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4

일본의 인문수준에 대한 생각 일본의 인문학 수준에 대해 약간 써 본다. 첫째로 에도시대 이전 일본 인문학 수준: 일본에서는 이를 굉장하게 포장하여 이해하는 경향이 있는데 내가 보기엔 당시 대륙국가에 비하면 그 수준이 대단치 않다. 텍스트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낮고 무엇보다 글을 읽고 이를 향유하는 사람 숫자 자체가 적었다는 생각이다. 일본 드라마 보면 무가정권 실력자들과 무사들이 대단한 교양인인양 묘사한 것이 많은데, 사실 이들은 싸우기 바빠 책읽을 시간이고 나발이고 없었다는 게 내 생각이다. 펠레한테 노벨문학상을 타라고 이야기하면 무리 아니겠는가? 이 시기 일본의 지식계란 공경들과 절의 승려들을 통해 가늘게 이어졌다고 보는데 대충 우리나라 무신정권 시대 문사들의 글짓기에 방불했다고 생각한다. 임란 이후 일본의 책이 고활자로 본격적.. 2022. 12. 31.
아래 포스팅 "발해의 특산품"을 보며 이미 알려진 사실이라 자세히 적지는 않겠다. 이 그림의 근거가 되는 부분은 《신당서》 발해전으로 원문은 다음과 같다. 그 나라가 귀중히 여기는 것은 太白山의 토끼·南海의 다시마·柵城의 된장[豉]·扶餘의 사슴·鄚頡의 돼지·率賓의 말·顯州의 베·沃州의 솜·龍州의 명주· 位城의 철·盧城의 벼·湄沱湖의 가자미이다. 과일로는 九都의 오얏과 樂游의 배가 있다. 이밖의 풍속은 高[句]麗나 契丹과 대개 같다. 俗所貴者, 曰太白山之菟, 南海之昆布, 柵城之豉, 扶餘之鹿, 鄚頡之豕, 率賓之馬, 顯州之布, 沃州之緜, 龍州之紬, 位城之鐵, 盧城之稻, 湄沱湖註 154之鯽. 果有九都之李, 樂游之梨校勘 043. 果有九都之李樂游之梨 滿洲源流考卷一九引本書同, 注云:「『九都』當是『丸都』,『樂游』當是『樂浪』之訛.」 餘俗與高麗·契丹略等. 여.. 2022. 12. 29.
새로 읽는 책: 《文明としての江戸システム》 금명간 새로 읽게될 책으로 《文明としての江戸システム 문명으로서의 에도 시스템》 日本の歴史19 (講談社学術文庫)이다. 물론 저자 혼자 읽는 것은 아니고, 일본문화 교수님들의 지도를 받아가며 읽는다. 저자는 鬼頭 宏. 에도시대의 사회가 어떻게 굴러갔는지를 설명해 놓은 책으로 필자의 전공 공부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기회가 되면 일독 후 소감을 나중에 써보겠다. 2022. 12. 28.
손진기孫進己와 《동북민족원류東北民族源流》 이 책은 꽤 오래됐는데 중국에서는 동북삼성 민족사 연구의 지남자와 같은 역할을 아직도 그쪽에서 하고 있다고 본다. 임동석 선생 번역으로 한국어판도 동문선에서 나왔다. (아래 첨부사진 참조) 이 양반 주장이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게 중국에서 통용되고 있기 때문에 필자의 글은 동북공정관련 유무를 떠나 이 책을 논의의 시발점으로 삼아 질정한다. 필자의 연구분야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인류집단의 분화와 계통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이는 항상 정치적 논란의 대상이 되었는데 (가장 가까운 예가 나치즘과 인류학의 관련이다) 지금도 인류학이 가까이는 동북아인의 정치적 욕구에 봉사하는 면이 전혀 없다고는 할 수 없다. 결국 필자도 사람인 이상 크건 작건 이런 정치적 동향에 영향을 받을수 밖에 없긴 하지만, 최대한 사실에 가깝.. 2022. 12. 27.
굳이 역사 관련 이야기를 블로그에 적는 이유 최근에 필자가 여러가지 역사 이야기를 블로그에 적는 이유는 심심풀이 삼아 적는 것은 물론 아니며 앞으로의 연구작업과 관련이 있다. 향후 작업에는 문헌 사학의 성과를 크게 반영하고자 하는데 외연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간혹 이야기가 빗나가 너무 멀리 가기도 하는데 양해가 있기를. 다만 나중에 시간이 흐르면 알게 되겠지만, 지금까지 해오던 작업과 많이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며 뼈대에 살을 붙이는 작업이 될 것이다. 결국 학문의 최종 목표는 스토리텔링이며 (올해 노벨의학상이 왜 네안데르탈인에게 주어졌는지를 생각해 보라. 고대 DNA연구자는 이번 수상자 외에도 많았다) 스토리텔링에는 역사학 만한 것이 없다. 필자도 이제 나이 50대 중반을 넘어서 회갑을 바라보기 시작했는데, 연구전체를 꿰뚫는 스토리.. 2022. 12. 27.
이자춘-이성계는 여진을 움직였다 14세기 말. 원나라가 쇠락의 길을 걸으면서 고려도 이에 대한 반격을 시작한 바. 공민왕은 쌍성총관부를 수복할 계획을 세우면서 현지 유력자인 이자춘과 비밀리에 접촉한다. 그 당시의 정황이 왕조실록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이때 기 황후(奇皇后)의 종족(宗族)이 황후의 세력을 믿고 몹시 난폭했으며, 황후의 형 대사도(大司徒) 기철(奇轍)은 쌍성(雙城)의 관리 조소생(趙小生)·탁도경(卓都卿)과 몰래 통하여 서로 당(黨)을 지어 반역을 꾀하였다. 왕이 환조에게 이르기를, "경(卿)은 우선 돌아가서 우리 백성들을 진무(鎭撫)하라. 혹시 변고가 있으면 마땅히 내 명령대로 하라." 하였다. 이해 5월에 기씨(奇氏)를 평정하고 밀직 부사(密直副使) 유인우(柳仁雨)를 명하여 가서 쌍성(雙城)을 토벌하게 하였다... 2022. 1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