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EADING HISTORY57

만석지기들의 가난 타령, 퇴계와 서애의 경우 퇴계는 부자였다. 그것도 열라리 부자다. 장개 두번 잘가서 더 부자됐다. 장인한테 물려받은 논밭떼기가 천지였다. 한데도 틈만 나면 "나는 묵을 게 없어 가난하다"는 타령을 늘어놨다. 서애 류성룡. 하회마을 건너편 옥연정사. 간판 보면 영의정인가 퇴임하고 난 서애가 짓다가 돈이 없어 중단했다가 어느 중의 도움을 빌려 완공했다고 한다. 서애가 가난했다니? 그래서 건물채 하나 짓다가 중단했다니? 새빨간 거짓말이다. 한데 왜 이들은 틈만 나면 나는 가난하다고 들먹였는가? 나는 그 이유가 현금 유동성이라고 본다. 퇴계 서애 시대만 조선시대는 화폐경제가 아니었다. 금융경제가 아니었다. 물물교환시대다. 문집 봐라. 물건 사고 팔 때 화폐 이용한 일 없다. 전부가 쌀 콩 몇 되 주고 생선 사오고 하는 일이다. 그 시절.. 2023. 9. 17.
지방관 부임과 가족 대동 금지, 반란 방지를 위한 고육 요새 중앙정부 관리로 지역에 부임하는 관리들과 관련한 별도 규정이 없지는 않겠거니와, 다만 내가 이쪽에 관심이 유달리 없고 내가 그쪽 출신이 아닌 까닭에 더 생소할 수밖에 없으니 그럼에도 기관장한테 보통 이용권이 주어지는 이른바 관사官舍라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사용가이드라인이 있는지는 못내 궁금하기는 하다. (역사학에서 흔히 말하는 소유권과 수조권, 이용권 등등은 별게 아니다. 이런 관사 이용권을 생각하면 의외로 쉬운 것을 의외로 지질이도 어렵게 설명한다.) 이 경우 상식으로 보면 심대한 문제가 발생하는데 예컨데 처자식 혹은 부모 혹은 장인 장모가 들어가 함께 거주하지 마란 보장도 없다. 이런 데 대한 제한이 분명 있어야 한다고 본다. 왜냐면 국가가 해당 관리한테 배당한 것은 그 관사 사용권이며, 또 그.. 2023. 8. 23.
[수서隋書 독파일기] (1) 제기帝紀 : 죽어가는 모든 것은 애잔하다, 수 양제 또한 그렇다 "문자가 생긴 후로 지금까지 우주가 무너지고 생명이 도탄에 빠지며 몸으로 망하고 나라를 패망시킨 경우가 이보다 심했던 적은 없었다." 위징은 수 양제 양광의 죽음에 즈음해 평론 형식으로 이렇게 적었다. 수서隋書 본기에 해당하는 제기帝紀를 끝냈다. 워낙 단명한 왕조에다 황제라고는 실상 창업주 문제와 2대 양제가 전부이며, 마지막 당 왕조 문을 열어준 공제야 있는둥마는둥한 허수아비였으니 워낙 짧을 수밖에 없다. 역자들이 양제가 고구려 정벌에 나섰다가 개박살나고 마침내 왕조가 해체되는 과정에서 희열을 느꼈다 했지만, 모든 흥성은 환희와 희열로 가득하고 모든 몰락은 애잔할 수밖에 없는 법이다. 왜 양제가 이리도 가엾은지 모르겠다. 형을 밀어내고 대권을 잡은 그가 왜 저리했는지 나는 무진 이해하려 해 봤다. 꼭 .. 2023. 8. 18.
화랑 관련 창설을 둘러싼 착란, 봄눈 녹듯 사라지는 모든 착간錯簡 《삼국사기》는 신라본기 진흥왕 37년(576) 대목에 아래와 같이 적었다. "三十七年春 始奉源花" 이해 봄에 처음으로 원화를 받들었다. 누구를 원화로 삼았는지가 보이지 않는다. 언뜻 보면 원화가 사람 이름 같다. 《해동고승전》에는 이렇다. 三十七年, 始奉原花爲仙郞 이해에 처음으로 원화를 받들어 선랑으로 삼았다. 이걸 보면 역시 원화가 사람 이름 같다. 선랑은 직책이다. 《삼국유사》엔 이런 말이 나온다. 國史 眞智王大建八年丙申 始奉花郞 恐史傳乃誤 국사에 이르기를 진지왕 대건 8년 병신년에 처음으로 화랑을 받들었다 했지만 아마도 역사 기록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 한다. 신라를 대표하는 제도 화랑은 실은 특정한 무리를 일컫는 우두머리, 특히 남자를 말한다. 역사에 따라 그 명칭도 변동했으니 풍월주風月主라 하기도.. 2022. 4. 5.
금동신발 자체가 등선登仙의 의미 용은 승천의 징표일까…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 문양 의미는 박상현 / 2022-03-23 10:10:52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도록 발간…"주인 여성은 실질적 세력가" 용은 승천의 징표일까…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 문양 의미는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삼국시대 신발 유물 가운데 처음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 된 전남 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은 앞쪽에 달린 용머리 장식이 백미로 평가된다. 2014년 출토된 신발 k-odyssey.com 삼국시대엔 왜 권력자들 주검에다가 금동신발을 신켰을까? 그 의문을 푸는 고리를 삼고자 한 의도가 바로 이 보고서가 기획한 그것 중 하나다. 그와 관련해 집필자 중 한 명인 성윤길이 저 보도에 첨부한 저런 주장을 들고 나왔으니, 저번 학술대회 발표문을 손질한 것인 듯하다. .. 2022. 3. 24.
용수龍樹-용춘龍春의 경우, 똥인지 된장인지도 구분 못하는가? 최근 발간된 모 역사관련 학회 기관지에 투고한 모씨의 논문은 신라 관부官部 중 유독 정체가 아리숑숑한 내성內省을 다루는지라, 이 내성은 익히 알려졌듯이 진평왕 7년에 대궁大宮 량궁梁宮 사량궁沙梁宮의 세 궁에다가 각기 1명씩 사신私臣이라는 최고 장관직을 두었다가 같은왕 44년에 그 장관을 통합해 이찬 룡수龍樹로 통합했으니 이를 다루는 와중에 그 필자인 모씨가 용수를 논급하면서 그 주석에다가 이르기를 "위작논란이 있는 화랑세기에는 삼국사기와 달리 룡수龍樹와 룡춘龍春을 구별하고 있지만 삼국사기의 기록을 따른다" 했거니와 왜 한국 고대사학계가 유독 이 모양 이 꼴인가를 다시금 확인케 하니, 사료조차 어처구니없이 오독하는데 무삼 새로운 말을 하리오? 삼국사기 어디에서 룡수와 용춘을 같은 사람으로 기록했단 말인가?.. 2021.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