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물푸레나무2

물푸레나무 윤행임(尹行恁, 1762~1801)의 《석재고(碩齋稿)》 권17, 〈金石隨錄(금석수록) 청탄지(靑灘誌)〉에서 물푸레나무를, ‘물푸레’는 심목(樳木)을 세간에서 부르는 이름이다. 《도경》에서 찾아보니 침피(梣皮)나무라고도 부르고, 석단(石檀)이라고도 부르고, 번규(樊槻)라고도 부르고, 진피(秦皮)나무라고도 부른다.[水靑者樳木之俗稱也。考諸圖經, 或稱梣皮, 或稱石檀, 或稱樊槻。或稱秦皮。] 라고 하였다. 물푸레나무는 약재, 가구재 말고도 이 나무로 만든 숯으로 쇠를 제련하였고, 활의 재료이기도 하였으며, 껍질 우린 물은 먹을 대신하기도 했는데, 탈색되지 않는다고 한다. 한자 이름은 이것 말고도 계화(桂花), 청피(青皮), 목서(木樨) 등이다. 사진은 파주 무건리 물푸레나무(천연기념물 제286호)로 사진은 파주시.. 2020. 11. 13.
착착 감기는 느낌 좋아 곤장이 된 물푸레, 장영실을 때려잡다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고 물푸레나무도 막상 찾으려면 만나기가 쉽지는 아니하다. 함에도 야산 어디에서건 쉽사리 자란다. 요롷게 생겨 먹은 놈인데 많이 봤을 것이다. 이건 뭐 사랑받는 나무가 아니라서 잡목 축에도 들지 못한다. 내가 옛적 나무하러 다닐 때도 저런 놈은 쳐다보지도 않았다. 어디다 써먹는단 말인가? 한데 요 물푸레가 유독 요긴하게 쓰이는 데가 있으니 곤장이었다. 궁댕이 짝짝 때리는 그 곤장 말이다. 곤장 칠 땐 궁둥이에 물을 뿌려야 치는 놈도 흥이 나기 마련인데, 그 찰싹찰싹 감기는 맛으로 물푸레 만한 게 없었던 모양이다. 이 곤장도 형식으로 그치는 일이 많아 돈 많고 권력 있는 놈은 맞는 시늉만 했다. 결국 백없고 돈없는 가난뱅이들한테만 저승사자였다. 세종시대 테크노크랏 장영실 노비 출신에 .. 2020.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