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WS & THESIS2746

사진으로 살피는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고분군 제14호 발굴 현장 2023.12.07, 목. 전주 대전 남원 맑음 세계유산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고분군 제14호분 발굴 현장과 주변 고분, 성내마을 안전을 위한 축대 신축공사 (공사 완료 후 경관 궁금) *** 이상 전북도청 곧 퇴직하는 노기환 선생 생생한 현장 소식이다. 이 고분 발굴소식은 아래를 참고하라. 발굴 이유도, 발굴 성과도 도저히 납득을 할 수 없는 남원 가야무덤 발굴 발굴 이유도, 발굴 성과도 도저히 납득을 할 수 없는 남원 가야무덤 발굴 by 김태식 THE HERITAGE TRIBUNE ts1406@naver.com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가 가야고분군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된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소재 삼국시대 무덤인 14호분을 까디비고 그 조사 historylibrary.net 2023. 12. 9.
서울공예박물관이 준비하는 기획특별전 만년사물 서울공예박물관이 특별기획전으로 만년사물을 준비 중인 모양이다. 그 오야붕 수정이가 알리기를 작품은 이미 다 설치되었고 조명 에이밍과 그래픽 작업만 남아 있습니다. 올해 12월 19일 화요일부터 내년 3월 10일까지 전시1동 3층 기획전시실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고 하는데, 하도 그 목소리 애절해서 한두번 가 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치운다. 이 맘 수정이는 알아줄까? 2023. 12. 9.
사후에 더 빛이 나는 이근직 상복이 좀 있는데 하나 아쉬운 점이 수상자 사후라는 사실이다. 뼛속까지 경주인이었고 신라인이었던 고 이근직(1964~2011) 형이 주최 기관이 포항MBC 같은데 삼일문화대상 수상자로 결정되었다 한다. 2022년에는 제34회 경주시 문화상 수상자가 되기도 했다. 형에 대해선 이곳저곳 한 말이 많아 수상 소식 전하는 일로 군더더기 말들은 略한다. 2023. 12. 8.
영조 즉위 300주년 기념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 주요 출품작과 그 해설 영조 즉위 300주년 기념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 글과 그림으로 소통한 두 임금, 영조와 정조의 이야기 o 기 간: 2023. 12. 8.(금)~2024. 3. 10.(일) o 장 소: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특별전시실 o 전시품: , , (보물) 등 54건 88점 도1. 『감란록勘亂錄』, 송인명宋寅明(1689-1746) 등 편찬, 1729년, 종이에 목판인쇄, 접은 면 32.5×20.5cm, 국립중앙박물관. 영조는 즉위 초 온건파 소론과 함께 국정을 운영했다. 급진파 소론 등이 일으킨 무신란(1728년)이 일어나자 박문수 등 온건파 소론이 반란을 진압하고 반란 주동자와 자신들이 무관하다고 밝혔다. 영조는 이 책에서 반란의 근본적 원인을 붕당으로 돌렸다. 이처럼 서적을 출판하고 배포.. 2023. 12. 8.
영조 즉위 300주년 기념은 삽살개로, 국립중앙박물관 ‘탕탕평평蕩蕩平平’ 기획전 2024년은 조선 영조(재위 1724-1776) 임금이 즉위 300주년이 되는 해라 해서 이를 그냥 두고 볼 수 없었음인지, 아니면 누가 내년이 그런 해이니 이를 기념하자 해서일 텐데, 국립중앙박물관이 그 기념 특별전이라 해서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을 내세운 특별전을 마련하고는 오늘 8일 개막한다. 내년 3월10일까지 박물관 상설전시관 특별전시실을 장식할 이번 기획전은 영조를 내세우기는 했지만, 그와 더불어 그의 사후 임금 자리를 곧바로 물려받은 정조까지 묶어 이 시대를 조선 르네상스로 보는 전통 한문학 시각에 따라 이 두 임금 시대 80년을 주로 정치와 문화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게 아닌가 한다. 전시가 표방하는 ‘탕탕평평蕩蕩平平’이란 저들 임금을 특징짓는 키워드 중 하나인 이른바 .. 2023. 12. 8.
칠순 넘도록 인터뷰 한 편 없던 김삼대자 선생 by 김태식 THE HERITAGE TRIBUNE ts1406@naver.com 문화재청이 올해 문화유산보호 유공자 포상 대상자로 김삼대자 선생을 선정하고 은관문화훈장을 수여키로 했다는 소식을 오늘 접하고선 나로서는 만감이 교차하면서 정계옥 선생한테 전화를 드리면서 서로 축하했다. 간단하다. 당연히 진즉에 받았어야 할 분이 뒤늦게라도 받게 되었으니 그 반가움이 첫째요, 그에 조그마한 힘을 같이 보탠 까닭이다. 한국목가구를 개척하다시피 한 선생은 그 명성에 견주어 이상하게 이력 하나 제대로 정리된 것이 없었고, 이 정도라면 언론 인터뷰가 적어도 몇 건, 아니 수십 건은 있어야 정상인데, 내가 2017년 정계옥 선생을 통해 인터뷰하자고 꼬시며 접근하기까지 단언하지만 단 한 편의 인터뷰가 없었다. 이 점이 기.. 2023.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