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적 수익을 낸 라파누이産 라파마이신, 하지만 그 어떤 혜택도 현지에는 돌아가지 않았다
by Ted Powers, The Conversation
1964년 이스터 섬Easter Island에서 발견된 항생제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제약 성공 신화를 낳았다.
그러나 이 "기적의 약"에 대한 역사는 그 발견을 가능하게 한 인물과 정치에 대해서는 완전히 무시되곤 한다.
이 섬 원주민을 가리키는 라파누이Rapa Nui에서 유래한 라파마이신rapamycin은 원래 장기 이식 거부 반응을 예방하고 관상동맥 질환 치료를 위한 스텐트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면역억제제로 개발되었다.
이후 다양한 유형의 암 치료에 사용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연구자들은 현재 당뇨병, 신경 퇴행성 질환, 심지어 노화까지 치료할 수 있는 잠재력을 연구한다.
실제로 라파마이신이 수명 연장이나 노화 관련 질환 퇴치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거의 매일 발표되고 있다. PubMed 검색 결과, 라파마이신을 언급한 학술 논문이 59,000건 이상 발견되어 의학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약물 중 하나가 되었다.
라파마이신의 효능의 핵심은 라파마이신 키나아제 표적 target of rapamycin kinase (TOR)이라는 단백질을 억제하는 능력에 있다.
이 단백질은 세포 성장과 대사의 주요 조절자 역할을 한다. TOR은 다른 파트너 단백질들과 함께 세포가 영양소, 스트레스, 환경 신호에 반응하는 방식을 조절하여 단백질 합성 및 면역 기능과 같은 주요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근본적인 세포 활동에서 TOR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암, 대사 장애, 노화 관련 질환이 TOR의 기능 장애와 관련이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과학 및 의학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음에도 라파마이신이 어떻게 발견되었는지는 대중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이 분야 많은 사람은 제약 회사 에어스트 연구소Ayerst Research Laboratories 과학자들이 1970년대 중반 스트렙토미세스 하이드로스코피쿠스Streptomyces hydroscopicus라는 박테리아가 포함된 토양 샘플에서 이 분자를 분리했다는 사실은 안다.
하지만 이 토양 샘플은 1964년 캐나다가 주도한 이스터 섬 의료 탐사Medical Expedition to Easter Island (METEI) 일환으로 라파누이 섬에서 수집되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라파마이신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경력을 쌓은 과학자로서, 나는 그 기원에 얽힌 인류의 이야기를 이해하고 공유해야겠다는 강한 의지를 느꼈다.
역사학자 재컬린 더핀Jacalyn Duffin의 METEI 연구를 접하면서 나와 많은 동료가 우리 분야를 바라보는 시각이 완전히 바뀌었다.
라파마이신의 복잡한 유산을 밝혀내는 것은 생물의학 연구의 체계적 편향과 제약 회사들이 블록버스터급 발견을 이끌어낸 토착민 땅에 진 빚에 대한 중요한 의문을 제기한다.
METEI의 역사
이스터 섬 의료 탐사는 외과의 스탠리 스코리나Stanley Skoryna와 세균학자 조르주 노그라디Georges Nogrady로 구성된 캐나다 팀의 아이디어였다.
그들의 목표는 고립된 인구가 환경 스트레스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연구하는 것이었으며, 이스터 섬에 계획된 국제공항 건설이 특별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공항이 섬 주민들과의 외부 접촉을 증가시켜 건강과 웰빙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자금 지원과 캐나다 왕립 해군의 물류 지원을 받아 METEI는 1964년 12월 라파누이에 도착했다.
3개월 동안 팀은 섬 주민 거의 1,000명을 대상으로 건강 검진을 실시하고, 생물학적 샘플을 수집하고, 섬의 동식물을 체계적으로 조사했다.
노그라디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200개가 넘는 토양 샘플을 수집했는데, 그 중 하나에서 라파마이신을 생성하는 스트렙토미세스Streptomyces 박테리아 균주가 발견되었다.
이 탐험의 주된 목적은 라파누이족을 일종의 살아있는 실험실로 연구하는 것이었다는 점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그들은 선물, 식량, 물자를 제공하는 뇌물을 통해 참여를 독려했고, 섬에서 오랫동안 봉사한 프란치스코회 신부를 모집에 참여하도록 강요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자들의 의도는 고결했을지 모르지만, 이는 과학적 식민주의의 한 사례다. 백인 연구팀이 그들의 의견 없이 주로 비백인 집단을 연구하기로 결정하여 권력 불균형을 초래한 것이다.
METEI의 시작에는 내재적인 편견이 있었다.
첫째, 연구자들은 라파누이족이 세계와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다고 가정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1700년대 초부터 1800년대 후반까지의 보고를 시작으로 섬 외부 국가들과 오랜 교류가 있었다.
METEI는 또한 라파누이족이 유전적으로 동질적이라고 가정했고, 이 섬의 복잡한 이주, 노예 제도, 질병의 역사를 무시했다.
예를 들어, 현대 라파누이 섬 주민들은 폴리네시아인과 남미인 조상을 모두 가진 혼혈이다.
또한, 아프리카 노예 무역에서 살아남아 섬으로 돌아오면서 천연두를 포함한 질병을 앓은 사람들도 라파누이 섬 주민들에 포함된다.
이러한 잘못된 계산은 METEI의 핵심 연구 목표 중 하나인 유전학이 질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저해했다.
연구팀은 라파누이 섬과 관련된 다양한 동물군을 설명하는 여러 연구를 발표했지만, 기준선을 확립하지 못한 것이 1967년 이스터 섬 공항 완공 이후 후속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이유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
인정해야 할 공로
라파마이신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에서 누락된 부분은 과학적 발견이 기억되는 방식에서 흔히 나타나는 윤리적 맹점을 반영한다.
조르주 노그라디는 라파누이에서 토양 샘플을 가져왔고, 그중 하나가 결국 에어스트 연구소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수렌드라 세갈Surendra Sehgal과 그의 팀은 라파마이신rapamycin이라는 물질을 분리하여 1990년대 후반 면역억제제인 라파뮨Rapamune이라는 이름으로 시장에 출시했다.
세갈의 끈기는 기업의 격변 속에서도 프로젝트를 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심지어 국내에 기업 문화를 숨기기까지 했다.
하지만 노그라디나 METEI는 그의 획기적인 출판물에서 결코 공로를 인정받지 못했다.
라파마이신은 수십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했지만, 라파누이족은 지금까지 어떠한 재정적 혜택도 받지 못했다.
이는 토착민의 권리와 토착민 지식을 상업화하는 생물 해적 행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유엔의 1992년 생물다양성협약과 2007년 토착민 권리 선언과 같은 협정은 국가가 프로젝트 시작 전에 토착민의 동의와 의견을 구하고 잠재적 피해에 대한 구제책을 제공하도록 장려함으로써 토착민의 생물자원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METEI 시절에는 이러한 원칙이 적용되지 않았다.
일부에서는 라파마이신을 생성하는 박테리아가 이후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스터 섬의 토양이 이 약물 발견에 특별히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더욱이, 섬 주민들이 라파마이신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섬에 라파마이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했기 때문에, 일부는 라파마이신이 "훔칠" 수 있는 자원이 아니라고 반박하기도 한다.
그러나 라파누이에서 라파마이신이 발견된 것은 이 분자를 둘러싼 모든 후속 연구와 상용화 토대를 마련했으며, 이는 오로지 라파누이 사람들이 연구 대상이 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라파누이족이 라파마이신 발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대중에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알리는 것이 그들의 공헌에 대한 보상을 위한 핵심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제약 업계 전반에서 원주민의 공헌에 대한 공정한 보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일부 기업은 귀중한 천연물이 생산되는 지역 사회에 재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라파누이족에게 라파마이신으로부터 직접적인 이익을 얻은 제약 회사들은 아직 그러한 인정을 표명하지 않았다.
궁극적으로 METEI는 과학적 승리와 사회적 모호함 모두의 이야기다.
라파마이신 발견이 의학을 혁신했지만, 이 탐험이 라파누이족에게 미친 영향은 훨씬 더 복잡하다.
나는 생물학적 동의, 과학적 식민주의, 간과된 기여에 대한 문제가 획기적인 과학적 발견의 유산에 대한 보다 비판적인 검토와 인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믿는다.
Provided by The Conversation
***
아주 좋은 글이다. 침이 마르도록 상찬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