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ho'sWho in Ancient Korea

모례(毛禮)

by taeshik.kim 2018. 3. 23.
반응형

생몰년 미상. 신라 제19대 눌지왕-비처왕 때 일선군(一善郡)에 살던 사람으로 포교 활동을 통해 처음으로 신라에 들어온 불교 승려 묵호자(墨胡子)를 숨겨준 인물. 따라서 신라인 최초의 불교신자로 추정할 수 있다. 모록(毛綠)이라고도 한다. 성별이 불명하나 당연히 남성으로 간주한다. 다만, 화랑세기 필사자 남당 박창화가 남긴 글들을 보면 여성이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4 법흥왕 : 15년(528) 불교를 처음으로 시행하였다. 일찍이 눌지왕 때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고구려로부터 일선군(一善郡)에 왔는데, 그 고을 사람 모례(毛禮)가 자기 집 안에 굴을 파 방을 만들어 있게 했다. 그때 양나라에서 사신을 보내와 의복과 향을 보내주었다. 임금과 신하들이 그 향의 이름과 쓸 바를 몰랐으므로 사람을 보내 향을 가지고 다니며 두루 묻게 하였다. 묵호자가 이를 보고 그 이름을 대면서 말하였다. "이것을 사르면 향기가 나는데, 신성(神聖)에게 정성을 도달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른바 신성스러운 것으로는 삼보(三寶)보다 더한 것이 없으니, 첫째는 불타(佛陀)요, 둘째는 달마(達摩)이고, 셋째는 승가(僧伽)입니다. 만약 이것을 사르면서 소원을 빌면 반드시 영험(靈驗)이 있을 것입니다". 그 무렵 왕의 딸이 병이 심하였으므로 왕은 묵호자로 하여금 향을 사르고 소원을 말하게 하였더니, 왕의 딸 병이 곧 나았다. 왕이 매우 기뻐하여 음식과 선물을 많이 주었다. 묵호자가 [궁궐에서] 나와 모례를 찾아보고 얻은 물건들을 그에게 주면서 “나는 지금 갈 곳이 있어 작별하고자 합니다.”라고 말하고는 잠시 후 간 곳을 알 수 없었다. 비처왕(毗處王) 때에 이르러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시중드는 이 세 사람과 함께 모례의 집에 또 왔다. 모습이 묵호자와 비슷하였는데 몇 년을 그곳에서 살다가 병(病)도 없이 죽었다. 시중들던 세 사람은 머물러 살면서 경(經)과 율(律)을 강독하였는데 신봉자가 가끔 있었다.

해동고승전 권 제1 :

삼국유사 제3권 흥법 제3 아도기라(阿道基羅) : <신라본기(新羅本紀)> 제4권에 이렇게 말했다.  "제19대 눌지왕(訥祗王) 때 중 묵호자(墨胡子)가 고구려에서 일선군(一善郡)에 오자 그 고을 사람 모례(毛禮·혹은 모록<毛綠>이라고도 씀)가 집 안에 굴을 파서 방을 만들어 편안히 있게 했다." 이때 양(梁)나라에서 사신을 통해 의복과 향(香; 고득상高得相의 영사시詠史詩에는, 양梁나라에서 사자使者인 중 원표元表 편에 명단溟檀과 불상佛像을 보내 왔다고 했다)을 보내 왔는데 군신(君臣)들은 그 향의 이름과 쓰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  이에 사람을 시켜 향을 가지고 두루 나라 안을 돌아다니면서 묻게 했다.  묵호자(墨胡子)가 이를 보고 말했다.  "이는 향이라는 것으로, 태우면 향기가 몹시 풍기는데, 이는 정성이 신성(神聖)한 곳에까지 이르는 때문입니다.  신성(神聖)이란 삼보(三寶)보다 더한 것이 없으니, 만일 이것을 태우고 축원(祝願)하면 반드시 영험이 있을 것입니다."(눌지왕訥祗王은 진晉·송宋때 사람이다. 그런데 양梁에서 사신을 보냈다고 한 것은 잘못된 듯 싶다) 이때 왕녀(王女)의 병이 위중하여 묵호자를 불러 향을 피우고 축원하게 했더니 왕녀의 병이 나았다.  왕은 기뻐하여 예물을 후히 주었는데 갑자기 그의 간 곳을 알 수가 없었다. 또 21대 비처왕(毗處王) 때에 이르러 아도화상(我道和尙)이 시자(侍者) 세 사람을 데리고 역시 모례(毛禮)의 집에 왔는데 모습이 묵호자와 비슷했다. 그는 여기에서 몇 해를 살다가 아무 병도 없이 죽었고, 그 시자 세 사람은 머물러 살면서 경(經)과 율(律)을 강독(講讀)하니 간혹 신봉(信奉)하는 사람이 생겼다(주注에 말하기를 "본비本碑와 모든 전기傳記와는 사실이 다르다"고 했다. 또 <고승전高僧傳>에는 서천축西天竺 사람이라고 했고, 혹은 오吳나라에서 왔다고 했다).

모록(毛綠)

반응형

'Who'sWho in Ancient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차(老且)  (0) 2018.03.24
영랑(永郞)  (0) 2018.03.23
자장(慈藏)  (0) 2018.03.23
이차돈異次頓  (0) 2018.03.23
연보(蓮寶)  (0) 2018.03.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