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24

베트남서 출현한 2,000년 된 현악기[2023] 이 소식은 February 22, 2023에 연구 성과를 통해 대외에 공개된 적이 있고우리 역시 그런 대로 비중 있게 다루기는 했지만, 좀 더 상세히 다루지 못한 아쉬움도 없지는 않아 이 기회를 빌려 복습 차원에서 이를 복기한다. Antiquity 제공 연구원들이 베트남 남부에서 사슴뿔로 제작한 고대 현악기stringed musical instrument의 고고학적 증거를 회수하고는 연구를 수행했다.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U) 수석 연구원이자 박사과정생인 프레델리자 캄포스Fredeliza Campo는 이 유물이 최소 2,000년 전 것으로, 메콩 강변 베트남 옥에오Óc Eo 문명 이전 시대에 속한다고 밝혔다. 캄포스는 "이 현악기stringed ins.. 2025. 11. 18.
지배세력의 교체기: 구한말-일제시대-한국 우리나라는 지배세력의 교체기가 몇 번이고 있다. 한국역사에서 가장 지배세력이 교체가 격심했던 시기는, 첫째는 삼국통일기. 고구려와 백제는 지배세력 전체가 통채로 사라져 버렸다. 성을 바꾸고 잠적했을 거라 이야기하지만 그 수가 과연 얼마나 되었겠는가. 다음으로 무신정권. 이 시기를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 지배세력이 완전히 달라진다. 천대받던 무신들은 그야말로 문신 집안은 씨를 말려우리가 잘아는 김부식도 후손이 없다. 이 시점에 멸종한 것이다. 그 외에 무신정권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의 지배세력의 처절한 교체가 있었던 바이렇게 성장한 사람들이 여말선초의 신진사대부로 진화했다. 여말선초는 오히려 지배세력의 교체가 없다. 망한것은 왕씨 뿐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고려말의 망족들은 전부 조선으로 이어졌다. 고려에 충.. 2025. 11. 17.
구한말 노비해방과 그에서도 살아남은 노비제 우리나라 공노비 해방은 1800년 순조 원년이지만노비제도 자체의 폐지는 갑오경장인가 그러니 구한말인 셈이다. 그런데 노비는 갑오경장 이후에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아 그 증거로 곰씹어 볼 만한 내용이 바로, 몇몇 집안의 이야기에 따라 나오는, 20세기 초반에 집안에 있는 노비를 해방시키는 시키는 스토리이다. 이 스토리가 자못 황당하여 갑오경장에 노비제는 폐지이니 당연히 집에 있는 노비는 주인이 풀어주건 말건 할 것 없이 노비는 해방이 이미 되었을 터인데무슨 해방을 주인이 또 해준다는 말인가? 이 19세기 말의 노비의 실상을 당시의 호적이 적나라하게 보여주는데 우리나라는 이 당시 집집마다 소농민화가 격렬히 진행되어한 집당 호주와 와이프, 그리고 자녀로 구성된 가구가 이전과는 달리 주류를 이루고 있었고노비는 잘.. 2025. 11. 17.
가난을 모르고는 이해가 힘든 한국문명 한국은 어쨌건 문명의 벽두 이래 수천년을 거치며 버텨오다가 21세기인 오늘, 어쨌건 잘 사는 나라, 문화로도 밀리지 않는 나라를 만들었으니 성공적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한국문명의 특징 중 가장 큰 것이 결국 "가난"인지라, 가난하다 보니 주변 국가보다 남은 것이 많지 않아, 우리 문화는 "잘 생각해 보면 보인다"라고 할 만한안 보이지만 있다는 일종의 유령문화의 경지에까지 올라있으니, 필자가 하고 싶은 말은 이것이다. 없는 것은 없는 것이다. 없는 것을 있다고 이야기하지 말라. 잘 나간다고 할 때 가난한 시절을 잊지 말라. 부자가 되었을 때 못살던 시절을휘황하게 치장하지 말라. 풍족할수록 배고플 때를 잊지 말라. 가진 문화가 휘황찬란하지 않다 해도 있는 그대로 후세에게 보여줘라. 그 솔직함이 우리 .. 2025. 11. 17.
[연구소식] 연구자한테 대담집이란? 고고학과 인문학에서 이름 대면 알 만한 일본 출판사에서 고병리의 현황과 미래 관련하여 필자의 일본 카운터 파트 교수와 함께 대담집을 내는 것은 어떤지 협의 중이다. 필자의 60 넘어가는 지점에서 한 번쯤 이런 식의 정리도 괜찮을 것 같아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다. 아마 실제로 진행이 된다면 2년, 혹은 3년 후에나 나오지 않을까?대담집이라는 것이 그렇다. 논문이나 학술서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부분도 자유롭게 이야기가 가능한 부분이 있어, 정말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번 기회에고병리와 인류의 삶에 대한 평소의 생각을 조금 과감히 이야기해 볼 참이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언설의 장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서, 전혀 기대치 않은 기회가 주어질 듯해서 기쁘다. 2025. 11. 17.
투탕카멘도, 크세르크세스도 고대 이집트·근동 광범위한 아편 유통 이집트 설화석고 용기 분석 결과 드러나 이 소식은 앞서 봤지만, 다른 매체 인용해 복습한다.예일대 바빌로니아 컬렉션Yale Babylonian Collection에 포함된 문자를 새긴 설화석고 병alabaster vase에 대한 새로운 분석 결과, 아편이 고대 이집트인 삶에서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더 광범위한 역할을 했다는 가장 강력한 과학적 증거가 제시되었다.예일대 고대 약리학 프로그램Yale Ancient Pharmacology Program (YAPP)에서 수행한 이번 연구는 2,500년 된 이 항아리에서 아편 성분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화학적 표지를 발견했으며, 이는 글자를 새긴 이집트 설화석고alabaster 용기의 내용물이 과학적으로 확인된 최초 사례다. 온전히 보존된 몇 안 되는 유물 중.. 2025. 1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