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안씨가훈顔氏家訓》에서 만난 최치원

by taeshik.kim 2023. 2. 9.
반응형



자주 이용한다 해서 혹은 책이나 논문 쓸 때 요긴하다 해서 서재 숙직실에 가까이 꽂아둔 책 일부다. 보다시피 난 잡탕이다.

여러 번 말했듯이 난 《안씨가훈顔氏家訓》을 혹닉한다 할 정도로 무척이나 좋아한다. 그래서 집구석에는 저 번역본으로 국내본 네 종류, 일본어 역본 1종류, 그리고 중국 본토에서 나온 주석본이나 교감본 여러 종을 구비했다.




저걸 붙잡고 있다 보니, 그에서 어딘가 익숙한 구절이 있어, 그가 바로 최치원임을 알고는 <황금방의 비애>라는 논문 하나를 걸신 걸린 듯 쓴 일도 있다.

저에서 안지추는 후손들한테 어떤 기예 하나 잘 하는 일로 소문나지 마라고 가르친다. 글씨 잘 쓴다 소문 나면, 평생 남의 비문 써 주다 볼짱 다 본다 했다. 놀랍게도 최치원이 사산비명에서 저 구절을 인용하면서 자기 신세를 한탄하는 장면을 목도했다.




물론 최치원은 그 구절이 안지추에서 따왔다는 말을 명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어디서 많이 본 듯해서 따져보고, 또 원문을 비교하니 바로 안지추였다.

최치원....
금의환향했지만, 신라말도 어눌한 그를 신라가 기다린 것은 그가 꿈꾼 책략가가 아니었다. 토황소격문으로 문명을 날린 그를 기다린 것은 고통스런 비문들이었다. 그는 생평 남의 비문만 써주다가 볼짱 다 봤다.




신기하게도 그 신세를 사산비명에서 그가 토로하는 장면을 목도했다. 안지추에 기대어 자기 신세를 한탄하는 최치원을 봤다.

저 글은 아직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지만, 최치원, 그의 생을 꿰뚫는 역작이라고 감히 자평한다. 그래서 더 애착이 간다.

(2017. 11. 4)

서예...전통시대 이 서예는 참말로 요물이었다. 못 써서도 안 되지만 잘 쓰면 글씨 쓰는 일에만 불려다니며 혹사당한 까닭이다.&amp;amp;amp;nbsp;


***

앞에서 말한 황금방 운운 글은 김태식金台植 <심학자心學者와 구학자口學者 사이, ‘황금방黃金牓’ 최치원의 딜레마>, 《신라사학보》 제10호, 신라사학회, 2007을 말한다.


*** related article ***


남의 비문에다 자기 울분을 토로한 최치원

남의 비문에다 자기 울분을 토로한 최치원

"을사년(신라 헌강왕 11, 885)에 이르러, 나라 백성 중에 유도儒道를 중매쟁이로 삼아 황제 나라로 시집가 이름을 계륜桂輪에 높이 걸고 관직이 주하사柱下史에 오른 이가 있어 이름을 최치원崔致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