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906 기장보다 왜 조일까? by 신소희 좁쌀은 워낙 작아 무게가 나가지 않습니다. 사진상 조(앞사진)는 계량에 계량된 것으로 보이고, 일반적인 조 이삭은 저보다 작습니다. 오죽하면 쪼잔한 인간을 좁쌀영감이라고 하고, 봉황은 굶어도 좁쌀을 주워먹진 않는다 할까요.기장쌀은 식물체는 벼에 가까우나 도정 후 상태는 좁쌀 큰형님쯤 되는 사이즈 모양입니다. 둘 다 짧은 기간 재배, 풀뺨치는 활력, 물 없이 재배 가능 등의 장점이 있어 인류를 먹여 살렸다고 압니다.그런데요술을 빚을 때, 기장술보단 조술이 많죠. 제가 납품하는 문배술에도 수수와 함께 조가 들어갑니다.애완용 새를 키워 봐도 피나 기장보다는 조를 새가 잘먹습니다.미생물 키우려면 탄수화물만 필요한 게 아닙니다.그들도 생명이라 다양한 영양공급원을 좋아하죠.새도 마찬가지라고 알고 있.. 2025. 6. 22. [돌아보는 데니소바인] (4) 티베트 고원의 턱뼈 다음은 2022년 8월, 네이처를 통해 공식화한 데니소바인 아래턱벼 티벳고원 발견 보고라, 이를 타전한 당시 라이브 사이언스 보도 전문이다. 네안데르탈인 사촌 데니소바인 티베트 최초 증거 2022년 8월 30일 과학자들이 시베리아 밖에서 최초로 데니소바인Denisovans으로 알려진 멸종된 고대 인류 계통의 화석을 발견했다. 데니소바인은 네안데르탈인의 가까운 친척으로 멸종된 호미닌hominins 집단이다. 이들은 시베리아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소수의 화석 조각과 아시아 전역 사람들의 DNA에 남아 있는 유전적 단서를 통해 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새로운 화석 증거는 이 고대 인류 친척들이 지구에서 가장 높고 넓은 고원이자 "세계의 지붕Roof of the World"으로 알려진 티베트 고원Ti.. 2025. 6. 22. [돌아보는 데니소바인] (3) 2010년 그 출현을 알린 네이처 뉴스레터 Fossil finger points to new human speciesnature news, vol. 464/ 25 March 2010DNA analysis reveals lost relative from 40,000 years ago화석 손가락뼈, 새로운 인류 종을 가리키다출처 nature news, vol. 464/ 25 March 2010DNA 분석 결과, 4만 년 전 잃어버린 친척 밝혀져 2008년 여름, 러시아 연구진은 시베리아 한 외딴 동굴에서 인간 손가락뼈 조각을 발굴했다. 연구팀은 이 뼈 조각이 3만 년에서 4만 8천 년 전 동굴에 수많은 도구를 남긴 네안데르탈인의 것이라고 추정하고 추후 연구를 위해 보관했다.뼈 조각에서 특별한 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 안에 있는 유전 물질은 .. 2025. 6. 22. 네이처 사이언스에 한국고고학 논문은 언제? 학문도 바람이라 요새 같음 한반도에서 지금은 바다에 매몰한 서해안 갯벌 아래서 데니소바인 어금니라도 하나 출현하는 날이면 그 논문은 지금 당장 네이처 사이언스 혹은 cell로 간다.서로 우리한테 그 논문 달라 저들이 달려온다.여타 다른 자연과학 사정이야 잘 모르겠고 우리 고고학은 과연 언제쯤 저런 잡지를 장식할 날이 있을지 모르겠다.다만 하나 확실한 것은 작금과 같은 문과대 고고학으로는 택도 없다는 사실이다.이딴 고고학으로는 plos one도 못간다. 그렇다고 이 잡지 폄훼하는 말로 받아들이지 말았음 싶다.이웃 중국고고학 봐라.내가 부러워죽겠다.요샌 저들이 네이처 사이언스 말아먹는다.아주 자기집 마당이라 고고문물 자매지 아닌가 싶을 정도로 하루가 멀다하고 새로운 연구를 쏟아낸다.그 어떤 탑재 논문도 기성.. 2025. 6. 22. 젊은 세대에 고함 해외 연구는 이미 한국에서 자리잡아 사회적 지위가 형성되어 버린 사람들은 주도하면 안된다. 왜냐. 어쨌건 해외 나가 보면 쓸 만한 유적지는 죄다 자기 나와바리가 있다. 당연하지 않은가? 동네 강아지도 자기 나와바리가 있는데 쓸 만한 유적에 왜 자기 나와바리인들 없겠는가. 텃세도 있고 왠만해서는 성과를 내는 코어 연구까지 진입하기도 힘들다. 따라서 이런 해외 사이트에서 경험을 쌓고 업적을 내려면그야말로 학술조사원 단계부터 박박 굴러야 뭐가 되지 이미 자기 지위가 형성되어 버려 후카시를 잡기 시작하는 단계가 되면 해외 연구를 제대로 하기 극히 어렵다는 말이다. 해외 연구는 젊은 연구자들 몫으로서 우리 세대를 포함한 영감님 세대는 이를 주도할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 젊은 이들이 해외 사이트에서 직접 땅을 .. 2025. 6. 22. [연구소식] 해외 학회 기조 강연 올해 페루 쿠스코에서 열리는 미라 관련 연구를 함께 토의하는 학회 (11th World Congress on Mummy Studies - Cusco 2025)에서 기조강연을 하게 되었다. 이 학회는 필자가 이 블로그에 가끔씩 "미라학회"라고 쓴 그 학회로 1992년 스페인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3년마다 세계 각지에서 개최되어 올해가 11차 대회다. 필자의 기조강연 제목은 "Mummies from the Joseon Kingdom and neighboring Asian regions"으로 주로 조선시대 미라에 대해 다루겠지만 이 블로그에서 틈틈이 쓴 동아시아 미라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제시할 셈이다. 필자의 향후 작업이 조선시대 미라를 넘어 동아시아 전체를 조망하겠다는 선언, 자연과학적 기법을 넘어 인.. 2025. 6. 22. 이전 1 2 3 4 ··· 33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