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절차탁마한 두보, 나오는 대로 지껄인 이백

by taeshik.kim 2023. 12. 24.
반응형

 
정확한 인용인지는 자신이 없다.

두보는 시를 쓰려면 만권의 책을 읽어야 한다고 했다.

실제 그의 작품을 보면 이런 절차탁마의 온축이 그대로 드러난다.

내 보건대 두보는 시를 짖고도 그 이후에 끊임없이 수정했다.

그 옛날 지식인들이 이른바 전고를 동원하는 원천은 기억에 의한 것이었다.

하지만 기억은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언제건 오류의 위험성에 노출한다.

이런 위험성을 내 보기엔 두보는 사후 검열로 바로잡았다. 

이를 검서檢書라 하는데, 두보 시에 이 말이 보인다. 

이는 뱉으면 그대로 시가 되었다는 이백과 뚜렷이 대비한다. 

두 사람 시를 비교하면 두보시가 어렵고 이백시가 편한 까닭은 이에서 말미암는다. (2013. 12. 23) 


***


당(唐)나라 두보(杜甫)의 시 〈봉증위좌승장 이십이운(奉贈韋左丞丈二十二韻)〉에 “글을 읽어 일만 권을 독파하니, 붓을 잡으면 신이 들린 듯했네.[讀書破萬卷, 下筆如有神.]”라고 하였다. 《全唐詩 卷216 奉贈韋左丞丈二十二韻》  

두보(杜甫)가 자신의 실력을 자부하면서 “글은 만 권의 책을 독파하였고, 붓을 잡으면 귀신이 돕는 듯하였도다.[讀書破萬卷 下筆如有神]”라고 표현하였다.  杜甫, 《杜少陵詩集 卷1 奉贈韋左丞丈》

이는 상주박물관 김주부 선생 보탬이다.

***

이백(李白)이 젊었을 때 일찍이 상이산(象耳山)에서 글을 읽다가 미처 학업을 성취하지 못한 채 그곳을 버리고 떠나는 도중에 한 노파를 만났다. 그 노파가 한창 무쇠 절굿공이를 갈고 있었으므로, 이백이 그 까닭을 묻자, 노파가 말하기를 “이것으로 바늘을 만들려고 한다.[磨杵作針]”라고 하였는데, 이백이 그의 말에 느낀바가 있어 마침내 다시 되돌아가서 학업을 다 마쳤다는 고사가 있다. 《蜀中廣記 卷12》

송(宋)나라 축목(祝穆)의 《방여승람(方輿勝覽)》 〈마침계(磨針溪)〉에 의하면 “상이산 아래 있는데, 세상에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태백이 이 산중에서 글을 읽다가 미처 다 성취하기 전에 이곳을 버리고 떠나면서 이 시내를 지나다가, 한 노파가 한창 무쇠 절굿공이를 갈고 있는 것을 보고는 그 까닭을 묻자, 노파가 말하기를 ‘바늘을 만들기 위해 갈고 있다.’ 하므로, 이태백이 그 뜻에 감동을 받아 다시 되돌아가서 학업을 마쳤다고 한다.〔在象耳山下 世傳李太白讀書山中 未成棄去 過是溪 逢老媼方磨鐵杵 問之 曰欲作針 太白感其意還 卒業〕”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전하여 학문에 끝까지 정진하는 것을 비유한다. (이 또한 김주부 선생 보탬이다)

不讀萬卷書,不行萬里地,不可與言杜:浦起龍.

만권의 책을 읽어 지식을 쌓고 만리의 여행으로 경험을 하지 않고서는 두보의 시를 함께 논할 수 없다.浦起龍(讀杜心解의 저자) (이는 김진석 선생 보탬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