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창비3

계간 창비 신임 편집주간에 성공회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이남주李南周 계간 창비 신임 편집주간으로 정치학 전공인 성공회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이남주李南周가 1월 1일자로 취임하고, 같은 날 부주간으로 문학평론가이자 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인 황정아와 문학평론가 백지연이 맡았다고 한다. 이남주는 2004년 이후 계간 창작과비평 편집위원이었으며 잡지 창간 50주년인 2016년 이래 직전까지 부주간을 역임했다. 1965년생인 이남주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대에서 정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중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특징』 『동아시아의 지역질서』(공저)가 있고 편서로 『이중과제론』 등이 있단다. 전임 주간 인제대 교수 한기욱은 2016년에 취임해 한 차례 연임하고는 이번에 창작과비평 고문으로 자리를 옮겼다. 계간 창작과비평은 1966년 1월 15일, 백낙.. 2022. 1. 4.
제자리걸음 창비 단재 저술들이 근대 한국 내셔널리즘 성전이듯이 창비는 현대 한국 내셔널리즘 본산이다. 자본주의 맹아론이며 내재적 발전론이니 하는 저항적 민족주의는 창비를 토대로 꽃을 피웠다. 그땐 내셔널리즘은 저항과 독재에의 항거에 더할 나위 없는 구호였고 당위였다. 그 점에서 창비, 그리고 그것의 80년대 버전인 역비가 이룩한 족적은 지울 길이 없다. 하지만 나는 이젠 창비와 역비는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본다. 폐간해야 한다고 본다. 아날은 끊임없이 옷을 갈아입었지만 저들은 내 보기엔 변신에 실패했다. 창비와 역비가 사는 길은 그 존재이유인 내셔널리즘을 버리는 데 있다고 보지만, 그것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존재이유를 버리는 것이 삶의 포기가 아닐진댄, 그것이 새로운 삶을 도모하는 길일진댄, 그것을 부여잡고 있으니 가망.. 2020. 12. 25.
산 사람을 죽었다 한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뭐 그럴 수도 있겠다 싶다. 하지만 어처구니가 없다. 자기 이름을 내걸고 자기 책을 낸 사람이 자기 원고를 보지 않았음이니, 이는 우롱이요 사기다. 헛되게 쌓은 이름이 나락으로 떨어지는 신호탄이다. 뭐, 그걸 보호하겠답시며, 저자보다 위대한 출판사는 말도 되지 않는 변명을 일삼는다. 그 변명, 기록으로 남기고자 그대로 인용하고 그대로 써 줬다. 왜? 그래야 어처구니 없는 우롱이 후세에 전하는 까닭이다. 도서출판 창비가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 '산사편'을 냈다가 부랴부랴 회수하는 소동을 겪었으니, 지금도 멀쩡히 활동하는 미술사학자 강우방(77)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을 죽었다고 했기 때문이다. 지난 28일, 이런 소문을 접한 나는 우선 강우방 선생한테 직접 전화를 했다.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다 .. 2018. 9.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