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4

보편성에 대하여 : 헤이케 모노가타리 단노우라 싸움의 장면 요즘 유튜브 K 드라마나 K 팝 포스팅에 달린 댓글을 보면 정말 격세지감을 느낄 때가 많다. 나도 데면데면한 드라마를 (나는 거의 연속극은 보지 않는다) 이렇게 많은 나라 사람이 공감한다는 것 자체가 놀랍고. 한국인 감성이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 이렇게 쉽게 동조화한다는 것이 더 신기하다. 내 세대 (필자는 85학번이다)는 그렇지 못한 삶을 살았다. 지금은 한국문화는 상당히 강한, 인류사회의 보편성을 그 안에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보편성의 기원이 어딘가에 대해서는 아마 많은 사람이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나는 이 드라마는 보지도 못했는데 노래가 좋아 유튜브에 들어갔다가 댓글들을 보고 정말 놀랐다. 무엇보다 다양한 국적 사람들이 이렇게 감정적으로 공감한다는 것 자체가 대단하다고 생각했.. 2022. 11. 27.
삼국지三國志 동이전東夷傳 : 작면포作綿布 삼국지 동이전 한전韓傳에는 다음 구절이 있다. 在西. 其民土著, 種植, 知蠶桑, 作綿布. 마지막 부분, 면포綿布가 문제다. 양잠을 했으면 비단을 짰을 것이므로 이 綿布는 비단으로, 목면이 아니다는 주장이 있다. 목면은 당연히 고려말에 수입되어 퍼졌으므로 일단 목면은 제외하고 생각하는 출발이다. 이 주장을 하는 쪽에서는 대개 綿布는 길게 직조한 비단 옷감으로 본다. 이 당시에는 면綿이 목면을 뜻하는 글자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문익점 이전에도 이미 우리나라에는 면 옷감이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 실제로 백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목면 옷감 실물이 확인된 바 있다 하므로, 문익점의 목면과는 계통을 달리하는 목면 옷감이 수량은 많지 않아도 직조되고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 삼국지의 위 구절, 작면포.. 2022. 11. 27.
연구실 소식: 신규 투고 임박한 논문 세 편 1.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닭뼈에 대한 검증 2. 황하유역 소의 유전학적 특징과 한국소와의 관련 3. 김해 대성동 고분 소에 대한 동위원소 분석 우리 연구실의 모험은 계속 됩니다.. *** previous article *** "임나사현任那四縣의 위치" 관전법 (3) "임나사현任那四縣의 위치" 관전법 (3) 앞에서 영산강 유역을 "임나사현"으로 보는 시각이 일본에 있다는 이야기를 했었다. 이에 대해 계속 쓴다. 최근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영산강유역에는 5말-6초 경의 전방후원분이 다수 발견되어 historylibrary.net 2022. 11. 26.
"임나사현任那四縣의 위치" 관전법 (3) 앞에서 영산강 유역을 "임나사현"으로 보는 시각이 일본에 있다는 이야기를 했었다. 이에 대해 계속 쓴다. 최근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영산강유역에는 5말-6초 경의 전방후원분이 다수 발견되어 조사되었다. 여기서 어떤 유물이 나왔으며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가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필자는 자세히 옥석을 가릴 능력이 없어 여기 쓰지 않겠다. 다만 전방후원분이라는 것이 일본의 경우 3세기 이래 계속 발전한 현지의 고유한 고분으로 이 고분의 존재가 일본 야마토 정권의 판도의 유력한 지표로 보는 경우가 그쪽에는 있다는 점을 우선 써 두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야마토정권의 위치에 대한 논쟁이 아직도 큐슈설과 기내설이 대립하고 있다고 보는것 같은데 필자가 아는 한 적어도 일본에서는 야마토 정권은 기내설로 정리되었다고 본.. 2022. 11. 26.
"임나사현任那四縣의 위치" 관전법 (2) 필자가 이 글을 굳이 "관전법"이라고 쓴 까닭은 필자가 이 분야 전공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축구에서 관전이라는 말은 직접 뛰는 플레이어가 할 소리는 아니다. 관중석에 앉은 사람이 쓰는 말이다. 필자가 관전의 재미를 위해 나름의 독법을 적는 것이니 그렇게 이해해 주시면 고맙겠다. 앞서 쓴 글을 이어서 쓴다. 일본의 경우, 최근 교과서를 보면 임나라는 말은 잘 쓰지 않고 가야라고 표기해 놓은 데가 많다. 왜 가야라고 쓰게 되었는가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언급하겠지만 중요한 점은 위에 표시된 가야 영역이 우리가 알고 있는 가야 영역과 다르다는 사실이다. 서쪽으로 더 길어 전남 지역이 가야에 포함되어 있다. 이 그림에서 가야로 표시된 영역은 사실 일본의 전통적인 임나일본부설의 "임나"와 동일하다. 구체.. 2022. 11. 24.
"임나사현任那四縣의 위치" 관전법 (1) 최근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관련 주장을 보면 양측 입장이 미묘하게 다른 부분이 있는데 가장 두드러진 데가 임나사현任那四縣의 위치가 아닐까 한다. 먼저 한국 측에서는 대략 전남북 동부지역을 임나사현으로 보는 듯하다. 위 그림은 김태식 교수 (김 단장님 동명이인) 께서 주장하시는 글인데 최근 이 일대에서 가야계 문물이 많이 나와 이 보고를 임나사현과 연결해 이해하기도 아는 것으로 안다. 충분히 근거가 있는 주장이라고 보고, 대개 한국 학자들은 거의 전남북 동부지역을 주목하는 듯하다. 임나사현이란 일본서기에 나오는 기사와 관련된 것으로 계체천황 6년 (512년), 백제의 요청에 의해 왜가 할양했다는 한반도 남부의 4현이다. 반면 일본에서는 최근 교과서에 어떻게 실려 있냐하면, 이렇게 실려있다. 유의해서 보셔야.. 2022. 1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