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4

Historically informed performance 당대에 작곡되었던 시대의 악기로 그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다. 농업사? 필자가 보기엔 당대의 농업을 재현해 보기 전에는 완벽히 이해할 수 없다. 청동기시대의 농업? 신석기시대의 잡곡 농경? 모두 마찬가지다. 필자의 이런 이야기는 공상이 아니며 이미 하는 곳들이 있다. https://www.butserancientfarm.co.uk/blog/2023/6/27/neolithicbronze-age-agriculture-experiment-at-butser-ancient-farm Neolithic and Bronze Age Agriculture Experiment at Butser Ancient Farm — Butser Ancient FarmIn our latest blog, archaeobotanist and .. 2024. 6. 9.
엄청난 속도의 기장 생장 이게 딱 5일 만에 자란 기장의 싹이다. 이래서 벼농사 모내기철 가물어서 한해 벼농사 망쳤다 싶으면 갈아 엎어버리고 바로 기장을 심었다는 것이다. 고구마? 감자? 조선시대 구황식물의 끝판왕은 기장이었다. 이 기장 싹에 한 방울의 물도 주지 않고 계속 가 보겠다. 며칠이나 계속 생장할 수 있을지. 조선시대에도 심은지 3개월이면 기장은 수확을 했다고 한다. 2024. 6. 9.
가가 백만석加賀百万石과 가나자와성 에도시대 일본 굴지의 웅번 중에 가가번이라는 곳이 있다. 지금의 가나자와현인데, 여기는 속칭 가가 백만석=加賀百万石이라고 부른다. 일본사에서 1석이 한 명이 일년간 먹는 양이므로 백만석이라면 백만명을 부양할 수 있는 쌀 생산이 있는 번이라는 뜻이 되겠다. 에도시대에 백명당 병사가 네 명인가 몇 명인가가 나온다고 했으니 이 번이 백만석이라면 병사가 4만명 내외 정도 나올 수 있는 셈이 되겠다. 이 정도 규모의 번은 일본 땅 전체에서 많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도 가가번 하면 웅번의 상징처럼 되어 있다. 사진을 정리하다 보니 가나자와 성 사진이 좀 나와서 기록 삼아 공유해 둔다. 이 번은 마에다 가문이 에도시대 전 시대에 걸쳐 개역되지 않고 줄곧 번주로 있었다. 사진은 사실상의 이 번주 가문의 시조라 할 마에도.. 2024. 6. 9.
마왕퇴와 호남의학원 https://taeshik-kim.tistory.com/entry/%EB%A7%88%EC%99%95%ED%87%B4-7-%ED%98%B8%EB%82%A8%EC%9D%98%ED%95%99%EC%9B%90 마왕퇴 (7): 호남의학원마왕퇴 조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기관의 하나가 호남의학원이다. 의학조사 자체는 당시 중국 내 전국의 의과학 역량을 딸딸 긁어 모았다고 해도 좋은데, 그 중에서도 중추적 역할을 한 곳이historylibrary.net마왕퇴 연구 조사와 관련하여 빼 놓은 수 없는 곳이 바로 호남의학원이다. 위 포스팅에도 썼지만 마왕퇴는 당시 중국의 연구 역량을 총동원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그 때 당시 전세계 어디내놔도 모자라지 않은 수준의 업적을 내놓았다. 이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 곳이.. 2024. 6. 9.
콩은 Millet 재배를 위한 보조작물 앞에서 콩은 Millet farming을 하는 사회에서 거의 반드시 재배했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특히 주기적으로 범람이 새로운 표토를 농지에 덮어 휴경이 필요 없는 나일강, 황하와는 달리 한국처럼 비옥하다고는 할 수 없는 표토를 가진 나라에서는 millet farming을 하게 되면 연작을 할 수가 없다. 이럴 때 대책은 결국 주기적으로 휴경을 하거나 아니면 객토를 하거나, 그것도 아니면 비료를 때려 붓는 방법일 텐데, 신석기-청동기시대의 millet farming에선 객토나 비료를 떄려부었을 리가 없고, 휴경하여 땅을 완전히 놀리거나 아니면 주기적으로 콩을 심어 지력을 회복시키는 방법 외에는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조, 기장, 수수가 재배되는 곳에는 콩은 반드시 있었을 것이다. 콩을 아예 같은 .. 2024. 6. 9.
부여-고구려 문명의 농업 구조 이렇게 보면, 요하유역과 남만주 일대의 농업에 기반한 부여-고구려 문명의 농업사회 구조는 그 작물은 조, 기장, 수수를 중심한 millet farming에 단백질원-지력 강화 수단으로서 콩 농사. 그리고 사육동물로는 신석기 시대 이래의 개, 돼지, 말, 소 등 다양한 가축을 사육하고 있는 상태였을 가능성이 높다. 쌀농사는-. 요동 남부 해안 지역에서 대동강 유역을 잇는 지역 바깥에는 없었을 것이다. 다시 말해 고구려가 대동강 유역으로 내려오기 전에는 위와 같은 농작물과 가축사육으로 구성된 농업사회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부여-고구려 농업사회의 구조는 한반도 남부와는 어떻게 다를 것인가? 2024. 6.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