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아크 댐 arch dam 기법과 흡사한 부여 가림성 성벽

by taeshik.kim 2023. 4. 25.
반응형

댐을 만드는 방법 중에 arch dam 이라는 형식이 있다. 번역할 적에는 아치 댐이라고 하는데, 그 모양이 댐둑이 마치 시위를 한껏 당긴 활 모양이라는 뜻에서 비롯한다. 

장황한 설명 필요없이 아래 사진을 보자. 

 

 

오스트리아 쾰른브레인 댐 Kölnbrein Dam 이라는 데다. 이런 댐은 사람 등짝으로 치면 등짝을 뒤로 쑥 내민 모습이라, 당연히 위에서 들이치는 수압은 중앙을 기점으로 양쪽으로 분산해 양쪽 기슭으로 쏠리게 된다. 아치댐은 이런 방식으로 물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중앙을 쑥 들어가게 하는 방식이다. 

당연히 이런 방식은 암반이 발달한 협곡 같은 데서 더 어울린다 하겠다. 

 

 

앞 친구는 Lesotho에 있는 Katse Dam이란다. 이 역시 같은 아치댐이다. 장강을 막는 댐을 중국에서 최근 이런 방식을 응용했다는 소식을 전한 적 있다. 

 

장강 상류 협곡을 막아선 백학탄댐

 

 

장강 상류 협곡을 막아선 백학탄댐

중국, '제2의 싼샤댐' 창장 상류 바이허탄댐 저수 시작 차병섭 / 기사승인 : 2021-04-08 11:21:09 중국, ′제2의 싼샤댐′ 창장 상류 바이허탄댐 저수 시작 (선양=연합뉴스) 차병섭 특파원 = 중국이 ′제2

historylibrary.net

 

 

한데 근자 백제역사문화연구원이 부여군 의뢰로 조사한 부여 가림성 북쪽 성벽 계곡지대가 천상 이 모양을 빼다박았으니 조사단에서 배포한 항공사진 등을 보자.

 

 

똑같다. 아치댐과 그 원리가. 

 

 

실제 성벽을 봐도 활처럼 굽었다. 

 

 

성벽 뒤쪽에는 들이치는 물이 위협한다. 그 위협하는 물을 일단 수압을 줄이고자 거대한 웅덩이를 만들었다. 저 웅덩이에 일단 모은 다음 천천히 조금씩 빼냈다. 

 

 

아치댐에서 물을 빼내는 구멍이 보인다. 가림성 성벽도 정확히 저 지점에 배수구를 냈다. 

 

 

 

앞서 본 사진 한 번 더 보자. 이번에는 배수구를 말이다. 

 

앞선 글에서 나는 댐을 만드는 기본 원리는 그때나지금이나 같다고 했다. 당시 사람들 등신 아니다. 그들도 경험으로 알았다. 어찌해야 수압을 성벽이 더 잘 견디는지 그걸 너무 잘 알았고, 그래서 그들로서는 당시 갖은 묘수를 다 찾아냈다. 

그 기본 원리가 21세기 댐 건설에도 그대로 쓰이는 것이다. 

고고학이 발을 디디고 서야 하는 지점은 21세기다. 당시 축조기법이 어떻네 저떻네, 분할 성토를 했네 마네, 부엽공법을 썼네 마네, 보축이 있네 없네 하는 놀음 이젠 지겨워서 못봐주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