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1476

청동기시대 시루는 어떻게 사용했을까? 필자가 보기엔 이렇다. 인터넷에는 청동기시대 시루 사용법이라 해서 보이는 그림이 있는데, 이와 같다. 아마 제일 오른쪽이 시루의 그림인 것 같은데, 위 그림처럼 시루로 찔 때 위에 아무것도 덮지 않으면 절대로 내용물은 익지 않는다. 어떻게 아나? 필자가 테스트 해보니 그렇다 이거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저 위에 뭐라도 덮어야 한다. 또 다른 인터넷에 있는 그림을 보면, 이와 같은데, 필자가 보기엔 이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위에 뚜껑이 덮인 상태가 맞다. 만약에 청동기시대 토기에 뚜껑을 덮어 조리할 수 있다면 토기에 직물을 깔고 아주 훌륭하게 익은 밥을 만들 수 있을 거이라는 게 필자 생각이다. 어떻게 아는가? 필자가 해봤다. 중요한 것은 저 청동기시대 토기가 뚜껑의 무게를 정말 이길 수 있겠는가 .. 2023. 11. 10.
또 다른 밥짓기 테스트, 뚜껑의 중요성을 확인하며 또 다른 밥짓기 테스트를 해보았다. 이번에는 현미 대신 정미가 된 백미와 잡곡이 섞인 쌀을 썼다. 밥짓기의 목적은 밥을 쪘을 때 뚜껑을 덮지 않고도 익을 것인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결과는? 뚜껑을 덮지 않으면 밥은 익지 않았다. 약 10분을 뒀는데 전혀 익지 않아 뚜껑을 덮었는데 덮자마자 바로 익었다. 잡곡까지 완벽하게. 백미여서인지 어제보다 훨씬 완벽하게 익었다. 밥이 완성되는 데 뚜껑을 덮자마자 딱 10분 걸렸다. 단순히 찌기만 했고, 불을 올렸다가 끄는 딱 두가지 작업만 했는데 거의 뜸들인 밥처럼 익었다. 무슨 소린고 하니, 뚜껑만 덮을수 있다면 찐밥이나 뜸들인 밥이나 별 차이 없다는 소리겠다. 오히려 뜸들이는 작업 없이도 거의 비슷한 수준의 밥이 익혀 완성되어 매우 놀랐다. 아마도 뚜껑이 있는 용.. 2023. 11. 10.
철제 조리기구가 나오기전 찐 곡물 철제 조리기구가 보편화하기 전 찐 곡물은 현미를 쪄서 시식해 본 소감을 말하자면, 30분 정도 찌면 익지 않는 곡물이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곡물이 익긴 익는데, 찰기가 떨어진다. 뜸들이는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수분이 곡물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이 과정이 없다 보니 익기는 하되 기름진 밥과는 거리가 있다는 이야기다. 따지고 보면 오늘날 쓰는 전기밥통도 밥이 뜸드는 과정에서 증기의 유출을 막고 마지막까지 이를 잡아주는 것이 요체이고, 무쇠솥이라는 것도 결국 그 무거운 뚜껑이 마지막 뜸 들일 때 증기를 잡아주는 것이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곡물을 익혀 먹되 뜸 들이지 않고 먹는다는 것은 입안에서 거친 느낌은 어느 정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이를 강반이라고 불렀고, 뜸들인 밥을.. 2023. 11. 10.
재현해본 삼국시대 하급관원의 식사 재현해본 삼국시대 하급관원의 식사이다. (1) 밥: 현미찐밥. 가지를 넣고 쪄낸 밥이다. (2) 꿩고기 (닭으로 대체) (3) 생선 한토막 (4) 무우 절임 (깍두기를 씻어 대체) (5) 식초 (6) 소금 (7) 된장 일단 삼국시대 당시 분명히 있었을 것으로만 만들어 보았다. 밥은 현미 찐밥으로 30분 정도 찌면 먹을 만하다. 쌀은 잘 익는데 문제는 현미라 밥알이 완전히 따로 논다. 일본에서 찐밥을 왜 "강반"이라 했는지 그 이유를 한 번만 만들어 먹어보면 알 수 있다. 뜸들인 밥이 처음 나왔을 때 사람들은 열광했을 것이다. 무우절임은 깍두기에서 고추가루를 씻어내고 먹어보았다. 채소절임 중 무우절임은 비교적 일찍부터 나왔다고 하는 주장을 본 것 같아서 따라 해 본 것이다. 깍두기는 만드는 과정에서 마늘과.. 2023. 11. 10.
사슴과 돼지, 닭과 꿩 사슴과 돼지, 닭과 꿩 이렇게 짝을 이루니 서로간에 대체재다. 사슴이 줄어들면 돼지 사육이 늘어난다. 꿩이 드물어지면 닭 사육이 늘어난다. 반대로 밖에 나가면 사슴과 꿩이 지천이면 돼지와 닭 사육은 드물어진다. 굳이 안키워도 들에 나가면 사슴과 꿩이 널려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들판에서 야생동물이 드물어지는 시기가 될 때까지 육고기로는 사슴, 날짐승으론 꿩이 많이 올라갔다. 고구려 무용총의 사슴사냥 장면. 이건 상무정신을 기르기 위한 것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생업 활동이다. 이 때문에 태종무열왕 김춘추가 통일 직전까지 드셨다는 어마어마한 식재료에는 닭 대신 꿩 몇 마리, 라고 올라 있는 것이다. 이렇게 야생짐승 위주의 육식식단은 생각보다 훨씬 후대까지 이어졌고, 꿩을 닭이 앞지르기 시작한 .. 2023. 11. 9.
'튀기기' 그리고 '지지기'의 기원 조리법 중 '튀기기'와 '지지기'가 있다. 둘다 기름을 쓴다. 오늘날 한식 조리법 중 빼놓을 수 없는 방법이다. 튀기기와 지지기 기원은 어찌 될까? 요리에 문외한인 필자가 단언하기는 좀 그런데, 억지로 추리해 본다면 아래와 같지 않을까. 첫째로 튀기기는 의외로 한국에서는 역사가 짧을 수가 있을 것 같다. 튀기기는 기원이 일본의 '덴푸라'일 수 있다고 본다. 기름을 듬뿍 써서 고온의 기름에 식재료를 내어 튀겨 내야 하는데, 일본에서 서양 요리 영향을 받아 '덴푸라'가 나오기 이전, 과연 우리 쪽에서 튀기기가 있었을지 모르겠다. 이에 반해 '지지기'는 역시 불교음식 영향을 받아 기원이 상당히 올라가리라 보는데, 이것 역시 '지지기'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지질 수 있는 도구가 준비되어야 할 것 같다. 전통 음식.. 2023. 1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