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491

우리의 '유쾌한 천재' 동파거사 읊기를 동파 소식이 송나라 남쪽, 오령(五嶺, 난링산맥) 남쪽에서도 변방인 후이저우惠州로 유배되어 살며 이런 시를 지었다. 羅浮山下四時春 나부산 아래는 사철이 봄인지라 盧橘楊梅次第新 금귤과 양매가 차례차례 맺힌다네 日啖荔支三百顆 날마다 여지 삼백 알 먹을 수 있다면 不辭長作嶺南人 쭉 영남 사람 되는 걸 사양치 않으리 이 시가 조정에 알려지자 이놈 아직 정신 못 차렸다고 바다 건너 여기에서도 더 들어가야 하는 단저우儋州로 보냈다고 한다. ***editir's note *** 시도 잘 지어야 하고 미묘한 작품은 공간 시점을 잘 봐야 한다. 촌넘이 보통 어리벙벙 처음 혹은 간만에 중국을 가면 꼭 당시 송시를 찾는데 제주 촌것 다 된 강군도 예외가 아니다. 2024. 11. 20.
[기념품이 된 피양 명물] (2) 평양방송국 존경하는 석지훈 선생님이 댓글로 JBBK의 답을 달으셔서, 아는 분들은 다 알겠지만 그대로 밀고 나가기로 한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직접 보시는 게 나으리라. 바닥면에 새긴 아홉 글자, "평양방송국 개국기념"이다. 이 땅에 방송이란 게 처음 등장한 것은 1927년의 일이다. 물론 그 전에도 시험삼아 전파를 송출하긴 했었지만 엄연한 프로그램을 틀어주는 방송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그땐 TV는 없었다(생각보다 알려지기는 일찍 알려진다. "텔레비-죤으로 파송하여 왔습니다"같은 문구가 1930년대 잡지에 보인다). 라디오 전파를 정동 1번지 산마루(지금 덕수초등학교 터)에 세운 방송국에서 쏘아보냈는데, 그 전파 호출부호가 JODK였다. 일본에서 네 번째로 시작하는 방송국이라 D를 붙였다나. 그래서 방송을 시작할.. 2024. 11. 12.
[기념품이 된 피양 명물](1) 대동강 벼루 JBBK? 잉크와 펜, 연필 따위가 없던 시절 우리네 조상들이 종이나 비단 같은 데에 글씨를 쓰려면 벼루에 먹을 갈아 붓을 적셔야만 했다. 그런 만큼 '벼루'란 문인의 방에 있어야 할 네 가지 보배(문방사보) 중 하나로 존중받았다. 도자기나 기와, 심지어 쇠나 나무로 만든 벼루도 없잖으나, 대부분의 벼루는 돌을 캐서 깎아 만든다. 돌의 성질에 따라 먹이 갈리는 정도가 달라지므로 어떤 돌로 벼루를 만드느냐도 중요한데, 대개 벼루 면에 미세한 요철(봉망)이 있어 먹이 잘 갈리고 먹빛이 잘 우러나며 점도가 적당한, 이른바 발묵이 좋은 걸 "좋은 벼룻돌"이라고 일컫는다. 중국에선 단계석이나 흡주석, 일본에선 시모노세키 쪽 적간관석을 고급으로 친다. 우리나라 벼룻돌로는 압록강가 평안북도 위원의 위원화초석, 두만강가 함경북도.. 2024. 11. 11.
부인이 집안에선 내상內相 17세기 영남 문인이었던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1553~1634)이란 분 문집을 찾아볼 일이 있어서 잠깐 들여다보다가 재밌는 표현을 발견했다. 어떤 이의 부인을 '내상內相'이라고 일컫고 있는 것이다. 내재추內宰樞, 내부대신內部大臣의 준말을 '내상'이라고도 하는 모양이지만, 이때는 그런 직제가 있을 리 없다. 당나라 때 육지陸贄라는 이가 한림학사翰林學士로 국정에 직접 참여하여 정승처럼 국사를 좌지우지했다는 데서 그를 '내상內相'이라고 일컬었다는데 혹 여기서 땄을까? 하지만 그 대상이 여성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여기의 '내상'은 말 그대로 '집안의 재상'이라 풀어야겠다. '집안의 재상'이라... 그러면 남편은 집안의 군주인가? 군약신강君弱臣强... 아 여기까지만. 요즘도 간혹 어머님 혹은 아내를 '내무부장관.. 2024. 11. 4.
고구려 고분벽화를 우키요에 판화로 재해석한 일본화가 마쓰다 레이코松田黎光(1898~1941) [마쓰다 상, 고구려 벽화를 그리다] 의 마쓰다 세이코나 "오사카에 사는 사람들" 유튜브로 유명해진 마쓰다 아키히로 같은 이들이 있어서, 소나무 송松자에 밭 전田자를 쓰는 '마쓰다松田'가 일본 성인 건 요즘 잘 알려졌지 싶다. 일제강점기, 한반도에 들어와 살던 일본인 중에도 '마쓰다' 아무개는 적잖이 있었다. 개중 마쓰다 레이코松田黎光(1898~1941)라는 이가 있었는데, 이 사람은 화가였다. 레이코는 호號고 이름은 마사오라고 하는데, 호를 이름처럼 썼던 모양이다. 교토에서 태어나 자란 그는 경성에 한 20년 넘게 살면서 주로 조선 풍속이나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시리즈 작품을 많이 남겼다. 앞 그림도 그런 시리즈 중 하나다. 평안남도 용강에 있는 고구려 고분 쌍영총(쌍기둥무덤) 벽화 한 부분을 그렸는데.. 2024. 11. 2.
겨울 고갯마루 우뚝한 소나무 한 그루 겨울 산마루엔 우뚝한 솔 한 그루 [冬嶺秀孤松]중국 동진시대 시인 도연명(365~427) 시 사계절[四時] 마지막 구절이다.뜻만으로도 한기가 느껴지는데 소암 현중화(1907~1997) 글씨로 보니 폰 안에 눈이 내리고 바람이 부는 듯 하다.*** editor's note *** 도연명 사시四時는 다음과 같다. 春水滿四澤 봄 물은 사방 못에 가득가득夏雲多奇峰 여름 구름 기이한 봉우리에 많네秋月揚明輝 가을 달은 밝은 빛 뿜뿜하고冬嶺秀孤松 겨울 산마루엔 우뚝한 솔 한 그루 2024. 10.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