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신3

노신과 최현배, 병원을 박차고 나온 사회의 집도의들 노신은 애초 의학 공부한다고 일본 유학을 감행했다. 하지만 그가 치료할 환자는 중국이라 생각하고 이를 위해선 문예운동 만한 게 없다 해서 작가로 전향한다. 그의 글쓰기가 시종해서 메스 들고 집도하는 의사인 이유가 이에서 말미암는다. 그의 글은 언제나 인습과 구습의 도려내기였다. 썩어문드러진 곳을 외과수술 의사처럼 도려내고자 했다. 노신과 흡사한 길을 걸은 식민지 조선 청년이 있다. 이 양반도 내가 알기로 의사 지망생이었다가 일본 유학 중에 철학사상으로 돌아선다. 귀국하자마자 조선 민족 갱생의 도를 부르짖었다. 그 역시 곳곳에서 집도의를 자임했다. 썩어문드러진 정신을 뜯어고치자고 말했다. 외솔 최현배였다. 그는 투사다. 이 점이 전연 부각하지 않는 점이 나로선 기이할 뿐이다. 오로지 국어학자 조선어학회 사.. 2024. 1. 22.
뇌염 걸렸다는 가짜뉴스에 대한 루쉰의 반응 한시, 계절의 노래(310) 내가 뇌염에 걸렸다는 보도를 접하고 장난삼아 짓다[報載患腦炎戱作] [現代] 루쉰(魯迅, 1881~1936) / 김영문 選譯評 치뜬 눈길로 어떻게고운 눈길 빼앗겠나 그런데 뜻밖에도여인들 마음 어겼다니 나에 대한 저주를이젠 수법 달리해도 여전히 얼음 같은나의 머리만 못하리라 橫眉豈奪蛾眉冶, 不料仍違衆女心. 詛呪而今翻異樣, 無如臣惱故如氷. 1934년 중국 톈진(天津) 『대공보(大公報)』 「문화정보(文化情報)」 코너에 루쉰이 심한 뇌염에 걸려 10년 동안 두뇌활동을 할 수 없다는 가짜뉴스가 실렸다. 당시 중국에도 얼토당토않은 가짜뉴스가 횡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루쉰은 당시 상하이에 거주하고 있었으므로 베이징에 계신 어머니가 걱정할까봐 마음을 놓지 못했다. 이에 그는 베이징 미명사.. 2019. 4. 5.
소리 없는 곳에서 듣는 우레소리 한시, 계절의 노래(251) 무제(無題) [現代中國] 루쉰(魯迅) / 김영문 選譯評 온 사람들 검은 얼굴로쑥덤불에 묻혀 사니 어찌 감히 슬픈 노래로대지를 흔들 수 있나 마음은 드넓게광활한 우주와 이어져 소리 없는 곳에서우레 소리 듣는다 萬家墨面沒蒿萊, 敢有歌吟動地哀. 心事浩茫連廣宇, 於無聲處聽驚雷. 루쉰의 첫 번째 필명은 알검생(戛劍生)이다. 창과 칼을 든 투사라는 의미다. 만청(晩淸) 지식인들의 상무정신과 한족 중심주의를 잘 보여주는 필명이다. 안으로 만주족 조정의 부패와 밖으로 제국주의의 침략에 직면한 중국 한족 지식인들은 양무운동, 변법유신운동, 혁명운동을 통해 오랑캐 만주족 황실을 타도하고 한족 중심의 새로운 정부를 건립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웨이위안(魏源), 궁쯔전(龔自珍), 캉유웨이(康有爲).. 2019. 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