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장영실6

[조선 세종시대의 장영실] (4) 자격루 제작과 출세길 4. 자격루 제작과 출세 세종은 재위 15년(1433) 자격루를 제작한다. 그 아이디어는 놀랍게도 세종 자신의 머리에서 나온 것이다. 자격루란 물시계 일종이다. 그 원리는 중언부언하지 않겠다. 하지만 세종이 제아무리 명민한 군주라 해도 그는 설계자였지 제작자일 수는 없다. 그 아이디어와 설계도를 실제로 구현할 인물이 있어야 한다. 그 일을 장영실이 맡아 훌륭히 수행한 것이다. 하니 당연히 포상이 따라야 한다. 이해 9월 16일자 다음 기록은 그 포상을 정리한 것이다. (임금이) 안숭선에게 명하여 영의정 황희와 좌의정 맹사성에게 의논하기를, “행 사직(行司直) 장영실(蔣英實)은 그 아비가 본래 원(元)나라의 소주(蘇州)·항주(杭州) 사람이고, 어미는 기생이었는데, 공교(工巧)한 솜씨가 보통 사람에 뛰어나므.. 2023. 12. 19.
[조선 세종시대의 장영실] (3) 걸핏하면 뇌물죄로 걸려든 광물 전문가 3. 광물 전문가 이제 장영실이 어떠한 인물인가를 실록에 드러나는 그의 행적을 통해 정리해 보자. 현재 우리에게 주어진 자료에 의하건대 그가 맨 먼저 등장하는 시점은 세종 7년(1425) 4월 18일이다. 이 날짜 한 기록에 의하면 임금이 지금의 평안도 도지사 정도에 해당하는 평안도감사에게 명을 내리기를 “석등잔 대·중·소 아울러 30개를 이제 가는 사직(司直) 장영실(蔣英實)이 말하는 것을 들어 준비하라” 고 했다는 것이다. 석등잔이란 돌로 만든 등잔을 말한다. 그 사용처가 궁중이었음을 말할 나위가 없다. 당시에는 전기가 있을 리 만무하니 밤에는 촛불을 켜서 밤을 밝혔다. 등잔은 말할 것도 없이 촛불 받침대다. 한데 이에서 말하는 석등잔이 구체적으로 어떤 물건인지는 다른 사례를 검토해 봐야 한다. 그 .. 2023. 12. 18.
장영실, 과학에 주린 국민국가 대한민국의 호명 흝으니 장영실은.. 아비가 지금의 절강 혹은 복건 일대 출신 테크노크랏으로 아마도 고려말 혼란기를 틈타 조선에 정착했으며, 조선에서 그를 붙잡아 두고자 관기를 아내로 주었다. 이를 발판으로 장영실 역시 특히 광물학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동래현 소속 관노로 있다가 태종 시대에 중앙에 발탁되어 상경한다. 그가 죽 관적을 둔 분야는 군대였으니 이는 아마도 광물을 만지는 일이 무기 제조와도 밀접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방원에게 굄을 받은 그는 세종한테도 총애를 얻어 때론 내시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그가 벼락 출세한 사건은 익히 알려졌듯이 자격루 제작이다. 자격루는 세종 자신이 직접 도안 설계했다. 하지만 이 설계를 구상으로 해체하는 일은 장영실이 담당했다. 따라서 자격루 제작 절반의 공로는 장영실이 맞다. 이를.. 2023. 3. 16.
발명가가 아닌 뮤지션Musician 장영실 기묘사화가 일어나기 몇 달 전, 중종은 조강朝講을 열었다. 그날 주제는 무너진 음악의 법도였다. 을 보면 당시 우찬성 벼슬을 하던 이장곤(1474-?)이 이런 발언을 했다. "신도 장악원 제조(掌樂院提調)로서 악기들을 보건대 과연 잘못된 데가 많았습니다. 일찍이 듣건대, 세종께서는 하늘이 낸 예성(睿聖)이셨고 또한 신하 박연(朴堧) 및 악사(樂師) 장영실(蔣英實)이 때에 맞추어 났었기 때문에, 성음(聖音)을 제작함이 헤아릴 수 없이 신묘하여 소리를 들어보면서 고치고 기구를 관찰하면서 바로잡아 조금도 틀리지 않고 그렇게 묘했었는데, 요사이는 기구가 틀린 것을 알지 못하게 되었으니, 정자지(鄭子芝) 같은 사람이 비록 음률(音律)을 아는 것 같지만 어찌 그 근본을 알겠습니까? 수직(守直)하는 관원이 조심하지 .. 2022. 6. 5.
[조금솔직한리뷰] 아산 장영실과학관 몸은 커버렸지만 마음만은 아직 어린(?) 친구들과 아산에 있는 장영실과학관에 다녀왔습니다. 장영실(蔣英實)은 여러분들도 잘 알고계시는 것처럼 조선 세종대 활약한 과학자이자 발명가, 기술자로 꼽히는 분입니다. 그가 만들어낸 것들로는 천문관측구인 혼천의, 물시계인 자격루, 강우량 측정기인 측우기 등이 있지요. 그런데 아산과 장영실? 언뜻 무슨 연관이 있을까 궁금하실 수도 있겠습니다. 장영실의 본관이 ‘아산’이기때문입니다. (연결고리) 네이버 지식백과에 찾아 보니, 이렇게 설명이 나와 있네요. ‘아산이 본관인 조선 세종 때의 과학기술자 장영실(蔣英實)의 과학 정신을 기리고, 과학 체험 교육을 통해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키우기 위해 2011년에 아산시에서 개관한 과학관이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 서론이 .. 2021. 5. 5.
착착 감기는 느낌 좋아 곤장이 된 물푸레, 장영실을 때려잡다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고 물푸레나무도 막상 찾으려면 만나기가 쉽지는 아니하다. 함에도 야산 어디에서건 쉽사리 자란다. 요롷게 생겨 먹은 놈인데 많이 봤을 것이다. 이건 뭐 사랑받는 나무가 아니라서 잡목 축에도 들지 못한다. 내가 옛적 나무하러 다닐 때도 저런 놈은 쳐다보지도 않았다. 어디다 써먹는단 말인가? 한데 요 물푸레가 유독 요긴하게 쓰이는 데가 있으니 곤장이었다. 궁댕이 짝짝 때리는 그 곤장 말이다. 곤장 칠 땐 궁둥이에 물을 뿌려야 치는 놈도 흥이 나기 마련인데, 그 찰싹찰싹 감기는 맛으로 물푸레 만한 게 없었던 모양이다. 이 곤장도 형식으로 그치는 일이 많아 돈 많고 권력 있는 놈은 맞는 시늉만 했다. 결국 백없고 돈없는 가난뱅이들한테만 저승사자였다. 세종시대 테크노크랏 장영실 노비 출신에 .. 2020.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