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06

일당 대감 이완용의 몽견제갈량夢見諸葛亮 대한제국시대 소설 중에 《몽견제갈량》이란 게 있다.1908년(순종 2) 유원표(1852-?)가 저술한 국한문혼용체 정치소설로, 유원표 자신이 비스마르크 전기를 읽다가 소르르 낮잠에 빠지는 대목으로 시작한다. 그러다 꿈 속에서 그 유명한 제갈량을 만나 동아시아 삼국, 특히 중국과 한국이 살아날 방법을 두고 문답을 주고받는 내용인데, 그때나 지금이나 인기있던 《삼국지연의》에 편승하는 듯 하면서도 정작 저자는 《삼국지연의》에 빠진 이들을 비판하기 위해 제갈량을 내세워 일종의 '이이제이'를 시도하였다고 한다.애국계몽(갑자기 소름이...) 운동기에 적잖이 나타난 몽유록계 소설의 전형이라고도 할 수 있을 《몽견제갈량》 얘기를 왜 하는가 하면, 그로부터 십여 년 뒤 천하역적 일당 이완용(1858-1926)이 역시 꿈.. 2025. 1. 26.
1913년, 이완용의 경주 유람기 일본을 갔다가 경성으로 돌아오는 길에 이완용 백작이 문득 "경주에나 가볼까"라고 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1박 2일간 경주 유람에 나서는데, 그 코스를 《일당기사一堂紀事》연보에 근거해 적어보겠다.대구에 도착, 도 참여관 신석린(1865-1948) 안내로 180리 길 경주로 가다.길가의 금척묘(금척리고분군)와 무열왕릉을 보고, 30리를 더 가서 불국사와 석굴암을 감상한 뒤 불국사에서 1박. 다음날 경주 읍내로 왔는데, 가는 길에 성덕왕릉과 효소왕릉, 반월성, 석씨구묘(탈해왕릉?), 숭덕전, 계림 비각, 최현식가(그 유명한 최부잣집. 최준(1884-1970)이 문 밖에 나와 맞이했다고), 숭혜전, 김유신묘, 분황사 구층탑(물론 이때는 이미 3층), 그리고 '구물보관소' 등지를 찾아 방문함.그리고 그 다음날 영.. 2025. 1. 25.
1896년, 독립협회 창립 주축 멤버들 회장, 고문, 위원장과 위원을 다 합치면 11명이었다. 그중 김종한(1844-1932)이 53세로 가장 나이가 많고 그 다음이 지천명을 갓 넘긴 김가진(1846-1922)이었다. 위원장 이완용(1858-1926)과 현흥택(1858-1924)은 아직 마흔이 안 되었고 회장 안경수(1853-1900), 이상재(1850-1927), 권중현(1854-1934)은 그보다 약간 위.고문 필립 제이슨-곧 서재필(1864-1951)은 이채연(1861-1900), 이근호(1860-1923)보다도 젊었다.제일 어린 이는 스물일곱살 민상호(1870-1933)였다.글을 읽다가 흥미로워서 적어둔다(어떤 부분이 흥미로운지는 논외로 하고). 2025. 1. 18.
커피에 오트밀을 즐긴 이완용, 술은 마시지 않았다 이완용(1858~1926)의 전기 《일당기사一堂紀事》를 보면 이라 해서 그가 평소 했던 말과 행동 등을 정리한 항목이 있다. 이를 읽어보다가 그의 식성 이야기가 나오기에 재미있어서 옮겨본다(옛날 일본어가 되서 제대로 해석했는지는 자신이 없지만, 한자는 그래도 한 자 이상 읽을 수 있으니 이를 토대로 때려맞추어보고자 한다.정확한 번역이 아니라 대강의 뜻만 새기려고 하는 것이므로 여러 선생님께 양해 부탁드린다.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가르쳐주시기를 바란다).---일정한 시간에 음식을 먹었는데, 우선 오전 8시 무렵(유사시에는 제한을 두지 않음)에는 중국 차, 홍차 또는 가피차枷皮茶(커피?) 같은 것, 우유, 서양 보리죽(오트밀), 달걀, 생선,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 과일 종류 등을 2~3개씩 번갈아가며 먹었다.. 2024. 12. 30.
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 찍먹 감상기 (3) 유물의 팔자 널리 알려져 있듯이, 국립고궁박물원 기초는 국민당이 접수한 청 황실 소장품이다. 그런 만큼 여기엔 청나라 황제들이 개인적으로 곁에 두고 즐겼던 물건들이 적지 않고, 이를 따로 방 하나를 만들어 전시하고 있다.  국립고궁박물원 하면 떠올리는 유물 중 상당수가 여기 있다. 온갖 귀금속과 보석이 아낌없이 베풀어져 화려한 건 기본이고, 작더라도 있을 걸 다 갖춘 물건들이다.   황제와 황후, 비빈들이 찼던 목걸이(조주朝珠라고 한다)나 법랑채 동기銅器, 금실로 만든 합 따위에도 물론 눈길이 가지만,  많은 분은 그 근처 진열장에서 감탄을 금치 못한다. 상아로 만든 탑과 구슬이다.    여러 개를 이어붙이거나 한 게 아니라 상아 하나만을 깎고 다듬고 새겼는데, 구슬은 그 안에 또 구슬이 있어 빙글빙글 돌아가고 탑은.. 2024. 12. 26.
이름의 중요성 방영한지 20년이 훌쩍 지났음에도 아직 짤, 밈으로 살아 숨쉬는(?) 드라마 . 그 2부에서 가장 유명한 밈이라고 하면 아마 아래 사진일 것이다. 사실 이 주인공 심영沈影(1910-1971(?))은 이런 밈으로 소비되긴 좀 아까운 인물이다. 고종 때 예조참판을 지낸 심상학沈相學(1830-1890)의 손자였던 그는 젊어서부터 무용, 노래, 연극, 영화 등 다방면에 재주를 발휘한 배우였다. 그리고 그는 총을 맞고도 어쨌거나 치료 받고 멀쩡히 살아서 월북했고, 70년대 초 숙청당할 때까지 북한 정권 아래에서 승승장구했다.하지만 워낙 의 인상이 강해서 사람들은 지금까지도 '심영' 하면 "내가 고자라니!"를 떠올리곤 한다. 그런데 고려 초기에도 그런 오해를 받을 만한 사람이 있었던 모양이다.《고려사》를 보면 .. 2024. 1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