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4

Millet farming에서의 콩 재배 Millet farming- 서곡 농경이라 하면 기장, 조, 수수인데, 이 서곡 농경에는 콩 재배가 짝을 이루고 있었을 것이다. 왜? 지력 유지와 단백질 공급을 위해서다. 콩은 알다시피 단백질 함량이 탁월하여 탄수화물 위주의 서곡 농사를 영양학적으로 균형을 잡아주며 더 중요한 것은 콩을 재배하면 공기 중에서 질소를 포집하여 서곡 농사의 연작으로 문제가 되는 지력의 소모를 막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사의 millet farming은 기장, 조, 수수에 콩을 더한 형태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한반도 이른 시기 농경의 증거로 자주 거론되는 평양 남경유적에서 나온 곡물의 경우, 탄화미, 조, 수수, 콩, 기장이 확인되었다. 이 중 쌀의 경우는 산동반도에서 요동반도를 거쳐 들어왔을 것이며 .. 2024. 6. 8.
잡곡농경(x) 서곡농경(o) 우리는 도작이 아니면 몽땅 잡곡이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용어는 오해의 여지가 있다. 도작 이전의 잡곡은 엄밀히 이야기 하면 잡곡 농경이 아니라 millet를 주축으로 한 서곡(黍穀)농경이다. 서곡 농경이라하면 영어로는 millet farming이 되며 여기에는 콩 등 작물도 함께 재배하기는 했지만 주력 작물은 millet인 조, 기장, 수수가 된다. 잡곡농경이라는 용어가 과연 적당한 용어인가 한 번 논의의 필요가 있다. 2024. 6. 8.
잡곡 농경의 기원지로 주목받는 요하 유역 최근 중국쪽에서 나오는 논문에 표시된 잡곡농경 (millet farming)의 기원지 후보지역. 빨간색 폐곡선으로 표시된 지역으로, 황하유역에 몇개 그려져 있고, 공간을 건너뛰어 요하유역, 정확히는 흥륭와 문화 언저리에 잡곡농경의 기원지 중 하나가 설정되어 있다. 한반도의 잡곡농경은 이 지역의 영향을 직접 받았을 것이며, 도작이 건너오기 전에 이 문화가 한반도와 남만주 일대의 주류였을 것이다. 위 논문 서지는 다음과 같다. He, K., Lu, H., Zhang, J., Wang, C., & Huan, X. (2017). Prehistoric evolution of the dualistic structure mixed rice and millet farming in China. The Holocene, .. 2024. 6. 8.
Millet과 쌀 농경의 역사 중국 초기 농경사에서 쌀 농사와 잡곡 농경 (millet)의 분포도. 쌀 농경의 북쪽 경계가 산동반도와 요동까지 뻗어 있다. 바로 이 루트를 통해서 한반도로 쌀 농사가 넘어 들어왔을 것이다. 발해만의 북쪽에서는 쌀농사가 확인된 바 없다. 따라서 요서지역에서 남만주로 확산한 비파형동검문화는 본질적으로 잡곡농경이다. 요동반도로 건너온 쌀농사는 남하하여 평양인근에서 기존의 잡곡농경과 결합한 후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남하했을 것이라 본다. 2024. 6. 8.
Millet의 영양가 : 잡곡 농경의 경쟁력 잡곡농경 주축이 되는 millet는 사실 쌀과 비교해서 별 차이가 없다. 100그램당 칼로리는 쌀 130, millet 119 탄수화물은 쌀 28.7, millet는 23.7이다. 칼슘 등은 millet가 오히려 더 높다. 이 이야기는 뭐냐 하면, 쌀의 밀식 생산이 되기 전이라면, 쌀과 millet의 인구 부양력은 별 차이가 없다는 뜻이다. 오히려 millet는 가뭄 등 농사에 불리한 자연환경에서 빠르게 잘 자라기 때문에 벼농사가 혁신을 계속하여 좁은 토지에서 밀식생산하며, 온대지역에서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해지는 시기까지는 millet가 훨씬 유리한 작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이 때문에, 잡곡농경지대인 황하유역에서 안정된 농업생산이 먼저 이루어지며, 장강유역은 오래전 쌀 농사가 시작되었음에도 .. 2024. 6. 8.
돼지 사육은 왜 잡곡농경지대에서 더 우세했나 중국의 경우, 잡곡농경지대인 황하유역과 도작 지대인 양자강 유역을 비교하면 전자가 후자보다 돼지 사육이 훨씬 전문적이었다. 돼지우리를 설치하고 키우기 시작한 것도 황하유역이며, 오래된 사육돼지의 흔적도 황하유역이 더 많다. 한반도는 어떨까? 한반도 남부지역은 사육돼지의 흔적이 뚜렷하지 않다. 돼지사육은 잡곡지대인 남만주 일대의 고구려-부여 문명에서 훨씬 흥했을 것이다. 왜 도작지역보다 잡곡지대에 돼지 사육이 더 많았을까? 사람이 무엇을 먹고 그 부산물이 무엇이 나오는가 하는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 쉽게 말해서 잡곡을 재배할 경우, 돼지를 사육하는 데 쓰이는 사료감이 훨씬 많이 나왔으리라 보는 것이다. 쌀 농사보다 잡곡 농사가 돼지키우기가 더 유리했을리라 보는 것이다. 돼지 사육은 고구려 부여가.. 2024.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