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라 이야기/마왕퇴와 전국 초묘 미라33 한나라 초기 제후국들과 장사국 한漢 왕조가 들어선 직후, 기원전 195년 그 황제 직할령과 제후국, 그리고 그 산하들에 설치된 군들을 표시한 것이다. 출처는 周振鹤 《西汉政区地理》.황색은 기원전 195년 전한 초기 한 고조 12년 직할 통치한 구역이다. 이해에 유방은 제후국과 한군汉郡을 설치했다.이때 총 10개 왕국을 분봉했는데, 그 중 동성同姓은 9개, 이성異姓은 1개(장사국长沙国)였다.천자 직할구는 경사 내사京师内史를 포함하여 총 15개 군郡이 있었다. 이때는 이미 그 이전에 분봉한 이성제후들을 각종 이유를 달아 처단한 뒤였다. 그런 혼란에서도 이성제후 중에서는 유일하게 장사국만 살아남은 점이 독특하다. 저 제후국 중에서도 동북방 燕國은 그 범위에 논란이 적지 않다. 압록강 건너 한반도까지 넘어온 것으로 되어 있지만, 글쎄다. .. 2025. 2. 22. [마왕퇴와 그 이웃-2] 그리고 楚-漢의 시대 (2) 마왕퇴는 전한시대 무덤이다. 정확히는 유방이 천하를 제패하고 한나라를 건국했을 무렵그를 따라다니던 공신 중 별 볼일 없던 리창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보다 훨씬 대단한 건국 공신들도 유방과 여후에 의해 모가지가 팍팍 날아가던 무렵비록 한나라의 외곽이기는 해도 장사 지역에 자기 군국도 하나 받아 열후가 되고 그 자손까지 봉작이 이어져 거의 백년 가까이 유지한 집안 일가 무덤이다. 마왕퇴라고 하지만 무덤 하나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고, 모두 세 개 무덤을 총칭해서 이야기하는 것으로 그 무덤은 조사한 순서에 따라 각각 1호, 2호, 3호 무덤이라 부른다. 이 무덤은 발견은 1971년 12월에 있었지만 실제 발굴이 진행된 것은 1972년으로 (1호 무덤)2호와 3호 무덤은 1973, 1974년에 각각 시행되.. 2025. 2. 22. [마왕퇴와 그 이웃-1] 그리고 楚-漢의 시대 블로그 김 단장님과 함께하는 미라 이야기-.마침 전국 초묘의 이야기가 나와서 준비해온 마왕퇴, 전국 미라의 이야기를 풀어간다.이야기의 순서는 이렇다. 먼저 마왕퇴의 이야기를 하고,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전국 초나라 미라의 이야기를 쓰도록 하겠다. 현재 중국에는 이 시대의 미라가 총 3구가 전시 중인데, 하나는 호남성 장사, 다른 두개는 각각 호북성 형주시와 형문시에 모셔져 있다. 이 중 형문시에 모셔진 것이 현재 중국의 전국시대-진-한대 미라 중에서는 시기가 가장 빨라전국시대 초나라가 건재하던 시기까지 올라간다. 한대 미라, 특히 마왕퇴 미라에 대해서는 이전에 중국 웨난이 집필한 "마왕퇴의 귀부인"이라는 걸출한 번역물이 나온 바도 있어 국내에도 어느 정도 알려져 있고마왕퇴 미라가 모셔진 장사 자체가 장가계.. 2025. 2. 21. 마왕퇴와 호남의학원 https://taeshik-kim.tistory.com/entry/%EB%A7%88%EC%99%95%ED%87%B4-7-%ED%98%B8%EB%82%A8%EC%9D%98%ED%95%99%EC%9B%90 마왕퇴 (7): 호남의학원마왕퇴 조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기관의 하나가 호남의학원이다. 의학조사 자체는 당시 중국 내 전국의 의과학 역량을 딸딸 긁어 모았다고 해도 좋은데, 그 중에서도 중추적 역할을 한 곳이historylibrary.net마왕퇴 연구 조사와 관련하여 빼 놓은 수 없는 곳이 바로 호남의학원이다. 위 포스팅에도 썼지만 마왕퇴는 당시 중국의 연구 역량을 총동원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그 때 당시 전세계 어디내놔도 모자라지 않은 수준의 업적을 내놓았다. 이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 곳이.. 2024. 6. 9. 마왕퇴 (17): 청동기시대의 비단옷 청동기시대의 비단옷이라고 하면 대개 반응이 그 시대에 무슨 비단옷이라는 반응이 나오겠다. 그런데-. 중국은 양잠해서 비단을 신석기시대에 했다. 용산문화기에는 이미 비단 생산이 정착했다고 하니까. 농경이 본격화한 청동기시대에 양잠에 비단이라고 해도 별로 대단할 것이 없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양잠에 비단이라고 하면 요즘 보는 초고급 실크만 연상을 해서 그런데, 누에실로 짠 직물도 천차만별이다. 삼국지 동이전을 보면, 서기 3세기에 이미 바다건너 일본까지도 양잠에 비단은 보편화해 있었다. 種禾稻·紵麻, 蠶桑·緝績, 出細紵· . 其地無牛馬虎豹羊鵲. 삼국지 동이전에 일본열도에 보편화한 양잠은 그렇다면 언제 건너간 것일까? 억측일지도 모르겠지만, 필자는 양잠은 한국과 일본에는 도작과 함께 전파되었다고 본다. 한.. 2023. 11. 2. 마왕퇴 (16): 관속의 액체 마왕퇴 발굴 당시 관련자들의 주목을 끈것은 관속의 액체였다. 마왕퇴는 전한 제후왕의 예에 따라 여러 겹 관곽이 포개져 있었는데 마지막 관을 열었을 때 그 안에는 상당량의 액체가 바닥에 차 있었고 썩지 않은 유물은 바로 그 액체속에 잠겨 있는 상태였던 것이다. 마왕퇴 무덤이 처음 열렸을 당시 하나도 썩지 않은 시신과 유물을 보고 중국의 고고학자들은 이 무덤은 부패하지 않도록 인공적으로 처리된 것이라 보았다. 시신을 부패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원망은 사실 한대에 전혀 없던 것도 아니었고 그 시대에 시도했던 여러가지 방법 중 하나가 마침내 성공을 거두어 시신과 유물이 잘 남았다고 생각할 여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처음 관을 열었을 떄 유물은 물론 시신까지 완벽하게 남은 것을 보고 당시 발굴에 참여한 사.. 2023. 11. 1.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