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297

빗물이 그은 라인, 지붕 처마선 고고학이나 고건축이 건물터 발굴할 적에 이런 지붕 처마선 얘기를 잘한다.빗물이 떨어진 이 줄이 처마선인 까닭이다.거창하게 볼 거 암 것도 없다.땅 한 번만 파보면 아는 일이다. 아니 안 파도 안다. 등신이 아니라면 말이다.고고학이 고고한 그 무엇이 아니다.삶이다. 2020. 4. 17.
흑산도까지 침투한 네편 내편 편가르기 1779년 4월 29일 당쟁이라는 것이 있은 이래, 그 악영향이 견고하고 만연하기로 들자면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는 일찍이 없었다. 시비를 가리는 데서 출발하여 충신과 역적을 나누는 것으로 끝나고, 끝이 났다가는 다시 시작하여 지엽말단적인 것을 층층이 첩첩이 쌓아가니 결국에는 반드시 나라가 망하는 데 이르러서야 그만두게 될 것이다. 명나라 말기에 당쟁의 폐해가 심각했다고 하지만 우리나라처럼 심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1786년 1월 16일 생각해 보면 우리나라의 이른바 당파의 구분이란 것은 도대체 무슨 물건인지 알 수가 없다. 비록 한 나라에 함께 살고 한 군주를 함께 섬기고 심지어 한 마을에 함께 살고 있지만 아득히 서로 다른 나라에 있는 것처럼 전혀 소식을 모른다. 그래서 다른 당파의 사람이 쓴 글을 얻.. 2020. 4. 15.
화양서원이 구현한 동아시아 건축 그랜드디자인 우암 송시열을 배향한 괴산 속리산 기슭 화양서원 주요 건축물 배치양상이다. 주의할 점은 현재 들어선 주요 전각은 2006년 발굴조사 결과와 각종 조선시대 문헌 기록을 대비해서 이후 완조니 새로 지었다는 사실이다. 화양서원은 대원군의 서원 훼철령을 피하지 못했으니 그때 만신창이 되어 사라졌다. 이 화양서원 전각배치와 관련해 너도나도 이구동성으로 지적하는 말이 조선시대 여타 서원 건축배치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하거니와 치밀한 사전설계에 따른 건축이 아니기 때문이라 말한다. 그런가? 그 입론 근거가 바로 이거다. 송시열 신주에 해당하는 영당, 곧 사당이 저리 위치한다는 그거다. 여타 서원 같으면 저 사당이 북쪽 중앙으로 가야 한다. 이것이 이례異例라 한다. 송자사는 건물 전면에서 바라보는 사람 기준으로는 서.. 2020. 4. 13.
탈영병한텐 죽음 아니면 천하제패 '도망치면 곤장 50대'에도 조선 군인이 탈영한 까닭은 | 연합뉴스 '도망치면 곤장 50대'에도 조선 군인이 탈영한 까닭은, 박상현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4-12 10:43) www.yna.co.kr 탈영병 문제가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요, 동서고금 막론한 일이었으니, 특히 국민개병제를 실시하는 곳일수록 탈영병 문제는 그만큼 더 심각할 수밖에 없다. 작금 대한민국은 국민개병제다. 그래서 툭하면 총질하고 탈영하거나, 탈영하고서 총질하는 비극이 벌어진다. 조선시대엔 국민이라는 개념이 있을 수는 없으나, 이 역시도 국민개병제에 가까워, 실제 군대에 징집되거나, 아니면 그에 상응하는 돈을 대야 했다. 조선시대 군역이 더욱 심각한 대목은 자비조달을 해야 했다는 점이다. 그 생활에 소비되는 옷가지며 하.. 2020. 4. 12.
밀가루 계란 범벅으로 각인한 국무총리 서리 정원식 정원식 전 총리 별세…남북기본합의서 서명 주역·밀가루 봉변도(종합) | 연합뉴스 정원식 전 총리 별세…남북기본합의서 서명 주역·밀가루 봉변도(종합), 박경준기자, 정치뉴스 (송고시간 2020-04-12 14:39) www.yna.co.kr 저 양반이 파란만장한 이승에서의 삶을 끝냈다 해서, 우리 세대에 각인한 정원식은 바로 저라, 그리하여 문제의 사건 발생 시점을 우리 공장 DB에서 들여다 봤다. 이를 위해 나는 '정원식+밀가루'라는 두 키워드를 넣었다. 처음엔 '밀가리'라 넣었다가 이래선 기사 검색이 아니되더라. 그를 증언하는 첫 타전은 이렇다. 작성자는 나중에 우리 공장 상무이사까지 하면서 각종 불공정 보도에 휘말린 김성수다. 1991.06.03 19:55:01 鄭총리 외대서 학생들에 봉변 (서울=聯.. 2020. 4. 12.
착착 감기는 느낌 좋아 곤장이 된 물푸레, 장영실을 때려잡다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고 물푸레나무도 막상 찾으려면 만나기가 쉽지는 아니하다. 함에도 야산 어디에서건 쉽사리 자란다. 요롷게 생겨 먹은 놈인데 많이 봤을 것이다. 이건 뭐 사랑받는 나무가 아니라서 잡목 축에도 들지 못한다. 내가 옛적 나무하러 다닐 때도 저런 놈은 쳐다보지도 않았다. 어디다 써먹는단 말인가? 한데 요 물푸레가 유독 요긴하게 쓰이는 데가 있으니 곤장이었다. 궁댕이 짝짝 때리는 그 곤장 말이다. 곤장 칠 땐 궁둥이에 물을 뿌려야 치는 놈도 흥이 나기 마련인데, 그 찰싹찰싹 감기는 맛으로 물푸레 만한 게 없었던 모양이다. 이 곤장도 형식으로 그치는 일이 많아 돈 많고 권력 있는 놈은 맞는 시늉만 했다. 결국 백없고 돈없는 가난뱅이들한테만 저승사자였다. 세종시대 테크노크랏 장영실 노비 출신에 .. 2020.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