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331

저출산 시대, 결혼 자체가 폭파 대상 아닌가? 워낙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니, 올 총선을 앞두고 여야가 관련 공약이랍시며 내세우며 이것으로 유권자 표심을 잡겠다 난리인 모양이라, 하긴 뭐 이 문제가 워낙에나 심각한가? 듣자니 여당에서는 아빠 출산휴가 1개월을 준다 하니, 야권에서는 신혼 부부한테 1억원을 대출한다 하고, 더 나아가 육아휴직을 자동으로 발동케 하고 인구부를 신설하겠다 하는가 하면, 육아휴직 급여 상한을 150만에서 210만원으로 올린다 하거나, 8∼17세 자녀당 월 20만원을 주겠다 하는 모양이라 비단 총선용이 아니라 해도 나는 이런 모든 저출산 대책이라는 것들이 하나를 잊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지금 젊은 세대가 출산을 두려워하는가? 아니면 다른 더 큰 이유가 도사리는가? 물론 이것이 닭이 먼저인가 달걀이 먼저인가 하는 진부한 논란.. 2024. 1. 18.
에도시대 사무라이의 성誠과 경敬 일본 막말에는 신센구미[新選組, 신선조]라는 무사집단이 있다. 이들의 상징으로 나오는 것 중에 성이라는 글자가 쓰인 깃발이 있다. 일본 우에노 공원에 가면 왠 뚱뚱한 아저씨가 강아지를 한 마리 데리고 있는 동상이 있는데,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다. 일본 메이지유신의 삼걸이라 불리는 인물인데 이 동상을 보면 그 동상에는 위와 같은 사이고 다카모리 글씨가 써 있다. "경천애인敬天愛人"이다. 일본의 사무라이, 부시武士들은 에도시대를 거치면서 성리학의 윤리철학에 영향을 크게 받게 되었다. 위에 예를 든 "성"과 "경"은 모두 성리학 심성론의 중심적 개념이다. 인격의 수련에 있어 중심에 놓아야하는 행동 규범이고, 또 한시라도 살아가는 데 몸에서 떼어 놓아서는 안되는 신조이기도 하다. "성"과 "경"은 성리학이 없.. 2024. 1. 18.
문화재청장으로 직행한 중앙일보 기자 정재숙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8월 30일, 교육장관에 유은혜, 국방장관에 정경두, 여성장관에 진선미를 내정하는 중폭 개각을 단행하면서 차관급 인사도 같은날 아울러 했으니 방사청장에 왕정홍, 공무원인재개발원장에 양향자를 임명하면서 아울러 문화재청장에는 정재숙을 앉혔다. 촛불정국에서 거져먹기로 권력을 가져가면서 개막한 문재인 시대 첫 문화재청장은 문화재관리국 시대 이래 문화재청에서 행정통으로 잔뼈가 굵은 김종진金鍾陳이었으니, 실은 이 초대 문화재청장 인사가 뜻밖이라는 말이 있었다. 저 자리를 두고 친 특정 종교 성향 두 교수가 열심히 경쟁한다는 후문이 있었고, 그에 이럴 때마다 언제나 특정 종단이 개입했으니, 그런 이전투구에 느닷없이 3등으로 추천되었다는 김종진이 청장을 먹어버렸으니 말이다. 그런 김종진 시대.. 2024. 1. 18.
꼴랑 사개월 놀고 취직한 춘배 김충배가 팔자 없는 백수생활 청산하고 서울 강서구립 허준박물관장으로 갔다. 나보다 딱 한 달 먼저 작년 9월에 백수가 되었으니 같은 백수라고 맞먹는 꼴이 구토났지만 참았다. 어디 자발백수에 강요백수가 어깨를 나란히 한단 말인가? 있을 수 없는 모욕이었다. 준비된 백수가 아니었기에 맘이 편했겠는가? 아무튼 이리 기웃 저리 기웃하다 저 자리를 찾아갔으니 잘된 일이다. 기초자치단체 박물관 사정이야 말하지 않아도 짐작하리라 믿거니와 그래도 잘해내리라 믿는다. 왜? 춘배잖아? 다만 몇 가지 신신당부를 했으니 그건 먼 훗날 기회가 닿으면 이야기하려 한다. 이로써 은옥이는 불과 사개월만에 생이별을 하게 되었다. 저 온옥은 임의단체라 춘배가 명함용으로 판 페이퍼컴퍼니다. 내가 하도 그 부소장이라 했더니 진짜로 내가 그.. 2024. 1. 18.
왜 신라 무덤 유물이 압도적인가 도굴꾼 때를 타지 않은 무령왕릉은 백제 왕과 왕비가 죽어 어떤 방식 혹은 껴묻거리와 더불어 장송葬送했는지를 적나라히 보여주었으니, 그것이 출토한 유물은 왕과 왕비 합장릉이라 해서 적지 않은 수량을 자랑하지만, 문제는 동시대 신라 무덤에 견주면 그 수량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새발의 피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래 무령왕 부부릉 출토품이 많다는 점을 부정하지는 않겠지만, 이것도 상대성에 지나지 아니해서 동시대 혹은 그 어간 아래위로 위치하는 동시대 황남대총이나 천마총을 비교하면 엄청난 차이를 빚게 된다. 왜 이런 부조화가 빚어질까? 실로 단순한 이 질문을 나는 고고학도가 던지는 모습을 못 봤다. 왜일까? 나는 그게 궁금해 죽겠는데 저들은 왜 넋놓고 딴 데만 파고 있을까? *** previous artic.. 2024. 1. 18.
[2023 대만풍경](7)국립고궁박물원 남원南院 ② <조선왕조와 청 궁정예술의 만남>과 <경태람(景泰藍)>특별전 from 장남원 고궁박물원 남부 분원 전시도 만만치 않았다. 그 중 두 가지는 기억할 만한데 하나는 전시로 명나라 경태년간에 급격히 발달하게 되는 과정과 훗날 청대까지 복고하고 개발하면서 중국 최상의 금속공예로서 자리한 소위 칠보기법(Cloisonné)에 관한 것이었다. 공예분야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놓치기 아까운 전시다. 내내 황제들을 욕(?)하면서 봤다. 북원에서 열린 도자기 법랑채 기법도 실은 황실 공예로서 발달한 이 금속기법과 밀접한 연원관계에 있다. 當期展覽 - 國立故宮博物院南部院區特別展覽 謎樣景泰藍 景泰藍是指在金屬胎上以金屬絲勾勒圖樣,再反覆填燒琺瑯釉,打磨而成的作品。此項工藝又稱掐絲琺瑯,於元代(1271-1368)自拜占庭經伊斯蘭地區,傳入中國。十七世紀south.npm.gov.tw 또 하나는 전시였다. 사행이나 .. 2024.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