있었다는 생각은 입과 코에서 체액이 흘러나오는 등 끔찍하게 부풀어 오른 모습에서 더욱 확고해졌다.

시체의 입을 덮고 있던 수의가 어떤 경우에는 분해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뱀파이어가 이 천 조각을 먹어서 힘을 얻었다는 이론이 생겨났다. 
 

3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여성의 얼굴을 재현함으로써 벽돌이 입에 들어갔을 가능성을 조사할 수 있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SWNS


"연구진은 수의를 입은 시신을 관찰했을 때 매장 책임자들이 입 주변이 움푹 들어간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씹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었다"고 연구 저자들은 OrtogOnline 저널에 기고했다.

"당시 유행한 전염병의 주범 중 하나인 뱀파이어를 식별했다는 가정 하에, 그들은 이 돌을 보호 요소로 도입하여 뱀파이어가 먹이를 먹거나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는 것을 막았습니다." 

모라이스는 여성이 사망한 후 벽돌이 의도적으로 입에 들어갔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티로폼을 사용하여 벽돌을 복제하고 여러 가지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 결과, 이 벽돌은 치아나 연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사람 입에 꽂을 수 있었다.
 

연구원 키케로 모라이스는 스티로폼을 사용하여 벽돌을 재현하여 입에 들어갈 수 있는지 시험했다. 출처: 키케로 모라이스, OrtogOnline 2024

 
연구 저자들은 살아있는 실험 대상과 비교했을 때 시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쉬웠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것이 의도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는 아직 불분명다. 

이번 연구는 OrtogOnline 저널을 통해 공개됐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