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南山雜談11 안중근 의사 탄신 144주년 기념 포럼 어수선한 시국이지만 한편에서는 이런 일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9월 1일은 안중근 의사 탄신일(9월 2일) 전날이자, 관동대학살 100주년이 되는 날이기도 합니다. 안중근 의사 탄신 144주년을 맞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이라는 주제로 포럼이 개최됩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안 의사 유해 발굴 현황과 의미를 제시하고 중국, 일본 등 주변국의 협력방안을 모색하게 됩니다. 이 자리에는 보물로 지정된 안중근 의사 유묵 2점(國家安危勞心焦思, 志士仁人殺身成仁)이 국회 최초로 전시됩니다. 안중근 의사를 위해 모처럼 여야 의원 130명이 흔쾌히 동참해주신 행사입니다. 원하는 분 모두 참석이 가능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안중근의사탄신144주년기념포럼 #국회의원회관대회의실 #9월1일 #안중근의사유해발굴의.. 2023. 8. 30. 안정효 선생 타계에 부친다 영화 의 원작자로 유명하지만 어릴적 집안 서가에 꽂힌 책에서 처음 접했던 그의 이름은 펄 벅이 쓴 의 번역가로서였다. 그리고 영문학을 전공한 영자지 기자로서 60년대 후반부터 한국사회의 모순을 고발했다고 평가받는다. 베트남전 참전 경험을 살려 을 썼는데 그보다 앞선 시기 미국에 대한 동경과 좌절을 생생하게 그린 역시 유의미한 작품이다. (이 책을 포장지에 곱게 싸서 조심스레 읽으며 애지중지했던 기억이 있다. 중학생이 읽으면 두근두근하던 지점이 있었더랬다.) 당시 한국사회에서는 일견 반미로 읽힐 수 있는 텍스트를 창작했으나 정작 본인은 보수주의자였고 그가 지적한 미국의 현실은 시간이 지나 살펴보면 오히려 객관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만큼 당시 한국의 외교 지형이 상당히 일그러져 있었다고 하겠다.) 최근.. 2023. 7. 2. 국가재건위 박정희 대장 분부 받들어 만든 수원 종합원호원 "우리의 길" 상像 태극기를 든 4인 가족의 동상을 받치고 있는 기단 전면에는 (상이군경 직업재활원을 포함한) 종합원호원의 신조가 새겨졌는데 그 문구는 다음과 같다. "우리의 길 자유와 평화와 민권을 위한 봉사와 희생은 근본신조다 새롭고 명랑하고 바르게 살아 이 긍지 이 전통 길이 빛내자 사랑과 협동으로 한데 뭉치어 조국에 감사하는 역군이 되자 깨끗이 부지런히 정성을 다해 성실한 생활 속에 보람을 찾자 농촌으로 직장으로 즐거히 나가 내 힘으로 내 갈 길 개척하리라"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조상기造像記가 써 있다.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대장의 분부를 받들어 여기에 종합 원호원을 세워 민족정기의 상징을 삼는다 1962년 12월 15일 원호처장 육군소장 민병권" 61년 5.16 이후 들어선 군사정권은 상이군경 처우 개선을.. 2023. 4. 24. 수원 실명의용촌비 失明義勇村碑 1955년 7월 27일 휴전 2주년을 맞아 대통령 이승만이 서울 (당시 성북구) 우이동 '실명의용촌'에 세운 비석. 앞뒷면 글씨는 이승만 친필인데 워낙 가는 글씨로 얕게 새긴 탓에 뒷면은 마멸되어 육안으로 알아보기가 힘들다. 현장에서 한 시간 정도 시간이 있다면 읽을 수는 있지만 나를 비롯해 어느 누구도 그런 정성을 들인 사람은 없다. 정확한 비문 내용을 알려면 탁본을 해야겠지만 탁본을 뜨는 순간 비문은 더욱 마멸될 가능성이 크다. 55년에 있었다던 우이동 실명의용촌은 1960년 4.19 이후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4.19 묘역이 우이동에 조성됨에 따라 축소되었고 1963년 수원에 중앙원호원이 설립됨에 따라 수원으로 이전 되었다. 현재 이 비는 수원 보훈교육연구원(창훈대) 경내에 위치한다. 이 비는 .. 2023. 4. 22. 박정희 장군이 하사하시어 만든 수원 창훈대彰勳台 수원 창훈대彰勳台 1963년 9월 25일 군사원호처에서 수원에 (상이군경) 직업재활원과 중앙원호원을 설립하며 세운 비. 올해로 건립 60주년을 맞았다. 전면에는 "나라와 겨레 위해 몸을 바친 용사들이 이 고장에 모였다. 그 알뜰한 정성으로 뿌린 피땀은 한줄기 높은 뜻이 되어 새역사의 터전에 죽순같이 솟아나리라"라는 문구가, 뒷면에는 "이 厖大한 歷史的 搖藍 彰勳臺는 國家再建最高會議 議長 朴正熙 將軍이 下賜하신 基金으로 建立되다 1963年 9月 25日 援護處長 尹永模"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1963년 세울 당시 배경은 휴전 10주년을 맞아 전국의 상이군경을 모아 직업재활원을 통해 사회에 적응케하려는 의도가 있었으며 군사정부가 들어서면서 상이군경 문제를 우선순위로 해결하려는 의지를 나타냈다고 할 수 있.. 2023. 4. 21. 안중근은 神이 아닙니다 此日、到于法院、則眞鍋裁判官宣告曰、安重根處於死刑、禹德淳三年懲役、遭道先柳東夏各一年半處役云云、而與檢察官如出一口。而控訴日字、限五日內、更定云後、不更不打話、紛紛終判以散。時一千九百十年、庚戌正月、初三日也。「安應七歷史」 안중근 의사 자서전 「안응칠역사」에 나오는 사형선고를 받는 대목이다. 흔히 안중근의 진면목은 이토를 쏘고 난 이후 감옥과 법정에서 벌였던 일본과의 논리투쟁 과정에서 드러난다고 한다. 그리고 그 과정은 일제가 남긴 방대한 신문기록과 재판기록, 외무성과 통감부 보고자료, 그리고 언론에 보도된 기사로 남아 있다. 거기에 더해 안중근 본인이 남긴 자료도 적지 않은데, 의거 과정은 소략하지만 성장과정이나 항일투쟁에 뛰어들기 이전 '인간 안중근'을 알 수 있는 기본 자료가 바로 자서전 「안응칠역사」다. 이는 이미 .. 2023. 3. 3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