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양 무제 소연2

배불排佛, 그 상징으로서의 양梁 무제武帝 소연蕭衍 남조 梁 왕조 개창주 무제武帝 소연蕭衍은 불심이 무척이나 깊어 육식조차 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종묘제사에 필요한 고기조차 채소로 교체했다. 불교의 기본 정신이 보시에 있다고 믿은 그가 공양한 스님 백성이 한둘이 아니다. 이런 그도 적국 동위東魏에서 항복한 장수 후경侯景을 중용했다가 이것이 끝내 빌미가 되어 그가 일으킨 반란에 유폐되어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팔순 고령을 넘긴 양무제는 베저테리언인 까닭에 유폐기간 중 꿀물을 달라했지만, 후경은 이조차 거절했다. 50년을 넘게 재위하면서 남조 왕조의 전성시대를 연 일세의 제왕 양 무제는 이리해서 굶어 죽었다. 후세, 특히 불교를 공격하는 사람들은 양무제를 끊임없이 조롱했다. "부처가 그리 좋다더니 그런 부처가 왜 무제를 돕지 않았던가? 무제가 그리 공양한 사.. 2020. 10. 26.
강남 오뤤쥐족의 노래 東飛伯勞歌 동쪽으로 백로는 날아가고 동쪽으로 백로 날고 서쪽으론 제비 날며 견우와 직녀는 때가 되니 만난다네 어떤 집 아가씨 맞은편에 사는데 웃으면 베어나는 아름다움 온동네 비추네 남쪽북쪽 창문엔 환한 거울 걸고 얇고 고운 비단 휘장엔 분 냄새 가득 이 아가씨 나이는 십오륙세쯤 곱기는 비길데 없고 얼굴은 구슬같아 석달 봄 저물어 꽃도 바람따라 흩날리는데 부질없는 방콕 신세 아름다움은 뉘와 나눌꼬 東飛伯勞西飛燕, 黃姑織女時相見. 誰家女兒對門居, 開顏發豔照里閭. 南窗北牖掛明光, 羅帷綺箔脂粉香. 女兒年幾十五六, 窈窕無雙顏如玉. 三春已暮花從風, 空留可憐與誰同. 《악부시집樂府詩集》과 《옥대신영玉臺新詠》은 모두 이 노래를 실으면서 작자가 양 무제 소연蕭衍(464~549)이라 한다. 육조시대 말기, 그러니깐 宋과 梁.. 2020. 7.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