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908

포크가 오늘날 세계 식탁을 지배하기까지 천 년의 이야기 by Darius von Guttner Sporzynski, The Conversation오늘날 포크는 접시만큼이나 필수적인 표준 식기 세트 일부다. 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제는 평범한 이 식기는 의심과 조롱, 심지어 도덕적 분노의 대상이었다. 콘스탄티노플(오늘날의 이스탄불) 부엌에서 유럽 식탁에 오르기까지는 수 세기의 세월과 왕실 결혼, 그리고 약간의 문화적 반항이 필요했다. 논란 있는 식기초기 형태 포크는 청동기 시대 중국과 고대 이집트에서 발견되지만, 아마도 요리와 서빙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로마인들은 청동과 은으로 만든 우아한 포크를 사용했지만, 역시 주로 음식 조리에 사용했다.작은 개인용 포크로 식사하는 일은 드물었다. 10세기 무렵, 비잔틴 엘리트들은 포크를 자유롭게 사용해 서유럽.. 2025. 9. 23.
코프럴라이트coprolite, 우린 왜 똥덩이를 주목해야 하는가? 고고과학에서 코프럴라이트coprolite라 일컬는 동물 똥덩이를 우리 학계에서는 분석糞石이라는 말로 흔히 옮기거나 쓴다. 말 그대로 똥덩이, 곧 대변大便을 말한다. 이런 배설물이 시대를 거슬러 인류 출현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마치 화석처럼 변했다 해서 포설라이즈드 피시스 fossilized feces 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이 똥덩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하며 실제 그 분석이 적용된 두어 사례로 우리가 그간 소개한 것들을 한 자리 모아봤다. 1. 개설 : 분석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화석화한 대변, 왜 중요한가?https://historylibrary.net/entry/%ED%99%94%EC%84%9D%ED%99%94%ED%95%9C-%EB%8C%80%EB%B3%80 화석화한 대변, 왜 중요.. 2025. 9. 21.
All about 매독 바로 앞서 신동훈 선생께서 조선시대 후기랑 에도시대 매독 양상을 비교 분석한 연구 성과를 제출했다 했거니와 이 매독 문제와 관련해서는 우리 히스토토리올어바웃 역시 적지 않이 다루었다. 이에 그간 진행한 매독 관련 이야기 중에서 앙코가 될 만한 것들을 모아 본다. 그것이 아니라 해도 혹 더 관심 있는 분들은 '매독'이라는 검색어로 찾아보셨으면 한다. 200년 된 양 맹장 콘돔, 박물관 전시에 나오다 200년 된 양 맹장 콘돔, 박물관 전시에 나오다200-year-old sheep appendix condom with erotic artwork goes on display at Rijksmuseum by Dario Radley June 4, 2025 200년 된 양 맹장 콘돔, 박물관 전시에 나오다암스테.. 2025. 9. 19.
청동이 부족한 시대 청동검을 본뜬 덴마크 돌칼 각 문화권이 청동기시대로 본격 돌입한 시기에는 차이가 적지 않아 세계사적인 관점에서 중국만 해도 저쪽 중동이나 유럽에 견주어 한참이나 뒤진다.한반도는 말할 것도 없어 중남부 기준으로 가장 빠른 청동이라 해 봐야 정선 아우라지 유적에서 나온 코딱지가 기원전 12세기인가 암튼 그 어간을 기록할 뿐이며 것도 본격적인 청동기시대 개막은 이후 천년을 기다려야 한다. 한반도는 청동기시대 설정이 따로 어려울 정도로 형편 없어 그 본격 사용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청동기는 실상 철기랑 등장 시점이 같다 봐도 무방할 정도다. 한데 청동기 시대 시작 무렵 한반도 선사시대는 아주 요상한 점을 보이는데, 그 본격하는 청동제품이 등장하기 전 간헐로 비파형동검이며 세형동검이 가뭄에 콩나듯 보이며,그에 견주어 그보다 빠른 시기 혹은 .. 2025. 9. 19.
중국 거울, 그 화려한 여정 중국 상해 복단대학复旦大学이 몇 년 전 개인 소장가한테서 고대 구리거울 동경銅鏡 118점인가를 기증받았다 하면서 그 일부를 소개하는 영문 페이지를 우연히 마주치게 되었거니와 소개 방식이 재미 있어서 소개한다. 바로 앞은 Mirror with Panchi Dragons and PheonixesDynasty: Warring States period (770 - 476 BC) As a mythical image in Chinese culture, dragon was worshiped by ancient Chinese. On this mirror, four dragons flying heroically in a lightning storm were inscribed. 뒤엉킨 용과 봉황 문양을 넣은 거울들로 전국.. 2025. 9. 18.
고구려를 개구리로 만든 이덕무 유득공 한담집인 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 제1권에 보이는 말이다. 신라는 새 나라다〔新羅者新國〕 이무관李懋官(이덕무)이 말하기를 “고구려는 우리말로 개구리다. 고주몽이 금와金蛙의 아들이므로 국호를 고구려라고 한 것이다.” 했다. 나도 “신라란 새 나라다. 우리말로 새것을 ‘새[斯伊]’라고 하고, 국가를 ‘나라羅羅’라고 한다. 신라를 또 달리 사라斯羅라고 부르는 것은 이 때문이다. 또한 신로新盧라고도 하는데, 라羅와 로盧는 발음이 서로 비슷하기 때문이다”고 했다.또 임라任羅니 가라加羅니 탐라耽羅니 하는 따위가 있는데, 모두 아무 나라 아무 나라를 말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산고수려니 일신망라니 하는 의미 부여는 모두 종래의 견강부회한 말들이다. 당시의 군호君號와 관명은 모두 우리말을 썼는데, 어찌 한자어의 의미를.. 2025. 9.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