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00

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 찍먹 감상기[2] 우과천청雨過天靑 도자기하면 중국이요 중국하면 도자기이던 시절이 있었다. 오죽하면 도자기를 영어로 china라 했겠는가. 옛 드라마 대사를 빌리자면, "도자기는 중국의 자존심이다." 그런 만큼 여기 고궁박물원 소장품 상당수도 도자기요, 할당된 전시공간도 아주 널찍하다. 전시 개관 패널에 한국어가 들어갔다. 워낙 한국인이 많이 오니 그에 맞춘 모양인데, 급하게 하느라 치명적인 오타가 생겨서 고친지 얼마 안 되었다고 한다. 하여간 중국 선사시대의 채색도기, 흑도 같은 것으로부터 도자기 전시가 시작한다.  앞서도 말했지만 전시 기법 자체는 우리네 국립박물관과 크게 다를 것은 없었다. 다만 전시공간을 전체적으로 밝게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짚고 싶다. 우리는 공간을 어둑하게 하고 유물에 조명을 비추어 강조한다. 유물의 손상을 최소.. 2024. 12. 19.
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 찍먹 감상기(1) 세계 3대 무엇무엇, 5대 무엇무엇, 7대 무엇무엇이란 표현을 요즘도 사람들은 곧잘 쓰곤 한다.사실 그게 살아가는 데 무슨 의미가 있나 싶지만, 그래도 그런 '귀한 것'이 '우리'에게 있다면 참 가슴이 벅차오르고 입꼬리가 슬며시 올라가는 게 세상 이치인 모양이다.어쨌건 그런 '세계 5대 박물관' 중 하나라는 중화민국(대만) 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에 다녀왔다(나머지는 영국 영국박물관,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 프랑스 루브르박물관, 러시아 에르미타주박물관, 이집트 구 이집트박물관, 바티칸시티 바티칸박물관...중 넷을 꼽는다 한다).타이베이시 중심가에 있으면 좀 편했으련만, 아쉽게도 시내에서 버스타고 한 한 시간 정도를 가야 나온다.제법 높은 빌딩이 많은 시내를 지나 외곽으로 가다 보면 우리네 지방 소도시 같.. 2024. 12. 17.
집사근執事勤, 이완용의 모토 [일할 때는 부지런하게]만고 역적 일당 이완용(1858~1926)이 쓴 두인頭印 중 하나다.집사근執事勤 곧 '일할 때는 부지런하게'란 뜻의 단어인데그의 전기 를 보면 실제 이완용은 어떤 일이든 꽤나 열심히 했고 게으름을 피지 않았다고 한다.그래서 나라 파는 일도 그리 부지런하게 했나 싶지만 말이다. 도장 재질은 아마 수산석壽山石 같은 돌일 테고, 각刻을 누가 했을까 궁금한데 일본 전각가일 가능성이 없지 않아 보인다. 인줏빛이 지금도 저리 선명한 걸 보면 경면주사 함량이 높은 고급품이다. 하기야 당연하게도 이완용 후작 정도 되는 부자 귀족이 아무거나 썼겠는가. 2024. 12. 10.
진짜 가장은 처첩과 노복까지 간언하는 할 수 있어야 한다 옛날 명재 윤증(1629-1714)이란 어른이 계셨는데..젊은 시절 이런 글을 쓰셨다고 한다.○ 정사政事를 행하는 데 덕德으로 하면 나라의 정사도 제대로 다스려지고 집안 정사도 제대로 행해지는 법이다. 그런데 덕으로 집안 정사를 행하려고 하면 정말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아마도 집에서 아랫사람들에게 제대로 존경과 심복을 받는 자가 덕이 있다 하겠는데, 가장家長의 잘못을 처첩妻妾과 자제子弟와 노복奴僕들이 모두 간언諫言할 수 있어야 덕이 있는 경지에 이르렀다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의 도는 털끝만큼의 잘못도 없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가장이 털끝만큼의 사심私心도 없어야 종이나 첩에게 공심公心을 다하라고 요구할 수 있으며, 털끝만큼도 속이는 마음이 없어야 그들에게 진심을 다하라고 요구할 수 있으며, 자.. 2024. 12. 8.
글씨 거장 유희강과 김응현 [두 거장]어느 때였는지는 몰라도 검여劍如 유희강柳熙綱(1911-1976)과 여초如初 김응현金膺顯(1927-2007)이 같은 날 한 전시회에 들렀다. 그리고 주최측이 내어놓은 방명록에 같이 이름을 남겼다. 이 두 어른은 모두 한국 예술사에 뚜렷이 자신의 발자국을 남긴 분인데 글씨를 보니 이분들 성격과 위상이 보이는 듯 하다. 2024. 12. 8.
호계삼소 동양화를 그린 일본 서양화가 나까무라상, 천 년도 더 전 옛 이야기를 그리다1. 옛날 중국 진나라 때, 스님인 혜원법사와 시인 도연명, 도사 육수정 이 셋은 참 절친하게 지내던 사이였다. 혜원법사는 여산 동림사東林寺라는 절에 머무르며, 절 앞을 흐르는 시내 '호계虎溪'를 건너지 않는 걸 철칙으로 여겼다. 그러던 어느 날 이 스님이 잘 지내는가 싶어서 친구 둘이 들렀다.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이 얼마나 반가웠으랴. 혜원법사는 이야기에 취해 그만 냇물을 건넜다. 그러자 어디선가 범이 울부짖었다. 그 소리에 깨달은 세 사람, 누구랄 것도 없이 껄껄껄 웃었다 한다. 이 장면, '호계삼소虎溪三笑'는 이후 유-불-도 세 종교 화합을 상징하는 천고의 고사가 되었다. 2. '호계삼소'를 다룬 그림은 적지 않다. 하지만 딱! 떨어지는 작품은 많지 않.. 2024. 11.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