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다른 삶에 대하여

인문학자 노후의 역작은 우연의 산물이 아니다

by 초야잠필 2024. 3. 14.
반응형

필자가 속해 있는 의학이나 자연과학자는 평생의 업적이 거의 젊은 시절 결판난다. 

빠르면 30대, 늦어도 50대면 결판나고 50대 후반에 들어가면 연구비 더 줘 봐야 나올 것 없다. 

경험이 어쩌고 경륜이 어쩌고 이야기 하지만 다 헛소리고

50대 후반이면 이미 의학자이건 자연과학자이건 창의성 있는 뭔가가 나올 시기는 지났다고 봐야 옳다. 

필자도 나름 30-50대는 열심히 살았다고 생각하는데 50대 후반 넘어 60이 목전에 오니 

체력도 체력인데 호기심과 창의력이 많이 감퇴한다는 것을 느낀다. 

아마도 필자가 절필하는 시기는 더 이상 궁금한 것도 없고 들여다 봐야 새로운 것도 못 만들어내는 시기가 될 것 같다. 

각설하고-. 

요즘 가끔 시간이 나면 소위 지식인이라고 부를 수 있는 사람들의 인생을 자연과학, 의학, 인문학을 막론하고 검토 중인데,

인문학자(혹은 제레드 다이아몬드처럼 전향한 인문학자)들은 확실히 자연과학자들보다는 연구의 수명이 긴 것 같다. 

소위 말하는 대작도 이른 시기에 내는 사람들은 별로 없고 

거의가 50 넘어 60 넘은 시기에 쏟아내는 경우가 많아서

확실히 인문학은 의학이나 자연과학과는 다르다는 생각을 해 본다. 

필자는 의학자로서, 자연과학자로서 정리해야 할 때 정리하고 수확하면서, 

혹시나 인문학을 접목하여 마지막 공부를 해볼 수 없을까 기웃거리는 형국인데, 이것이 성공할지 안할지는 모르겠다.

어느 분야나 나와바리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다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인문학자들의 대성이 늦은 시기에 이루어진다 해도 

대성한 사람들은 인문학자라 해도 30-60대를 치열하게 보낸 사람들이더라 이거다. 

자기 분야에서 젊은 시절 일가를 이루지 못했던 사람들이 
60 넘어 대작을 남기는 경우? 

한 번도 못 본 것 같다. 

30-60세까지 자기 분야에서 일가를 이루고 나면 그것을 판돈 삼아
60 넘어 대작으로 마지막 승부를 보는 것이 결국 공부하는 먹물들의 로망 아닐까. 

30-60세까지 자기 분야에서의 삶은 그래서

60세 넘어 대작으로 마지막 불꽃을 피워보는 경기장으로 들어갈 수 있는 입장권과 같다. 


요즘 한참 뜬다는 유발 하라리. 이 친구 책은 몇 권 봤는데 자기 분야에서 일가를 이루는 것이 먼저라고 본다. 아직 젊고, 자기가 다룰 수 있는 역량 이상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라, 겉보기에는 제레드 다이아몬드와 유사해 보이지만 못 미치는 아류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