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63 일제시대 나오는 조선인 업적은 모두 총독부 공인가 일제시대에 대한 우리의 역사학적 클리셰가 수탈이다 보니 일제시대 조선인이 만들어낸 업적에 대해서도 쉽게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 시대에 조선인들은 모두 수탈에 신음하고 있어야 한다는 선입견 때문일까. 그런데 그럴 필요 없다. 일제시대에는 당연히 조선인에 대한 차별이 있었다. 그것도 필자의 생각으로는 아주 조직적으로 있었다. 단순히 감정상의 차별이 아니었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해서 조선인들도 그냥 당하고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런 차별에 대한 저항을 생각하자면 대개는 독립운동이나 동맹휴학등만을 생각하는데, 차별을 뚫고 놀라운 업적을 만든 사람도 많다. 우리는 흔히 이런 사례로 손기정만 생각하는데 각 분야에서 다 있었다. 이런 사람들은. 일제시대에도 세계에 대한 소식은 충분치 않지만 조선인들에게 계.. 2025. 9. 13. 두계 이병도의 등장: 1923년 1923년에는 동아일보에 두계 이병도 선생의 "조선사개강"이 연재된다. 이것이 아마도 두계가 공식적으로 대중에게 자신의 사론을 발표한 첫 번째가 아닌가 하는데 (아닐 수도 있다)1923년 동아일보에서는 무려 1면 다단기사로 두계의 사론을 싣기 시작,총 60여 회를 연재했다. 두계가 1896년 생이니 이때 나이 서른도 안 되었던 셈이다. 1920년대 문단과 학계의 전면에서 활약한 이들은 대부분 그 정도 나이였다고 본다. 앞에서 예를 들었던 이광수도 1892년 생으로 두계보다 4살이 많다. 따지고 보면 구한말과 일제시대에 10대와 20대를 보낸 사람들인데, 그 앞에 이런 분야에서 신풍조를 받아 일할 이가 워낙 없다 보니 대략 1890년 생들이 1920년대에는 벌써 전면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2025. 9. 13. 도전의 시대 1920년대... 말로리와 에베레스트 에베레스트 등정은 힐라리와 텐징의 1953년 초등이 가장 유명하지만, 사실 이 세계에서 제일 높은 산에 대한 등정 시도는1920년대에 이미 본격화했다. 20년대 산악 등정의 대표 주자 격이었던 말로리는 1920년대 영국의 에베레스트 원정을 이끌었다. 1921년, 1922년, 1924년 세 번의 에베레스트 원정을 했는데모두 실패하고 마지막 원정인 1924년 조난하여 에베레스트에서 사망하였다. 말로리가 죽기 전 에베레스트 등정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등정하고 하산 길에 조난했다는 주장도 있고, 등정에 실패하고 조난했다는 설도 있다. 그의 시신은 2007년이 되어서야 발견되었다. 시신이 발견 된 후에도 그의 등정 여부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그는 "산이 거기 있기 때문에 오른다"라는 말을 남긴 사람으로.. 2025. 9. 13. 송 황제릉 석장자石藏子 절강성 소흥서 발견 최근 절강 소흥 송 육릉 고고대浙江绍兴宋六陵考古团队가 송 육릉宋六陵 중 북릉北陵 지역에서 첫 번째 제후릉 '석장자石藏子'를 발견했으며, 이는 송육릉 고고학에서 발견된 일곱 번째 제후릉 '석장자'다."석장자"는 남송 시기에 제후의 능석陵石 구조 묘실을 지칭한 것으로, 문헌 기록에 따르면 송나라 육릉에는 "칠제칠후七帝七后"가 묻혔으며, 총 14개 제후릉 "석장자"가 있다.새로 발견된 제후릉 '석장자'는 무련산雾连山 산지에 위치하며, 7호 능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7호 능의 '석장자'는 1호 능과 같은 대형 '석장자'와 같은 규격으로, 현재까지 파악된 자료에 따르면 제릉의 '석장자'로 추정되며, 일부는 여전히 차밭에 숨겨져 있고, 그 뒤에는 헌전献殿, 귀두전龟头殿 건물이 있어야 합니다.7호 능황릉은 구조와 .. 2025. 9. 13. 로마 군홧발 못 제작 공장 독일서 발견 독일 로트바일Rottweil 지구에 있는 로마시대 성터 슈람베르크-발트뫼싱엔Schramberg-Waldmössingen에서 진행된 고고학 발굴을 통해 로마 군화 칼리가에caligae에 쓰이는 쇠못을 제작하고 보관하는 공장fabrica 유적이 확인됐다. 서기 1세기 마지막 4분의 1 기간 동안 상부 네카르Upper Neckar 지역 로마 군사 병참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이 발견은 슈투트가르트 주정부 산하 기념물 보존국(Landesamt für Denkmalpflege, LAD)과 프라이부르크 대학 로마 고고학과가 공동으로 조직한 교육 발굴teaching excavation 결과다.2025년 8월 4일 시작한 이번 발굴 초점은 약 50m x 20m 크기 대형 석조 건물에 맞춰졌다.이 건물은 1.. 2025. 9. 13. 고대 DNA가 복잡한 마스토돈 계통과 기후 변화에 따른 반복적인 이동을 밝혀내다 by McMaster University 북미 태평양과 대서양 연안을 따라 서식한 것을 포함한 여러 마스토돈mastodons 유해에 대한 고대 DNA 분석 결과, 빙하기 거대 마스토돈이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먼 거리를 이동했으며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유전적으로 훨씬 더 다양했음이 밝혀졌다.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저널에 발표된 이 연구에서 맥마스터 대학교McMaster University와 하버드 대학교 연구진은 마스토돈 종의 매우 복잡한 진화 역사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크게 수정하고 재구성하는 새로운 증거를 제시했다. 수십만 년 전의 치아, 상아, 뼈의 잘 보존된 화석 표본과 새로운 과학 기술을 결합하여 연구자들은 고대의 작고 분해된 DNA 조각으로부터 유전체를 재구성할 수.. 2025. 9. 13. 이전 1 2 3 4 ··· 349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