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403

조문(照文) 신라 원성왕 김경신(金敬信) 친모(親母)이며 대아찬을 역임한 김효양(金孝讓)과의 사이에서 왕을 낳았다. 그리하여 원성왕 즉위와 더불어 왕태후로 추봉되어 받은 시호가 바로 이것이다. 다만 표제 표기는 그의 당대에 건립된 갈항사 석탑기에 등장하는 표현이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는 소문(昭文)이라 하고 있다. 갈항사석탑기(葛項寺石塔記․천보天寶 17년․신라 경덕왕 17년․758) : 두 탑은 천보(天寶) 17년 무술에 세우시니라. 남자형제와 두 여자 형제 모두 셋이 업으로 이루시니라. 남자형제는 영묘사(零妙寺)의 언적(言寂) 법사이며, 큰누이는 조문황태후(照文皇太后)님이시며, 작은누이는 경신태왕(敬信太王)이시니라. (二塔天寶十七年戊戌中立在之娚姉妹三人業以成在之娚者零妙寺言寂法師在旀姉者照文皇太后君妳在旀妹者敬信太王妳在.. 2018. 2. 13.
광자대사(廣慈大師) 대안사(大安寺) 광자대사비(廣慈大師碑․950․광종 1년) : 유당(有唐) 고려국(高麗國) 무주(武州) 동리산(桐裏山) 대안사(大安寺) 광자대사비문(廣慈大師碑文)과 아울러 서문. 태상(太相) 전수예빈령(前守禮賓令) 원봉령(元鳳令) 겸지제고(兼知制誥) 상주국(上柱國) 사자금어대(賜紫金魚袋) 신(臣) 손소(孫紹)가 왕명을 받들어 비문을 짓고, 사찬(沙粲) (결락) 監 (결락) 賜緋魚 (결락) 는 비문을 쓰다. 대저 허공을 쳐서 메아리를 나타나게 하는 것은 진실로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능력에 응하는 진실만은 취하고 소리를 감추려 한 것이니, 어찌 이것이 미혹에 처하는 술문(術門)이 아니겠는가. 비록 넓으나 피안(彼岸)으로 나아갈 수 없고, 비록 밝으나 그 경지를 넘기는 어려운 것이다. 지극한 이치가 그 가운데 있.. 2018. 2. 13.
윤다(允多) 대안사(大安寺) 광자대사비(廣慈大師碑․950․광종 1년) : 대사의 법휘는 윤다(允多)요, 자는 법신(法信)으로 경사(京師) 출신이다. 그의 조부모는 귀족으로서 고관(高官)을 역임하였으며, 효도와 의리를 소중히 여겨 충효의 본이 되었다. 이렇게 가문을 지켰지만, 난리가 나서 몰락하였다.☞법신(法信) ☞광자대사(廣慈大師) 2018. 2. 13.
법신(法信) 대안사(大安寺) 광자대사비(廣慈大師碑․950․광종 1년) : 대사의 법휘는 윤다(允多)요, 자는 법신(法信)으로 경사(京師) 출신이다. 그의 조부모는 귀족으로서 고관(高官)을 역임하였으며, 효도와 의리를 소중히 여겨 충효의 본이 되었다. 이렇게 가문을 지켰지만, 난리가 나서 몰락하였다.☞윤다(允多) ☞광자대사(廣慈大師) 2018. 2. 13.
법장(法藏)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磨雲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 진흥왕 29) : 태창(太昌) 원년 세차(歲次) 무자(戊子) ▨▨ 21일 ▨▨ ▨흥대왕(▨興大王)이 ▨▨를 순수하여 돌에 새겨 기록한다. …수레를 타고 나가 10월2일 계해(癸亥)에 이르러 … 인하여 변계(邊堺)지역을 설유(說諭)하였다. …이 때 어가를 수행한 자로 사문(沙門) 도인(道人)은 법장(法藏)과 혜인(慧忍)이다. 황초령신라진흥왕순수비(黃草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년. 진흥왕 29) : …8월21일 계미(癸未)에 진흥태왕(眞興太王)이 관경(管境)을 ▨▨하고 돌에 새겨 기록한다. …이에 무자년(戊子年) 가을 8월에 관경(管境)을 순수하고 민심을 살펴 노▨(勞▨)에 보답하고자 한다. ⋯이때 어가를 수행한 이는 다음과 같다. 사문도인(沙門道人)으로.. 2018. 2. 13.
혜인(慧忍)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磨雲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 진흥왕 29) : 태창(太昌) 원년 세차(歲次) 무자(戊子) ▨▨ 21일 ▨▨ ▨흥대왕(▨興大王)이 ▨▨를 순수하여 돌에 새겨 기록한다. …수레를 타고 나가 10월2일 계해(癸亥)에 이르러 … 인하여 변계(邊堺)지역을 설유(說諭)하였다. …이 때 어가를 수행한 자로 사문(沙門) 도인(道人)은 법장(法藏)과 혜인(慧忍)이다. 황초령신라진흥왕순수비(黃草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년. 진흥왕 29) : …8월21일 계미(癸未)에 진흥태왕(眞興太王)이 관경(管境)을 ▨▨하고 돌에 새겨 기록한다. …이에 무자년(戊子年) 가을 8월에 관경(管境)을 순수하고 민심을 살펴 노▨(勞▨)에 보답하고자 한다. ⋯이때 어가를 수행한 이는 다음과 같다. 사문도인(沙門道人)으로.. 2018.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