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6

잡곡 농경의 구조 전술한 바와 같이 한국사에서 부여와 고구려는 잡곡농경에 기반하고 있다. 삼한과 고조선-낙랑으로 상징되는 도작 농경권과는 사회의 경제적 기반 자체가 달랐다는 이야기이다. 부여와 고구려 문명의 지역에는 무논은 없었을 것이다. 온통 밭이었을 텐데 여기에는 무슨 곡식을 심고 있었을까? 삼국지에는 부여의 경우 오곡에 걸맞다고 되어 있는데 같은 삼국지 한전에 오곡과 쌀을 따로 기술해 놓은 것을 보면 이 오곡은 잡곡이다. 삼국지의 오곡은 어떤 곡식일까? 일단 수수, 기장, 콩, 보리는 확실히 들어가지 않을까 싶다. 좁쌀은 의외로 선진문헌의 오곡에 안나오는데, 이 부분은 고찰이 필요하다. 多山陵·廣澤, 於東夷之域最平敞. 土地宜五穀, 不生五果. (삼국지 위서 동이전 부여) 其土地肥美, 背山向海, 宜五穀, 善田種. (삼국.. 2023. 12. 24.
고대인의 식사 실험: 수수밥 예고한 대로 수수를 구입했다. 비싸다. 청동기 시대 수수밥은 세 가지 방법으로 해 먹어 보려 한다. 밥은 찐밥으로 만들 것이며, 깡 수수밥 수수와 현미 혼식 수수와 보리 혼식 세 가지로 해서 먹어보겠다. 2023. 12. 23.
필자의 세번째 단행본 연전에 광고한 바와 같이 필자가 편집한 세 번째 단행본이 나왔다. 일본 계간고고학 별책으로 나온 단행본이다. https://www.yuzankaku.co.jp/products/detail.php?product_id=8928 【12/25発売予定】季刊考古学別冊44 都市化の古病理学 | 「雄山閣」学術専門書籍出版社26cm/B5判並製・カバー/152頁 都市の成立、都市化の進行による環境の変化は人や動物の健康にどのような影響を与えたか。世界各地の古代・中世・近世における都市と非都市の疾病や障害の実www.yuzankaku.co.jp 도시화와 인간의 질병에 대한 글을 묶은 책으로 필자의 아래 글 다섯 편도 함께 실려 있다. 総論 都市民の生活と疾病―東アジア的モデルの模索―(藤田 尚・申 東勳) 生物人類学と古病理学からみたインダス都市の繁栄と衰退.. 2023. 12. 23.
당시: 秋日登吳公臺上寺遠眺 (劉長卿) 古臺搖落後 秋日望鄉心。 野寺人來少 雲峰水隔深。 夕陽依舊壘 寒磬滿空林。 惆悵南朝事 長江獨至今。 유장경의 시로 당시삼백수에 실려 있다. 이외에도 당시삼백수에는 유장경의 시가 11편이 실려 있는데 적지 않은 숫자이다. 雲峰水隔深에서 水隔은 산이 隔水하다 표현으로도 시에 자주 나오는데, 필자는 이를 산 높고 골짜기 깊다는 뜻으로 보통 새긴다. 寒磬이라하면 가을철에 들리는 절의 종소리라 풀이하는 경우를 보는데, 범종이 아니라 처마에 매달아 놓은 풍경이 아닐까 한다. 딱 양수리 수종사 쯤에서 해질녘에 들어보면 어울릴 시일듯. 2023. 12. 23.
백발의 학자 정년후에도 연구를 계속 한다고 한다면, 학계의 권위, 죽을 때까지 연구하는 어쩌고 하는 이런 이야기는 다 필요 없는 이야기다. 그게 얼마나 덧 없는 이야기인가는 곰곰히 생각해 보면 안다. 제대로 돌아가는 학계라면 5년만 지나면 그 이전의 연구 태반은 쓰레기통으로 간다. 장강의 물결이라는 말을 실감해야 하는 곳이 학계다. 5년만 지나면 의미가 없어지는 곳에서 이전 수십 년의 학계의 권위 덧없는 소리다. 최근 한 곳 현재의 연구를 자문할 기회가 있었는데 현장은 빠르게 바뀌고 있어 내가 설친다고 될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고 적당한 시기에 적당한 포지션으로 내가 잘 물러나고 있다는 확신을 하게 되었다. 다만 나이든 학자들이 공부를 더 하고자 한다면 유심히 주변을 들여다 보면, 연구비 지원도 별로 없고 빛도 나.. 2023. 12. 23.
문명사로서의 고조선-낙랑 필자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이렇다. 고조선을 한민족의 첫 국가, 운운하여 민족주의적 사관의 첫 머리에 올리다보니 이 고대문명의 변천과 역사적 의의가 분명하게 드러나질 않는다. 이집트 문명을 보자. 장구한 이집트 문명의 마지막은 헬레니즘 문명이 장식한다. 필자 생각은 이렇다. 낙랑이 한의 군현이었냐 아니냐 이런 건 하나도 중요하지 않다. 대동강일대를 중심으로 성립한 고대문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낙랑은 한국사 안에서 다루어야 하며 그 전사인 고조선과 묶어서 이해해야 한다. 낙랑은 고조선을 무너뜨린 단순한 한의 식민지가 아니라 고조선 변천사의 최종형태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금 낙랑과 대방은 아예 한국사에서 사라졌는데 한국사에서 사라졌다는건 이것이 중국사라는 걸 한국인들이 인정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헬레.. 2023.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