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THESIS

멸종한 거대 소 오록스가 돌아왔다!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8. 21. 23:03
반응형

역교배로 탄생한 타우록스 덴마크에 방사, 1천300킬로그램 넘어 

 

오록스Auroch.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Mairie de Sénas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라이선스.


1627년 사냥에 멸종된 거대 소, 그 조상이 살아나고 있다
by Irene Wright

현대 소의 거대한 조상이 멸종된 지 수 세기 만에, 덴마크에서 새로운 품종이 야생 서식지 복원을 위해 방생되고 있다.

오록스(학명 Bos primigenius)는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1627년 멸종되기 전까지 수십만 년 동안 산 거대 소 한 종이었다.

원래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에 서식했지만, 현재는 훨씬 작은 가축 후손들만 그곳에 살고 있다.

8월 20일 Rewilding Europe에 따르면, 헴펠 재단Hempel Foundation은 이 무시무시한 동물의 부활을 바라며 살아있는 소에서 여전히 발견되는 DNA를 이용하여 오록스와 유사한 동물을 번식시키는 작업을 진행했다.

헴펠 재단은 8월 18일 보도자료를 통해 덴마크 남동부 롤란드Lolland 섬 삭스피에드 빌트마크Saksfjed Vildmark(야생 지역)에 타우로tauro 소 30마리를 방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 소들이 덴마크에 서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야생동물 관리 당국은 이 소들이 한때 생태계에서 오록스가 차지한 역할을 대신하기를 바라고 있다.

이번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 품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소 품종 6종을 "역교배backbreeding"하여 오록스와 가장 유사한 품종을 만드는 국제 육종 프로그램을 통해 탄생했다.

연구원들은 이 소들이 주로 남부 및 동부 유럽 출신으로, 이 지역이 고대 품종과 물리적으로 가장 유사하다고 밝혔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새로운 타우록스 수컷taurox bulls은 어깨 높이가 약 180cm(6피트)에 달하고 무게는 1,300kg(3,000파운드)이 넘을 수 있어 현대 소의 크기를 훨씬 능가한다.

연구원들은 오록스 뿔 길이가 90cm(3피트)가 넘을 수 있지만 타우록스 뿔은 이보다 더 길다고 밝혔다.

이 대형 초식동물은 핵심종keystone species으로, 생태계의 건강과 생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의미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들은 다른 멸종 위기종이 의존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타우록스는 헴펠 재단(Hempel Foundation)이 소유한 약 2,000에이커(약 900헥타르) 규모의 자연 보호 구역에 방사될 예정이다.

Rewilding Europe는 게시물에서 "방목, 짓밟기, 자연 교란을 통해 이들은 식물, 곤충, 새, 균류의 경관과 열린 서식지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고 밝혔다.

"오르후스Aarhus 대학교에서 이들의 생태적 영향을 연구할 것입니다."

2025 Miami Herald. Distributed by Tribune Content Agency, LLC.
 
1627년에야 멸종된 거대 소 오록스

1627년에야 멸종된 거대 소 오록스

선사 예술에서 이 오록스aurochs[Bos primigenius]라는 동물을 자주 만나는데, 이 분을 이참에 한 번 정리해 보자. 이 오록스는 지금은 멸종된 소과 동물로, 현대 가축의 야생 조상으로 간주된다. 숫놈

historylibrary.net

 
 
오록스 이야기 (4) 토착설들을 눌러버린 유전학

오록스 이야기 (4) 토착설들을 눌러버린 유전학

동물 사육의 기원은 오래된 문명의 자존심이기도 하다. 과거 동물고고학 기법이 제대로 발전하지 못했을 때에는 좀 오래된 문명이라면 모두 가축 들 중 이런 이런 종류는 우리 나라에서 처음 나

historylibrary.net

 
 
한반도의 소와 말

한반도의 소와 말

앞서 김단장께서 이집트 소 이야기를 올리며 한반도의 소 사육이 언제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쓰신지라( 5천500년 전 이집트 소를 보며 드는 의문)  간단히 아는 바를 적어본다. 한반도의

historylibrary.net

 
 
메소포타미아를 그리워 하는 한우

메소포타미아를 그리워 하는 한우

한우에 사람들은 한국인의 감정을 곧잘 투영한다. 그래서 한우는 한국인의 얼굴을 가졌다고 이야기 하거나, 한국의 자연을 닮았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한국의 소는 사실 생각만

historylibrary.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