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504

사민徙民... 농업국가의 영토개척법 우리 역사는 만주를 상실했다는 선입견 때문에 그렇지 사실 지속적인 영토확장의 역사이기도 했다. 신라-- 고려-- 조선을 거치면서 영토는 계속 북으로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한국은 농업국가이다. 이 때문에 영토가 확장된다는 것은 곧 徙民의 역사이기도 했다. 문제는 徙民을 한다고 해서 끝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아무 연고도 없는 땅으로 이식된 사람들이 제대로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이들을 지켜낼수 있는 군병력의 지원이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고려 조선시대 영토의 확장은 필연적으로 농민과 군병력을 동시에 전진시키는 병진정책이 될 수밖에 없었다 할수 있다. 조선시대 사민정책을 보면, 눈물겨운 부분이 있다. 새로 영토로 추가된 압록강 두만강 일대의 땅을 지키기 위해 삼남 지방에서 농민들이 대거 이주하였다. 세종대에는 한.. 2022. 12. 23.
안중근 의사 유족을 모시고 함께한 시사회 by 이주화 (안중근의사기념관 학예연구사) 안중근 집안(조부 안인수를 정점으로 하는 팔촌친 공동체)에서는 현재까지 독립유공자 16분을 배출했다. 어느 집안도 이를 따라갈 수 없는데 이렇게 한 집안에서 대거 독립운동을 하면 그 가문의 경제적 기반이 송두리째 날아가기 마련이다. 한양 제일 갑부라던 이회영 육형제는 전 재산을 털어 서간도에 신흥무관학교를 세웠는데 그 형제 중 이석영 선생은 말년에 상해에서 두부 찌꺼기로 연명하다가 세상을 떠났다. 황해도 해주에서 부유하기로 이름난 안중근 집안도 예외는 아니어서 원래 풍족하던 가산을 안중근 생전에 국채보상운동 참여와 삼흥학교 설립에 크게 소모하고(석탄회사와 채표회사 경영도 실패) 나머지 가산은 안중근 사후 온 식솔이 국외로 망명하면서 사라져버렸다. 근거지를 잃은 .. 2022. 12. 23.
지증왕은 왜 우산국을 정벌했는가는 지도 한 장으로 충분하다 우산국, 곧 지금의 울릉도가 왜 그리 신라한테 중요했는지, 이 지도 한 장으로 충분하다. 신라가 북쪽으로 영토를 확장해간 과정은 그 통로 특성으로 볼 적에 육로와 해로 두 가지로 나뉘는데, 특히 해로를 통한 동해안 확장은 아주 집요해서 신라는 생득적으로 왜 동해를 장악해야 하는지를 알았으니, 이미 파사왕 무렵인가 강릉 일대를 먹어버렸으며, 자비 소지왕 무렵에는 다시 그 북쪽 함흥평야 일대까지 수중에 넣었다. 지금의 마운령 황초령 턱밑까지 신라가 새로이 개척한 영토를 순수해? 뭐 그렇다니깐 이 땅을 진흥왕이 개척한 줄로 착각하는 놈 천지다. 그 순수비는 신라가 새로 개척한 땅이라 했지, 진흥왕이 개척한 땅이라는 말은 한 적이 없다. 삼국사기 봐라! 신라가 진흥왕 때 저 땅을 개척해? 자비왕 소지왕 무렵에는.. 2022. 12. 23.
조선전기에는 마운령비의 존재를 몰랐을까? 本勾高麗之所有也, 其古碑遺跡, 尙有存焉 이렇게 되어 있으니, 고려사 기록을 보면, 이때도 비 자체의 존재는 알고 있었다. 그러면 세종은 왜 윤관비를 두만강 너머에서 찾고 있었을까? 이 비를 고구려 비로 알았기 때문이 아닐까? 신라비라고는 감히 짐작도 못했을 것이다. 2022. 12. 23.
고려사에 나오는 진흥왕 순수비 앞서 윤관 북벌이 미친 지역이 진흥왕 때 순수비가 서 있는 지역 안쪽과 거의 비슷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고려사 윤관 열전에 보면 이를 시사할 만한 아주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1. 윤관이 정벌하여 획득한 땅에 대한 설명이 그 열전에 이렇게 나온다. 其地方三百里, 東至于大海, 西北介于盖馬山, 南接于長·定二州, 山川之秀麗, 土地之膏腴, 可以居吾民. 而本勾高麗之所有也, 其古碑遺跡, 尙有存焉, 夫勾高麗失之於前, 今上得之於後, 豈非天歟? 그 땅의 둘레는 300리로 동쪽은 대해大海에 이르렀고 서북의 경계는 개마산盖馬山이며 남쪽으로는 장주長州·정주定州의 2주에 닿았는데, 산천은 수려하고 토지는 기름져서 우리 백성들이 살 만하였다. 본디 고구려 소유로 옛 비석 유적이 아직도 남아 있었다. 무릇 고구려가 예전에.. 2022. 12. 23.
한국사가 특필해야 할 정안국定安國 정안국이라는 나라가 있다. 발해가 멸망한 후에 그 유민이 세운 나라로 발해 멸망 후 부흥운동을 설명할 때 나온다. 이 나라에 대해서는 주목해야 할 이유가 몇 가지 있다. 간단히 써 본다. 1. 우선 정안국이라는 나라는 존속 기간이 아주 길다. 사서에 나오는 부분 그 전기간을 존속했다고 본다면 938년에서 985(혹은 986년까지) 무려 50년 가까이 존속했다. 후백제 존속기간이 36년 정도다. 2. 정안국은 발해 땅 중에서도 대체로 위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한반도 북부와 남만주 일대에 존속한 것으로 보인다. 위치가 위치인 만큼, 그 주민은 말갈계가 아니라 예맥계였던 모양으로 중국 사서에는, 定安國本馬韓之種 이라 해놨다. 발해에 대해 중국이 끈덕지게 속말말갈 딱지를 붙이려 했던 것과 비교해서 이례적이라 할.. 2022. 12. 22.
수레[車] 마구馬具 관련 부품 명칭 수레나 말은 자동차 발명 이전에는 자가용이었다. 그런 만큼 그 부품 명칭은 일상 생활 깊이 들어와 각종 비유로도 널리 쓰였다. 그 명칭이 복잡 다기하기는 하지만, 이것만 잘 익혀 놔도 써 먹을 만한 데가 적지 않다. 저 도판은 진시황제 병마용갱 중 제2호갱 출토 마차 실물을 토대로 하는 복원품 마차와 수레 관련 부품별 명칭이니 수시로 참조하기 바란다. 2022. 12. 22.
신라사 최대 미스터리 금성金城, 그것이 있을 곳은 지구상 오직 하나 월성이 왕궁으로 기능하기 전, 혹은 그것이 건설되기 전, 나아가 그것이 건설되고서도 한동안 같이 왕궁으로 기능한 금성金城이야말로 명실상부한 천년왕국 신라의 정궁正宮이요 법궁法宮이다. 그것을 증언하는 기록들을 보면 월성보다 금성은 규모가 컸다. 그렇지만 그 기록 자체에 모순투성이라, 무엇보다 그 위치를 가늠할 수 없다. 그렇지만, 금성이 포진할 수 있는 데는 지구상 딱 한군데 밖에 없다. 좁에 잡으면 앞, 넓게 잡으면 아래쪽이 금성이 포진하는 범위다. 이쪽 지역을 금성 후보지로 지목한 이는 더러 있다. 이건 내가 그들의 견해를 따라서가 아니라, 순전히 내가 관련 기록과 고고학적 발굴성과들을 비교해 검토할 적에 때려죽여도 금성 위치는 저 범위에 포진한다. 2022. 12. 22.
진흥왕대 국경선 아래 김 단장 쓰신 글을 쓰고 덧붙이면, 신라가 진흥왕 때 동해안을 따라 멀리 북상했는데, 저때 신라는 가다가 멈춘 것이 아니라 종족적인 면에서건 지리적인 면에서건 거의 갈 때까지 간 상태였다고 봐도 옳지 않을까 한다. 실제로 신라의 저 동북쪽 경계선은 돌파가 지난하여 그 후 900년이 지난 세종대에야 겨우 돌파하여 두만강 선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윤관의 북벌은 여러가지 이설이 있지만 그 북쪽 경계가 진흥왕의 북벌선 이북으로 못 올라갔으리라 본다. 윤관의 북벌 북상 최대를 두만강 넘어 선춘령으로 본 것은 희대의 천재 세종이 육진을 우리 땅으로 굳히기 위한 명분쌓기용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실제로 윤관 북벌의 북상치는 지금 황초령, 마운령비정도였을 것이라 본다. 윤관도 이때 지리적 경계, 종족적 경.. 2022. 12. 22.
고려가 제작해 일본, 그리고 오키나와로 간 범종 국립문화재연구원(원장 김연수)은 지난 16일 오후 3시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미국에서 활동하는 동아시아 불교미술사 분야 전문가 셰리 파울러 Sherry D. Fowler 미국 캔사스대학교 교수를 초빙해 '한국-일본-류큐를 이은 가교: 일본의 두 고려 범종 Two Buddhist Bells as Interregional Bridges between Korea, Japan, and Ryukyu'을 주제로 하는 특별 강연을 개최했다는데, 문화재청장(최응천)이 범종 전문가라서인지 그런 인연에서 비롯한 특강 아닌가 싶다. 이 강연이 연구원으로서는 "국제적 관점에서 우리 문화유산을 연구하는 역량을 강화하고 미래지향적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올해 시범 운영하는 '국외 전문가 초청사업(Visiting Scholar P.. 2022. 12. 22.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온라인 공개를 시작한 ‘고려도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하는 ‘난파선 출수 고려도기 종합 연구 및 활용’ 사업 그 중간 결과물로 《고려도기 자료집》을 발간하고선, 그것을 21일을 기점으로 고려도기 DB 온라인 서비스를 개시했다. 그렇다면 자료집은 어떤 식으로 구성되었는가? 930개소 유적에서 발견된 3천800점에 달하는 고려도기 자료를 총 4권에 담았으니 ▲ Ⅰ권 해양유적 ▲ Ⅱ권 분묘유적 ▲ Ⅲ권 생활유적 ▲ Ⅳ권 도자기 생산유적과 기종별 도기로 구성되니, 해양연구소라 해서 해양에서 건져낸 유물만 수록한 것만을 아님을 알겠다. 관련 발굴보고서와 유물, 사진 등은 연구소 누리집(https://www.seamuse.go.kr, 자료마당-고려도기 DB)에서 공개를 시작했다. 한국 관련 학계에서 .. 2022. 12. 22.
산송과 측량, 경계 조선시대 후기, 살인사건의 상당수가 산송, 즉 조상들 묏자리 때문에 발생했다는것은 잘 알려져 있다. 남의 선산에 자기 조상의 묘를 슬쩍 묻거나 여기가 네 땅이냐 내땅이냐를 두고 발생하는 분쟁들로 이런 싸움은 가문의 명예를 걸고 치고받기에 살인사건으로 비화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이런 산송이 비일비재했던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부정확한 측량과 경계의 설정이었다. 산송이 발생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산도형을 그려 제출하는데 그림을 딱 보면 싸움이 안 날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게 그려놓았던 것이다. 모호함은 약자와 강자가 모두 선호할 때가 많다. 약자는 모호함 속을 파고 들 기회를 보게 되고 강자는 그 모호함을 기화로 약자를 강박할 기회를 가질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근대적 측량 기법이 도.. 2022. 12. 22.
신라왕경을 장안성 평원경에 끼워맞추지 마라! 신라 왕경 연구가 왜 계속 헛다리 짚는가 하면 동아시아 맥락이라는 그럴 듯한 시각에서 툭하면 장안성 갖대 대고 평원경 갖다 대서 그렇다. 신라 왕경은 혁거세 건국 이래 천년간 단 한 번도 이동없이 그 천년간 간단없이 변모했으며, 시종 개발 압력에 시달렸으니 그 획기가 법흥왕 무렵이었거니와, 이 시절이 되면 이미 경주 분지내는 왕릉조차 쓸 땅이 없어(이는 말할 것도 없이 묘지가 늘어나서가 아니라, 주거 개발 압력 때문이었다!!!! 이걸 모르니 헛소리가 남발한다.) 외곽으로 튀어나갈 수밖에 없었다. 천년간 옴짝달짝도 못한 채 편의에 따라 변모한 경주 왕경을 제정신 박힌 놈이면 걸핏하면 신왕조 개창했으니 새술은 새부대를 외치며 허허벌판 찾아나서 LH 동원해 북극성에다가 딱 중심을 맞춘 다음, 그것을 기점으로 .. 2022. 12. 21.
월성에서 전랑지로 이어졌으리라는 경주 신라왕경 남북대로 신라 왕궁 북문으로 들어가는 남북대로 찾았다 송광호 / 2022-12-21 10:07:54 폭 20m, 잔자갈 바닥에 깔아…대로 서북쪽에서 배수로도 확인 https://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3576370173 신라 왕궁 북문으로 들어가는 남북대로 찾았다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발천은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월성 북쪽과 계림을 지나 남천으로 흐르는 하천이다. 신라 시조 박혁거세 왕의 비인 알영이 발천에서 겪은 일화가 ′삼국유사 k-odyssey.com 이번 조사 성과는 앞 첨부한 기사를 참조했으면 하고, 우선 도판으로 이번 성과를 정리한다. 좀 생각할 여지가 있다. 신라 왕경론은 피력할 기회를 엿보겠다. #신라왕경 #월성 #남북대로 #발천 2022. 12. 21.
자기전에 쓰는 광개토왕비문 “百殘新羅 舊是屬民 由來朝貢 而倭以辛卯年來 渡海破百殘□□[新]羅 以爲臣民” 여기서 신라 앞에 빠진 두글자는 저게 리듬감 있게 딝히려면 백잔 앞의 동사와 댓구를 이루는 동사 두 글자가 들어오는게 맞다. 저 자리는 "임나"라는 명사가 들어올 자리가 아님. 저기에 임나를 끼워 넣은거야 말로 황당한 소린데, 바로 앞에 "구시속민"이었던 나라도 "백잔신라"로 임나는 없다. 저기에 임나를 끼워 넣은것은 전적으로 왜가 자칭했다는 이 벼슬에 대한 미련 때문임. 自稱使持節·都督倭 百濟 新羅 任那 秦韓 慕韓六國諸軍事·安東大將軍·倭國王 저 두 글자에 임나가 들어와야 할 이유? 아무것도 없음. 하지만 저 빠진 두 자에 정작 나라이름 2자를 넣어서 앞에서 부터 읽어보면 얼마나 끊어 읽기가 힘든지 금방 안다. 저 두 글자는 명사.. 2022. 12. 20.
파리, 꼴랑 한 번 보고 골백 번 본 듯한 환상 미라보 다리 아래로 세느 강은 흐르고 우리 사랑도 흘러가네 Sous le pont Mirabeau coule la Seine Et nos amours 파리를 가 봤어야 세느강이 흐르는지 미시시피가 흐르는지 다리껄이 있는지 없는지? 흘러가는지 뭉칬는지 알지? *** 2014년 9월 3일에 나는 저리 뇌까렸다. 믿거나말거나 저때까지도 나는 파리는커녕 프랑스라는 나라도 밟은 적 없고 불란서는 고사하고 로마는커녕 이태리도, 아테네는커녕 그리스도 밟은 적 없다. 그런 내가 2015년 11월, 해직되고서 2년을 룰루랄라 탱자탱자하던 시절에 저들 나라 저들 도시를 난생 첨으로 돌았으니 그때 내가 생각한 저들 도시 여행시리즈 제목이 였으니 감격에 계워 그랬겠는가 억울해서 그랬겠는가? 나중엔 저 제목이 너무 직설적이라 .. 2022. 12. 20.
누에는 모든 사육동물의 미래 모습 사람들이 잊고 있는 것 중에 누에는 "사육 동물"이라는 사실이 있다. 그것도 아주 오래된. 의식주 중 의衣를 담당한 인류사에 기여도도 만만치 않은. 원래 자연에 살아가던 나방의 한 종류였던 누에는 사람이 사육하기 시작하면서 날지도 못하게 되었고 사람 손을 빌어서야 번식할 수 있는 존재가 되었다. 다른 사육동물인 개가 가장 오래된 사육 역사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야생종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것을 보면, 이 정도로 사람에게 의존성이 강한 사육동물은 그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이다. 누에는 다른 사육동물보다 세대가 빨리 교체되어 내려가는데 그것이 이 동물의 변화를 촉진한 것 같고, 또 사육의 역사 자체가 만만치 않게 길다는 증거도 되겠다. 야생에서 생존능력을 완전히 상실한 누에는 우리가 지금 키우는 모든 .. 2022. 12. 20.
[유성환의 AllaboutEgypt] 투탕카멘과 하워드 카터 (10) 투탕카멘의 사인 - 국왕살해의 범인은 누구인가 (2) 투탕카멘 Tutankhamun (재위 기원전 1336~1327) 사후 왕위에 오른 인물은 아이 Ay (재위 기원전 1327~1323)와 호렘헵 Horemheb (재위 기원전 1323-1295)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이 소년왕을 살해한 범인들일까요? 롱아일랜드 대학 Long Island University 선임연구원 밥 브라이어 Bob Brier (1943년-현재)는 투탕카멘을 시해한 범인으로 아이를 지목했습니다. 그러나 아이 역시 투탕카멘을 살해할 이유가 거의 없는 인물로 보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여러 정황 증거를 근거로 학자들은 아이를 아멘엠하트 4세/아켄아텐 Amenhotep IV/Akhenaten (재위 기원전 1352~1336) 어머니인 투야 Tuya 형제, 그리고 / 혹은 왕비 네테르타리 N.. 2022.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