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경3 그냥 와, 다 받아줄께 떨어지고 남은 매실 그 열매가 일곱일세 나를 찾는 뭇 남자들 길일만 고르면 된다네 떨어지고 남은 매실 그 열매가 셋이라네 나를 찾는 뭇 남자들 오늘 당장 와도 된다네 떨어지고 남은 매실 광주리 가득 채웠다네 나를 찾는 뭇 남자들 말만 하면 된다네 ㅡ 《시경詩經》, , 소남召南, "떨어지고 남은 매실(표유매摽有梅)" 2023. 11. 12. 모과 던진 분께 《시경》 〈목과(木瓜)〉에 “내게 모과를 던져 주신 분에게, 나는 패옥(佩玉)으로 답례하고 싶나니, 굳이 보답하려 해서가 아니라, 길이 친하게 지내자는 것이외다.〔投我以木瓜 報之以瓊琚 匪報也 永以爲好也〕” 2020. 10. 9. 저 개시끼 좀 어케 해봐요 野有死麕(야유사균) : 저 들판에 죽은 노루 白茅包之(백모포지) : 흰 띠풀로 싸네 有女懷春(유여회춘) : 저 아가씨 바람나니 吉士誘之(길사유지) : 멋진 총각 유혹하네 林有樸樕(임유박속) : 저 숲속엔 떡갈나무野有死鹿(야유사록) : 저 들판엔 죽은 사슴白茅純束(백모순속) : 흰 띠풀로 묶어주네有女如玉(유여여옥) : 저 아가씨 옥과 같네 舒而脫脫兮(서이탈탈혜) : 아아 죽을 것만 같아요無感我帨兮(무감아세혜) : 제 앞치만 만지지 마세요無使尨也吠(무사방야폐) : 저 개 좀 짓게않게 해봐요 《시경詩經·소남召南》 편이 채록한 민요 중 하나다. 죽은 노루 죽은 사슴은 아마도 이 처녀 유혹하는 남자가 사냥해서 잡은 것이 아닌가 한다. 봄이 와서 씩스팩을 자랑하는 헌걸찬 사내놈이 마침 춘정을 이기지 못한 아가씨를 .. 2019. 4.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