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370

일본 무가武家 "나노리 名乗り"는 기원이 한반도인가 나노리 名乗り라는 일본 무가武家 전래의 전통이 있다. 그 정의는 다음과 같다. 名乗り(なのり)とは、戦において武士が味方や敵に向かって自分の姓名・身分・家系などの素性、戦功、戦における自分の主張や正当性などを大声で告げること。武士の作法として、名乗りが行われている間に攻撃することは良しとされなかった。戦場では自分の勇名や戦功を喧伝するためなどに行われ、味方の士気を上げるためや相手方の士気を挫いたり挑発するためにも行なわれた。 간단히 말하자면 싸움 전에 상대편에 관등 성명을 대는 것이다. 나는 누구누구의 자손 누구인데 어쩌고.. 하는 것인데 이건 상대편 들으라고 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우리편, 정확히는 자신에게 상을 내릴 사람 들으라고 하는 것이나 다름 없다. 상대편 성을 공격할 때 선착하면 마찬가지로 나노리를 한다. 내가 누군데 누구 성.. 2022. 12. 14.
부여 군수리 절터가 드러낸 중문·회랑 흔적(사진) '백제 옛 절터' 부여 군수리 사지서 중문·회랑 터 확인 김예나 / 2022-12-14 10:11:36 기단석·기와 일부 발견…"사비도성 내부 사찰 규모 파악할 중요 자료" https://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3873395343 ′백제 옛 절터′ 부여 군수리 사지서 중문·회랑 터 확인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백제가 부여에 도읍을 둔 사비기(538∼660) 시절 주요 사찰 유적으로 꼽히는 ′부여 군수리 사지′(寺址·절터)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건물 흔적이 확인됐다. 문 k-odyssey.com 2022. 12. 14.
사비시대의 물부씨物部氏 패밀리 앞에서 언급한 물부이세부근物部伊勢父根와 물부순物部珣은 백제와 관련이 깊은 왜계 인물들이지만, 이들 각자 한명씩 떼 놓고 보면 이들이 백제에 정주하며 백제왕에게 온전히 충성하며 산 일족인지 판별하기가 쉽지 않다. 우선 物部伊勢父根은 가야와 백제 일을 중재하는 데 잠깐 사서에 나오며, 物部珣은 백제 멸망 후 당에서 발견된 묘지명에 그와 흑치상지의 관계가 적혀 있을 뿐 그 이전 사적에 대해서는 자세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物部伊勢父根와 物部珣을 백제왕실에 충성한 왜계 백제관료 일족으로 보는 시각이 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 네 사람 때문이다. 물부마기모物部麻奇牟, 물부용가다物部用歌多, 물부가비物部哥非, 물부오物部烏 이 네 사람은 형제관계로 보이는데 일본 측 기록에는 "100% 백제왕의 신하"로 .. 2022. 12. 14.
통일신라시대 7각 건물 구미 문성리 549번지 유적 통일신라시대 7각 건물지 세종문화재연구원, 2020, 구미 문성리 549번지 유적 *** 편집자주 *** 요상하다. 북두칠성이야 뭐야? 적심 양상을 보면 사이사이 나중에 찡긴 듯한 느낌도 있다. 2022. 12. 13.
흑치상지黑齒常之와 그의 사위 물부순物部珣 흑치상지라는 사람이 있다. 백제멸망 당시 부흥군을 이끈 사람으로 그 후 당에 항복하여 그곳에서도 활동한 사람이다. 흑치상지의 성 "흑치黑齒"에 대해서는 여러 이설이 있지만, 중국에서 발견된 그의 묘지명에는 百濟人也。其先出自扶余氏,封於黑齒,子孫因以為氏焉。라 되어 있어 흑치는 지명으로 보인다. 원래 부여씨였지만 갈려 나왔으니 일본에서 흔히 보이는 바대로 "창씨'를 한 셈이 되겠다. 사실 "창씨"의 전통은 일본보다 백제에서 먼저 보이는 것 같아 어쩌면 일본 창씨 전통의 기원은 백제에 있을지도 모르겠다. "흑치"에 관련하여 제시된 바 없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나 소개하고자 한다. 일본에서는 귀족들이 이빨을 검게 물들이는 풍습이 있어 심지어는 전국시대까지도 귀족 취향의 무사들은 이빨을 검게 물들이고 했다는데 실제.. 2022. 12. 13.
성왕은 진흥왕에게 "배신"당한 것이 아니다 성왕이 죽는 장면은 장렬하여 읽는 사람에게 비통함을 준다. 아들을 구하기 위해 (찾아보기 위해) 가다가 신라 매복에 걸려 승하하게 되었는데 그 장면은 사서에도 자세하니 여기 따로 쓰지는 않겠다. 성왕은 일본측 사료에서도 극찬을 아끼지 않은 매우 명민한 명군으로 알려져 있는데, 성왕의 불행이라면 불행은 당시 명군은 백제에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성왕은 흔히 진흥왕에게 "뒤통수를 맞아" 한강유역을 상실했다고 생각하는데 일본 측 사료를 읽어보면 그게 아니다. 아래는 흠명 5년 (544년) 기사이다. (동북아역사재단). 신라가 백제의 한강유역을 뺏어 영유한 것은 553년의 일이니 소위 나제동맹이 깨지기 11년 전의 일이다. 성명왕이 “임나국은 우리 백제와 예부터 지금까지 자제와 같이 되겠다고 약속하였다.. 2022. 12. 13.
백제 모노노베씨物部氏 : 어느 왜계백제관료 집안 이야기 (1) 영산강 일대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 이야기가 나올 때 이를 설명하는 방법으로 "왜계백제관료倭系百濟官僚"를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다. 신문에도 자주 나온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왜계백제관료"라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앞에서 설명했듯이 동성왕대는 백제라는 나라에서도 엄청난 변화가 있던 때였고 동성왕 때 시작된 변화가 무령왕, 성왕 등 후대의 왕까지도 이어졌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국내 기반이 없던 방계 왕족이 그동안의 왕실이 통채로 사라지는 통에 새로운 왕이 되어 본국으로 귀환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귀국 당시 동성왕 나이는 10대였을 것이라고 추정들 하고 있다. 태어나서 한번도 백제를 가 보지 못했을 것이고 그때까지 계속 왜에서 자랐던 만큼 한국말보다는 일본말에 더 익숙했을 것이라는 점은 쉽게 짐작할 수.. 2022. 12. 12.
과거의 오늘, 편의의 주기周期가 들추는 生의 이력 페이스북이며 인스타그람이며 하는 SNS가 몰고온 풍조 중 하나는 과거에 대한 반추라, 페이스북의 경우 그것이 제공하는 기능 중에 '과거의 오늘' 혹은 'memories'라는 기능이 있어 나 역시 그러하고, 저에 입문한 다른 사람들한테서도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한데, 새 날이 열리면서 저기를 월하의 공동묘지 찾는 강시처럼 클릭하곤 하니 저 기능을 누가 개발했는지 모르지만, 기똥찬 상품임에는 틀림없어 사람한테는 돌아보기가 본능임을 절묘하게 포착한 까닭 아니겠는가? 과거는 들추어서 무얼하겠냐마는, 또 그것이 분절하며 제공하는 시점이 꼭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그 주기에 맞추어야 하는지는 모르겠다만, 아무튼 저 기능을 이용하면 1년 전, 혹은 2년전 혹은 내가 저에 입문하고 나서 긁적거린 흔적 중에서도.. 2022. 12. 12.
평안 평안 평안하다는 이하응, 진짜 그랬을까? 모 경매에 나온 흥선대원군 석파 이하응(1820-1898)의 간찰이다. 그런데 그 내용이 아주 재미있다. 누가 보낸 간찰에 답신으로 보낸 건데 별로 할 말이 없었는지, 진정 상대가 잘 지내기를 바란 것인지, 아니면 웃기려고 유머감각을 발휘한 것인지 언뜻 감이 잘 안 잡힌다. 혹 모르겠다, 지독한 현실의 벽 앞에서 반어법으로 평안을 운운했던 것일는지도... 아래 탈초 번역은 일단 임의로 해 보았는데, '호지무화초胡地無花草' 격으로 접미사는 붙이기 나름일 듯하다. 봄을 전송하니 평안하고, 여름이 되니 평안하오. 천지가 평안하니 인생이 평안하더구려. 나는 평안한데 그대는 평안하신지? 봉투가 평안하면 오는 것 모두가 평안할게요. 운운 운하에서 답하오 4월 6일 餞春平安 立夏平安 天地平安 人生平安 我平安 汝平安 .. 2022. 12. 12.
영월 정양산성이 채우는 약사동 제방의 미싱 링크 앞서 나는 울산 약사동제방 유적을 소개했으니, 아래 글이 그것이라. 나한테 굴욕을 안겨준 약사동 제방 유적 발굴 https://historylibrary.net/11650 나한테 굴욕을 안겨준 약사동 제방 유적 발굴 울산 약사동 제방은 한국고대 수리水利 양상을 실증하는 획기적 유적이다. 6~7세기 신라가 남긴 흔적으로 고대 제방 중 이토록 완벽히 남은 경우는 드물다. 저수지이자 댐이며 보인 셈인데 그 가 historylibrary.net 6~7세기 신라의 수리水利체계를 생생히 증언하는 이 약사동 제방은 그 중대성에 견주어 가장 중요한 하나를 확인할 수 없었으니, 댐이요 보이며 저수지인 저 제방에서 가장 중요한 수문水門 확인에 실패했다. 저 거대한 제방에 어찌 물을 조절하는 수문이 없었겠는가? 다만 실로 .. 2022. 12. 11.
나한테 굴욕을 안겨준 약사동 제방 유적 발굴 울산 약사동 제방은 한국고대 수리水利 양상을 실증하는 획기적 유적이다. 6~7세기 신라가 남긴 흔적으로 고대 제방 중 이토록 완벽히 남은 경우는 드물다. 저수지이자 댐이며 보인 셈인데 그 가치를 인정받아 나중에 사적으로 지정되고 또 전시관까지 건립되기도 했다. 이 약사동 유적은 발견 당시 대서특필해야 했지만 언론에는 아주 늦게 노출된 유적으로 나한테 각인한다. 내가 문화재업계 발을 딛고선 이래 국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발굴은 두 가지가 있을 뿐이었으니 첫째 내가 알고도 보도하지 아니하거나 그 보도시점을 유예한 발굴과 둘째 내가 까발린 발굴 두 가지가 있을 뿐이었다. 한데 이 약사동 제방 유적은 까마득히 내 정보망을 새어나갔으니 그 사업시행자 토지공사, 구체로는 춘배 소행이었다. 아주 새까맣게 숨긴 것이다... 2022. 12. 11.
군산 고군산군도 해저발굴 4K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rXE-F8c7I7Y&t=28s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군산 고군산군도 앞바다 해저발굴을 벌인 결과 각 시대를 망라하는 각종 유물 360여 점이 수습됐다. 개중에는 조선시대 공납품으로 추정하는 숫돌 100점이 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영어판 동영상을 만들어야 하는데 밍기적밍기적 거리는 중이다. 2022. 12. 11.
고려사가 증언하는 김부식 그 단면 『고려사高麗史』김부식 열전을 보면 이런 내용이 보인다. 송나라의 사신 노윤적路允迪이 왔을 때 김부식이 관반舘伴이 되었는데, 사신의 수행원 서긍徐兢이 그가 글을 잘 짓고 역사적 사실에 밝은 것을 보고 그 사람됨을 좋아하게 되었다. 『고려도경高麗圖經』을 저술하면서 김부식의 세가世家를 싣고 또 그 생김새를 그려 가지고 돌아가서 황제에게 보고했다. 황제가 사국司局에 명령을 내려 판에 새겨서 널리 전하게 하니, 이 때문에 김부식의 이름이 천하에 알려졌다. 뒤에 송나라에 사신으로 가서는 가는 곳마다 극진한 예우를 받았다. 요즘 식으로 얘기하면 이런 것 아닐까? 어떤 사람이 영길리국永吉利國에 갔는데, 그 국인國人이 어디서 왔느냐 물었다. 나는 한국에서 왔소라고 하니 對曰, ''Oh! 두 유 노우 소능민?"이라 하였다. 2022. 12. 11.
계묘년癸卯年, 토끼띠를 맞이하는 2023년 [국립민속박물관] 옛사람들은 토끼를 어떻게 생각했나…'새해, 토끼 왔네' 특별전 김예나 / 2022-12-09 08:50:31 국립민속박물관, 계묘년 앞두고 토끼 관련 장식품·그림 등 70여 점 소개 https://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0842528336 옛사람들은 토끼를 어떻게 생각했나…′새해, 토끼 왔네′ 특별전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바다에 가서 토끼 찾기′, ′뛰는 토끼 잡으려다 잡은 토끼 놓친다′,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 노릇 한다′….우리 속담에는 토끼와 관련된 내용이 많다. k-odyssey.com 벌써 한 해가 저물고 2023년을 코앞에 두고 있으니, 내년은 간지로는 계묘년癸卯年이라, 때동물로는 토끼띠 해에 해당한다. 토끼는 실제 동.. 2022. 12. 11.
한국문화유산협회 [야외고고학] 제46호 원고 모집 🤩야외고고학 제46호 원고 모집🤩 ✅모집분야 - 협회 및 회원기관의 조사·연구 활동에 관한 연구논문 - 매장문화재 조사 이론과 방법에 관한 연구논문 - 고고학 일반의 연구논문 - 고고학 발전에 기여할 만한 연구동향에 관한 글 - 자료 소개, 번역논문, 비평논문(서평) 등 ✅투고자격 - 협회 회원기관 소속 연구원 ※ 비회원기관 소속 연구원 및 개인연구자도 편집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투고 할 수 있음 ✅접수기간 - 2022년 12월 30일(금) 까지 ✅접수방법 - 협회 이메일(hmh-9260@hanmail.net) ✅연구비 - 게재 결정 시 연구비(50만원 이내) 지급 - 회원기관 소속 투고자에 한함 🔗협회 누리집 해당 게시글 링크 http://www.kaah.kr/index.php?group=d&before.. 2022. 12. 11.
발굴조사 중요출토자료 정책공청회 📢발굴조사 중요출토자료 정책공청회 개최📢 발굴조사를 하면서 인골, 미라, 동물 뼈 등이 나온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한국문화유산협회는 문화재청 국고위탁사업으로 인골, 미라, 동물뼈, 초목류 등 중요출토자료의보관 연구비용 지원을 위한 「발굴조사 중요출토자료 보관·연구지원사업」을 추진하고있습니다. 이에 실무절차 정립 · 전파 및 추가 제도개선에 대한 의견수렴 등을 위해 아래와 같이 정책공청회를 개최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주최 · 주관 : 문화재청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대 상 : 조사기관 담당자, 인골 등 중요출토자료 관련 연구자 및 기관 등 ✅일 시 : 2022.12.13.(화) / 13:30 ~ 16:20 ✅장 소 : 대전전통나래관 다목적강당(대전광역시 소재) ✅내 용 : 제도개선사항 .. 2022. 12. 11.
한양을 지켜낸 연융대성(탕춘대성) 감사원 《감사》 2022년 9, 10월호 .vol164에 실린 〈한양을 지켜낸 연융대성(탕춘대성)〉입니다. 전체는 아래 링크에서 pdf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https://www.bai.go.kr/proa.../ebook/ttsbook/vol164/book.html 2022. 12. 11.
영산강 유역은 "가야"인가? 앞에 임나사현에 대한 글을 쓰고 백제에 대한 글도 적고, 문외한인 필자가 좀 무리를 했다. 그 까닭은 다음 이야기를 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1. 일본에서 볼 때, 가야=임나다. 한국 쪽에서는 가야와 임나를 나누어 보는 시각도 있는 듯한데, 이 둘은 일본에서 보면 같다. 따라서 현재 일본 교과서 등지에서 가야라고 적어 놓은 판도는 과거의 "임나"를 이름만 바꾸어 놓았다고 생각하면 된다. 2. 일본에서는 영산강유역을 "가야"라고 포함한 모습을 자주 본다. 특히 최근 영산강 유역에서 전방후원분이 다수 발견되면서 그런 추세는 더 강화하는 듯하고, 대개 이런 시도를 할 때, 영산강유역에 상다리, 하다리, 모루를 갖다 놓는 일이 많다. 이들 지명은 일본서기에서 "임나사현"으로 나오는 곳이다. 따라서 일본 측에서 영.. 2022.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