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한국사 북방개척의 문제에서 요점은..

by 초야잠필 2023. 11. 14.
반응형

북진정책이나 사대주의 이런 게 아니다. 

한국사 북방개척에서 정말 중요한 요점은 당시의 농업기술사다. 

왜 통일신라는 북위 39-40도를 돌파 못했고, 

이것을 14세기 후반에는 북위 41-43도까지 올라가게 되었는가 하는 것은, 

그 당시 윤관이 9성을 지었네, 김종서의 육진이 어떻고 하는 그런 문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왜 수백년 전에는 성공 못했던 농사가 이 시대에는 기술적으로 달라졌는가, 

이 부분이 훨씬 중요하다는 말이다, 

신라의 북방한계선은 그 당시까지도 쌀농사를 기반한 한반도 남부의 문명으로서는 한 번도 돌파해보지 못한 기술적 한계선이었기 때문에

김춘추가 사대주의자네 아니네 이런 거 하고는 상관없이 대개 그 정도쯤에서 북진은 머물수 밖에 없는 운명이었다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벼농사를 짓는 사람들로서는 그 한계선 북쪽은 별개의 세계였다는 말이다. 

벼농사를 북쪽으로 끌고간다는 것은 그만큼 어렵다. 

부족한 일조량에 적응한 종자가 개발되어야 하고, 

벼농사를 위해 최소한의 수리시설도 해야 한다. 

만주 벌판은 우리 땅이니까 회복하자고 하고 말 달려 올라간다고 끝나는 일이 아니라는 말이다. 

거듭 말하지만 한국사 지리적 공간의 북진은, 

북진 정책 사대주의하고는 아무 상관도 없다. 

그런 건 그냥 프로파간다에 불과하고, 

실제로 북쪽으로 올라갈 수 있느냐 없는냐의 문제는, 

새로 올라간 땅에서 벼농사를 성공할 수 있느냐

여기에 모든 것이 달려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일본의 7-8-9세기 북방진출선.

아래 지도와 비교해 보면 한국과 일본은 거의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수준으로 북진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쌀농사에 기반한 경제구조의 양국은 북진하는데 있어 공통적인 기술적 문제를 안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9세기말 일본이 도달한 북방영토의 경계는 우리 나라로 보면 대개 평양 바로 북쪽 정도 된다. 

닫시 기술로는 쌀농사를 북쪽으로 끌고 올라갈 수 있는 한계가 그 정도였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