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라 이야기442

후지와라 4대 미라의 조사 (1950) https://youtu.be/8-9ViIAg2yw?si=DHMCDnWef0-Arr6V 오슈 후지와라씨奧州藤原氏는 4대 약 100년 정도 일본 혼슈의 북부에서 번영했는데 일본의 동북지역이 일본사에 완전히 들어오는 과정에서마지막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이전에는 이 지역은 에조지로 서일본의 야마토에게는 정벌의 대상이었다. 헤이안시대에 이 지역은 비로소 야마토 판도에 들어왔는데그렇게 되어서도 여전히 완전히 융합되지 못한 곳이었다. 헤이케정권과 겐페이전쟁이 벌어지던 시기에 이 지역은 자칭 후지와라씨의 지손이라는 오슈 후지와라씨가 4대 100년간 지배했는데 그 지배자의 시신은 히라이즈미의 주손지, 곤지키도에 미라 상태로 모셔져 있다. 이 동영상은 그 4대 100년간 오슈후지와라씨 지배자 미라를 조사한 것으.. 2025. 9. 17.
오슈 후지와라 미라(14): 오슈 통일전쟁의 결과 사실 오슈 통일전쟁이라는 말은 없다. 이는 필자가 편의상 붙인 이름으로 일본사에서는 이 일련의 전쟁을 전구년합전前九年合戦과 후삼년합전後三年合戦이라 부른다. 앞의 것은 9년간 벌어진 전쟁, 뒤의 것은 삼년간 벌어진 전쟁으로 도합 12년간 전쟁이 벌어졌다는 뜻인데실제로 제대로 따져보면 전쟁 기간은 저것보다 더 길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전쟁의 내역을 보면전술한 아베 씨(安倍氏), 데와 기요하라 씨(出羽清原氏), 그리고 오슈 후지와라 씨(奥州藤原氏) 등 부수장俘囚長 외에도 중앙 정부에서 파견되어 개입하는 세력까지 있어 그 전개가 복잡하기 짝이 없다. 일본인이 아닌 우리로서는 되도록 간단히 이해해 보면우선 이 전쟁의 결과 이전에는 몇 개 종족이 연합체를 구성하고 중앙 정부에서 이들을 통해 간접지배하던 모습이었던.. 2025. 7. 3.
오슈 후지와라 미라(13): 오슈 통일 전쟁의 시작 헤이안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앞에서 이야기한 동북지역도 급격하게 세력이 재편되었는데 율령체제를 기반한 헤이안쿄平安京의 야마토 조정 입장에서는 당장 주변의 무사들도 통제가 안 되는 판에 당시로서는 열도의 북쪽 끝에 해당하는 오슈 지역까지 힘이 제대로 행사될 리가 없었다. 이 지역은 헤이안 시대 말, 크게 두 힘이 충돌하여 정국이 복잡하게 돌아갔는데, 첫째는 율령체제의 성립과 함께 이 지역을 무력으로 통치한야마토 조정의 힘, 그리고 둘째는 앞서 언급한 이 지역 토착 부수장俘囚長들이었다. 俘囚長이라고 하지만 이들의 세력도 간단치 않아서 크게 보아 아베 씨(安倍氏), 데와 기요하라 씨(出羽清原氏), 그리고 오슈 후지와라 씨(奥州藤原氏) 세 세력이 있었다. 이 셋 중에 앞선 두 세력, 아베씨와 기요하라씨는 좀 .. 2025. 7. 2.
오슈 후지와라 미라(13): 반기를 드는 俘囚長들 야마토 정권이 이 지역을 영제국 체제에 편제한 후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이 지역에는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 이외에이 지역민을 사적으로 통제한 우두머리들이 나오기 시작했으니 이들이 바로 자신들을 스스로 부수장俘囚長, 부수주俘囚主, 부수상두俘囚上頭 등으로 부르던 자들이었다.에미시의 후예 집단을 지배하던 이들은 중앙에서 내려온 관리들이 이 지역을 통제하는데 협력하는 대신현지인에 대한 사적 지배의 끈을 놓지 않았다. 이 사람들이 바로 이 지역의 安倍氏 (奥州)、出羽清原氏、奥州藤原氏 등이다. 우리 역사에서 보자면 북방에서 한반도 정부의 통제를 받는 대신현지인에 대한 지배를 확립한 여진족 수령쯤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여진 안에 한반도에서 건너간 사람들도 뒤섞여 있었지만스스로를 여진족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듯이.. 2025. 6. 29.
오슈 후지와라 미라(12): 俘囚가 된 에미시 7세기 말 이후 야마토의 북벌로 편입된 지역은 헤이안 시대 일본의 행정체계라 할 소위 영제국領制國 체제에서 데와出羽와 무쓰陸奥라는 이름의 지역으로 불렸다. 우리나라 함경도 지역에 옛 여진 지명이 심심치 않게 남아 있는 것처럼 이 지역, 일본의 동북지역에는 따져보면 그 기원이 에미시, 에조蝦夷인 경우가 제법 있다. 예를 들어 오늘날 아오모리青森県 현 쓰가루津軽 지역은 아이누어의 "칼 끝 부분"을 의미한다는 식과 같은 것이다. 이런 에미시 혹은 아이누계 지명이 동북지역에는 많다. 앞에서 쓴 것처럼 야마토 정권의 북벌로 이에 복속된 후 에미시인들은 야마토에 의해 부수俘囚[현대 일본에서는 후슈라고 읽는다]라는 이름으로 편제되었다. 俘囚라니, 이름 그대로 보자면 포로라는 뜻이니복속민이라는 뜻이 되겠다. 따라서 .. 2025. 6. 29.
오슈 후지와라 미라(11): 미 육군 기병과 아파치 미 육군은 운용하는 헬리콥터에 미국 원주민 (Native Indians)과 관련된 이름을 붙인다. 간단히 몇 개만 들어보면, Apache Attack Helicopter AH-64D/E Black Hawk Utility Helicopter UH/HH-60 Cheyenne Attack Helicopter AH-56 Comanche Helicopter RAH-66 Lakota UH-72A Light Utility Helicopter (LUH)등이다. 재미있는 것은 미 육군 기병은 개척시대에 이들 원주민 전사들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음에도 현대에는 원주민 전사들의 이름을 딴 헬기를 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 보병 2사단 견장은 인디언 추장이다. 미 육군이 헬리콥터의 네이밍이나 사단.. 2025. 6.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