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381

계왕(契王)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계왕본기 : 계왕(契王)은 분서왕의 맏아들이다. 타고난 자질이 강직하고 용감하였으며 말타고 활쏘기를 잘하였다. 처음 분서왕이 죽었을 때 계왕은 어려서 왕위에 오르지 못했다. 비류왕이 재위 41년에 죽자 즉위하였다. 3년(346) 가을 9월에 왕이 죽었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12대 계왕(契王)은 분서(汾西)의 원자(元子)이다. 갑진년에 즉위해 2년을 다스렸다.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근초고왕본기 즉위년 : 근초고왕(近肖古王)은 비류왕 둘째 아들이다. 체격과 용모가 기이하고 빼어났으며 원대한 식견이 있었다. 계왕이 죽자 왕위를 이었다. 2018. 3. 2.
고이왕(古尒王)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고이왕(古尒王)은 개루왕(蓋婁王) 둘째 아들이다. 구수왕이 재위 21년에 죽자, 맏아들 사반(沙伴)이 왕위를 이었으나 어려서 정치를 할 수가 없었으므로, 초고왕의 동복 아우[母弟] 고이가 왕위에 올랐다. 3년(236) 겨울 10월에 왕이 서해의 큰 섬에서 사냥하였는데 손수 40마리의 사슴을 쏘아 맞혔다. 5년(238) 봄 정월에 천지에 제사를 지냈는데 북과 피리[鼓吹]를 사용하였다. 2월에 부산(釜山)에서 사냥하고 50일만에 돌아왔다. 여름 4월에 왕궁 문기둥에 벼락이 치자 누른 용이 그 문으로부터 날아 나갔다. 6년(239) 봄 정월에 비가 오지 않다가 여름 5월에 이르러서야 비가 왔다. 7년(240)에 군사를 보내 신라를 쳤다. 여름 4월에 진충(眞忠.. 2018. 3. 2.
사반왕(沙伴王)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즉위년 : 고이왕(古尒王)은 개루왕(蓋婁王) 둘째 아들이다. 구수왕이 재위 21년에 죽자, 맏아들 사반(沙伴)이 왕위를 이었으나 어려서 정치를 할 수가 없었으므로, 초고왕의 동복 아우[母弟] 고이가 왕위에 올랐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7대 사반왕(沙泮王)은 沙□□라고도 하는데 구수(仇首)의 아들이다. 즉위와 더불어 폐위됐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11대 비류왕(比流王)은 구수(仇首)의 둘째 아들인데 사반(沙泮)의 동생이다. 갑자년에 즉위해 40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남부여(南扶餘) 전백제(前百濟) 북부여(北扶餘) : 시조(始祖) 온조왕은 동명왕(東明王)의 셋째아들로서 몸이 장대하고 효도와 우애가 지극하고, 말 타기와 활 쏘기를.. 2018. 3. 2.
기루왕(己婁王) 삼국사기 권 제23(백제본기 제1) 다루왕본기 : 6년(서기 33) 봄 정월에 맏아들 기루(己婁)를 태자로 삼고, 크게 사면했다. 삼국사기 권 제23(백제본기 제1) 기루왕본기 : 기루왕(己婁王)은 다루왕 맏아들이다. 뜻과 식견이 넓고 원대하여 사소한 일에 마음을 두지 않았다. 다루왕이 재위 제6년에 태자로 삼았고, 50년에 이르러 왕이 죽자 왕위를 이었다. 9년(서기 85) 봄 정월에 군사를 보내 신라의 변경을 쳤다. 여름 4월 을사에 객성(客星)이 자미(紫微) [별자리]로 들어갔다. 11년(서기 87) 가을 8월 그믐 을미에 일식이 있었다. 13년(서기 89) 여름 6월에 지진이 일어나 땅이 갈라져 민가를 함몰시키니 죽은 사람이 많았다. 14년(서기 90) 봄 3월에 크게 가물어 보리 수확이 없었다... 2018. 3. 2.
진의(眞義)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비류왕본기 : 30년(333) 7월에 진의(眞義)를 내신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우복(優福)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비류왕본기 : 18년(321) 봄 정월에 왕의 서제(庶弟) 우복(優福)을 내신좌평(內臣佐平)으로 삼았다. 24년(327) 9월에 내신좌평 우복이 북한성(北漢城)을 근거로 삼아 반란을 일으키자 왕이 군사를 발동해 토벌했다. 2018. 3. 2.
보과(寶菓)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책계왕본기 : 책계왕(責稽王)은 고이왕 아들이다. 키가 크고 뜻과 기품이 웅장하고 뛰어났다. 고이가 죽자 왕위에 올랐다. 왕이 장정들을 징발해 위례성(慰禮城)을 보수했다. 고구려가 대방(帶方)을 정벌하자 대방이 우리에게 구원을 청했다. 이에 앞서 왕은 대방왕(帶方王)의 딸 보과(寶菓)를 맞이하여 부인(夫人)으로 삼았기 때문에 “대방과 우리는 장인과 사위의 나라이니 그 청에 응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고는 드디어 군사를 내어 구원하니 고구려가 원망하였다. 왕은 고구려의 침공과 노략질을 염려하여 아차성(阿且城)과 사성(蛇城)을 수축하여 이에 대비하였다. 2018. 3. 2.
직선(直宣)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33년(266) 가을 8월에 군사를 보내 신라의 봉산성(烽山城)을 공격하였다. 성주 직선(直宣)이 힘센 군사[壯士] 200명을 거느리고 나와 쳐서 우리 군사를 이겼다. 2018. 3. 2.
유기(惟己)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곤노(昆奴)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고수(高壽)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우두(優豆)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진가(眞可)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우수(優壽)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7년(260) 3월에 왕의 동생 우수(優壽)를 내신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나갈(羅渴)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5년(258) 봄에 말갈 추장 나갈(羅渴)이 좋은 말 열 필을 바쳤다. 왕은 사자를 후하게 위로하여 돌려보냈다. 2018. 3. 2.
익종(翊宗)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2년(255) 가을 9월에 군사를 내어 신라를 쳤다. 신라의 군사와 괴곡(槐谷) 서쪽에서 싸워 이기고 그 장수 익종(翊宗)을 죽였다. 2018. 3. 2.
진물(眞勿)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14년(247) 2월에 진충(眞忠)을 우보(右輔)로 삼고, 진물(眞勿)을 좌장으로 삼아 군사 업무를 맡겼다. 2018. 3. 2.
질(質)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9년(242) 여름 4월에 숙부 질(質)을 우보(右輔)로 삼았다. 질(質)은 성품이 충직하고 굳세어 일을 꾀함에 실수가 없었다. 2018.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