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임이 실로 다양한 올리브 오일, 그 유구한 전통
치유, 정화, 그리고 거룩함: 고대 그리스인, 로마인, 그리고 초기 기독교인들이 올리브 오일을 어떻게 사용했을까?
by 타마라 루잇Tamara Lewit / The Conversation

오늘날 올리브 오일은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널리 알려졌으나, 올리브 오일의 약효 또는 심지어 신성한 효능에 대한 믿음은 수천 년 전부터 이어졌다.
올리브 오일은 적어도 기원전 2천 년 전부터 치유와 정화에 사용되었으며, 중요한 의식과 연관되어 오늘날까지도 그 관습에 영향을 미친다.
성스러운 액체
기원전 1천녀대 중반 히타이트 제국 수도(현재 터키)에서 발견된 기록에는 출산의 위험을 막기 위해 신생아와 산모에게 기름을 바르는 일이 묘사되어 있다.
고대 시리아에서 바알 신 여사제는 "성전의 좋은 기름fine oil of the temple"으로 기름 부음anointing을 받았다.
현재 그리스에 위치한 필로스Pylos 궁전에서 발견된 미케네 청동기 시대 점토판에는 신에게 바칠 특별한 향유를 만드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히브리어 성경에서 기름은 다윗과 솔로몬 같은 제사장과 왕을 입문시키고 의식용 물건을 성화하는 데 사용했다.

건강 유지
올리브 오일은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에게 정화와 치유에 사용되었다.
목욕 중 기름을 바르는 것은 건강 관리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비누 대신 기름을 몸에 바르고 스트리길strigil이라는 금속 도구로 긁어내지 않고는 목욕탕에 갔다고 할 수 없었다.
로마 작가 小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는 이렇게 썼다.
"인체에 특히 좋은 두 가지 액체가 있다. 안에는 포도주, 밖에는 기름이다. […] 하지만 기름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는 쐐기풀 쏘임nettle stings 치료제와 여러 약초 재료로 올리브 오일을 권장했다.
기원후 2세기 로마 제국 그리스 의학 작가 켈수스Celsus는 이렇게 조언했다.
"기진맥진한 사람이 열이 나기 직전이면 따뜻한 물에 기름을 조금 넣은 후 […] 온몸을 기름으로 부드럽게 문질러야 한다."
또 다른 의학 작가 소라누스Soranus는 1,500년 전 히타이트인들이 그랬듯이 신생아에게 올리브 오일을 바르라고 조언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향유는 그리스-로마 시대에 신에게 바치는 제물과 조각상에 기름을 바르는 의식에 사용되었다.

올리브 오일과 기독교
기독교가 후기 로마 제국에서 발전했을 때, 그리스어 크리스토스Christos는 히브리어 메시아messiah를 번역한 것으로, "성스러운 기름으로 기름 부음받은 자one anointed with sacred oil"를 의미한다. 이것이 기독교인Christian과 그리스도Christ라는 단어 기원이다.
향기롭고 축복받은 올리브 오일 크리즘chrism은 성화와 정화에 사용되었다.
서기 381년의 한 교회 공의회church council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이단에게서 구원받는 자들은 […] 먼저 이마, 눈, 콧구멍, 입, 귀에 성유를 바르고 […] 그런 다음 세례를 받는다."
이러한 향유는 성배와 같은 전례 용품을 성화하는 데 사용했고, 실제로 지금도 사용한다. 사제 서품식, 세례 전, 그리고 병자 성유에도 사용했다.
교회에서는 향유가 담긴 여러 개 유리 그릇과 비둘기, 왕관, 배와 같은 상징적인 모양으로 만든 등잔으로 구성된 폴리칸델론polycandelon이라는 새로운 유형 등잔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등잔은 신의 빛을 상징하고 천상의 향기를 발산했다.
성인의 무덤과 성지에서 나온 향유는 치유의 기적을 불러온다고 여겼다.
성인 유해가 담긴 성유함에는 기름을 붓고 옮길 수 있는 특별한 구멍이 있었다.
이것과 순교자 성지의 등잔에서 나오는 향유는 병자에게 기름을 바르는 데 사용했다.
9세기 문헌에는 이집트에 있는 성 메나스Saint Menas 무덤에 대한 다음과 같은 묘사가 있다.
"무덤 앞에는 등잔이 […] 밤낮으로 타올랐고 향유로 가득 차 있었다. 그리고 누구든지 이 등잔 기름을 […] 가져다가 병든 사람에게 바르면 병든 사람이 나았다."
성지를 방문한 순례자들은 치유력을 얻기 위해 이러한 기름을 병에 담아 모았다.
초기 교회는 올리브 오일을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직접 생산하기도 했다.
6세기 이후 수도원 및 교회 기록 보관소에는 올리브 과수원과 노예 노동자들이 교회 및 수도원 영지에 기증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내가 최근 주교 관저, 교회 부속 건물, 그리고 수도원에서 발견한 석유 생산 유물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최근 마요르카 해안에서 발견된 4세기 난파선 석유 운반 용기 인장에는 기독교 상징이 새겨 있다.
그림으로 새긴 명문은 내용물이 스페인 남부 수도원에서 생산되어 의식 및 치유용으로 판매된 특별한 "달콤한 기름"임을 나타낸다.

오늘날의 올리브 오일
고대부터 입문, 성화, 치유 의식에 올리브 오일을 사용한 전통이 오늘날에도 그 유산을 이어간다.
2023년, 카를로스 3세 대관식용 기름은 올리브 산 과수원에서 수확해 지역 수도원에서 가공되었고 예루살렘 대주교 축복을 받았다.
기름 부음 의식anointing ritual은 초기 중세 영국 왕들 대관식에서 유래된 전통을 이어받았으며, 이는 고대 솔로몬 왕의 대관식을 본떠 만들었다.
올리브 오일은 오늘날에도 기독교 성사, 교회 봉헌, 그리고 병자 성유에 쓴다.
맛보고, 만지고, 보고, 냄새 맡는 것 모두 아름다운 올리브 오일은 인류 역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오늘날 올리브 오일의 용도는 오랜 전통의 뿌리에서 비롯한다.
Provided by The Conversation
더 컨버세이션을 인용했지만 원문은 아래다.
https://findanexpert.unimelb.edu.au/news/134001-healing--purification-and-holiness--how-ancient-greeks--romans-and-early-christians-used-olive-oil
Healing, purification and holiness: how ancient Greeks, Romans and early Christians used olive oil : Find an Expert : The Univer
Authors: Tamara Lewit
findanexpert.unimelb.edu.au
***
예수님이 한반도에 태어났으면 창포 기름 발랐을까? 아주까리 기름 발랐을까? 동백기름 발랐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