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16 상품화폐경제가 작동했다는 조선 후기 조선 후기를 다룬 논문 중에는 그 시대에 이미 상품화폐경제가 작동했다는 전제 하에 쓴 것들이 있다. 하지만 그렇게 작동했다는 상품화폐경제가 왜 조선후기 일기에는 제대로 보이지 않는 걸까 이전에 식민사관 극복의 일환으로 조선후기사에서 증명했다는 상품화폐경제의 존재는 과연 진실일까. 이건 혹시 한 명이 이야기하고 또 다른 사람이 이를 인용하고 다시 또 인용되어 거대한 인용의 태산이 그렇지 않다는 관찰과 의견을 압도하고 있는 소산이 아닐까. 이런 의문을 "식민사관"이라고 매도할 것이 아니라, 팩트로, 사료로 입증해서 보여줘야 한다는 뜻이다. 필자는 광작이니 화폐경제니 하는 것 정말 조선후기에 실존했을까 심히 의심한지 꽤 됐다. *** editor's note *** 누차 이야기하듯이 화폐경제 운운은 심대한 과.. 2024. 11. 4. 18세기 초반에 창간된 영문 잡지 최근 필자는 우역(Cattle plague; rinderpest)에 대한 공부를 좀 하고 있는데-. 우역의 경우 한국에서는 기 관련 기사가 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지에 나오는데 영국은 1731년에 창간된 이 잡지에 기록이 나온다. Gentleman's Magazine 이라는 잡지인데 이 잡지 이전에도 특정한 주제만 다루는 잡지는 있었는데 이 잡지가 사실상 종합지 성격의 최초의 잡지였다고 한다. 세상 만사 안 다루는 것이 없었다는 뜻. 월간으로 나왔던 모양이고, 1731년부터 200년동안 나오다가 1922년 폐간되었다고 한다. 일전에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김단장께서 하셨던 것으로 안다. *** related article *** 역사는 객관화 상대화해야, 사관 vs. 종군기자 2024. 11. 3. 일제시대 관련 논문에서 느닷없이 튀어나오는 자기검열 일제시대 관련 우리나라 논문을 읽다 보면 흥미로운 부분이 있다. 논문의 일정 부분에 가면 돌연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맹렬한 비판을 달아 놓는 것이다. 물론 비판을 들어야 할 부분에서는 들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필자도 이의가 없는데 문제는 고찰이나 결론에서 갑자기 맹렬한 비판이 나오니 매우 어색하고, 이 논문이 일제시대 비판이 일차적 목적인지 제목을 보면 그것도 또 아니다. 물론 거시적으로 보면 일제시대는 거악이니 이야기를 풀다보면 결국 그 악의 두목격을 비판할지 않을 수 없다 하면 뭐 그럴 수도 있겠는데 단지 그것만이 이유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은 그 누구보다 우리나라 학자들 스스로가 잘 알 것이다. 논문에 이런 필요 없는 말은 쓰지 말기를. 느닷없이 튀어나오는 이런 부분 읽을 때마다 필자는 북한 논문에서 느.. 2024. 11. 3. 단재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 민족주의를 오늘날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것은 결국 단재 신채호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부분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독립운동가로서 단재의 역할을 부정할 생각은 없다. 하지만 역사가로서 신채호라면? *** editor's note *** 필자 말마따나 단재는 문제적 인물이다. 저를 어찌 볼 것인가 하는 문제가 결국 한국 내셔널리즘을 어찌 볼 것인가 하는 문제와 직결하니 그 일단의 고민들을 아래들로써 나 또한 생각해 보고자 했다. “음모로 인국隣國을 난亂한 자”, 김유신을 혹평하는 단재 신채호 사대주의 병균을 퍼뜨린 김춘추 객관이 사라진 자리에서 자라는 어용御用 단재가 오도한 역사, 사대주의자 김춘추 2024. 11. 3. 어떤 논의도 집어삼키는 민족주의 민족주의가 약자에게는 유일하게 의존할 수 있는 버팀목이자 무기가 된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효용성을 부인할 생각은 없다. 한국인에게도 민족주의가 효율적으로 작동한 시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민족주의가 어떤 정상적 논의도 집어 삼키는 괴물과 같다는 점이다. 민족주의는 다른 논의와 공존이 불가능하다. 다른 모든 논의의 상위에 존재하면서 민족주의라는 이 막강한 액시옴에 반하는가 아닌가를 끊임없이 감시한다. 비유하자면 민족주의가 준동하는 시스템에서는 민족주의는 헌법과 같다. 헌법에 반하는 모든 법률은 헌법재판소에 의해 폐기되듯이 아무리 심각한 논의라도 상위 이데올로기인 민족주의에 반하면 폐기된다. 우리나라 지성계에서 제대로 된 논의와 논쟁이 없는 것은 이 때문이다. 뭐 좀 이야기 할만하면 민족주의가 준동하여.. 2024. 11. 3. 오록스 이야기 (3) 사육과 야생 그 야릇한 길항 인류사에서 가축화가 진행된 동물의 운명에는 두 가지 길이 있다. 하나는 원래 야생에서 살던 녀석 중 일부가 사육화 된 후에도여전히 야생에는 그 사촌들이 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돼지를 보자 집돼지와 멧돼지는 지금도 종이 분리되지 않고 동일 종으로 서로 같다. 멧돼지가 사육화한 시점은 알 수 없지만 하나는 메소포타미아, 다른 하나는 중국 땅 어딘가에서 사육이 별도로 진행되어 대략 중국의 경우 용산문화기가 되면 완전히 돼지사육이 정착화 한 모습을 보여주게 되는데 이처럼 돼지가 사육화한 후에도 여전히 야생에는 멧돼지가 남아 있어 이따끔씩 그 멧돼지의 유전형질이 집돼지로 흘러들어오곤 한다. 이것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집돼지가 있지만 산에는 여전히 멧돼지도 있다. 이 멧돼지가 집돼지와 교배하여 새끼를 낳는.. 2024. 11. 2. 이전 1 2 3 4 5 6 7 ··· 33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