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297

於是天下遂三分矣..삼국 분립 《후한서後漢書》 효헌제기孝獻帝紀 다음 구절..... 明年,劉備稱帝于蜀,孫權亦自王於吳,於是天下遂三分矣。 이듬해에 유비가 촉에서 제帝라고 칭하고 손권 역시 오에서 스스로 왕王이라 칭하니 이로써 천하는 마침내 세 갈래가 되었다. 이로써 위魏 촉蜀 오吳가 쟁패하는 삼국三國시대가 펼쳐진다. 조조가 죽자 그 작위 위왕魏王을 세습한 그 장자 조비曹丕가 허울뿐인 후한 황제 헌제獻帝한테서 양위하는 형태로 천자에 올라 魏 왕조를 개창하니 이때가 서기 220년이라, 그 이듬해 4월 성도에 거점을 둔 유비劉備 역시 국호를 한漢이라 하고 칭제稱帝하며, 남쪽 손권孫權까지 자칭 왕이라 하니 이로써 천하 삼분 시대가 개막한다. 이 문자...너무나 간결하고, 너무나 함축적이다. 그래서 나는 이 구절을 천하의 명문이라 꼽는다. 2020. 5. 15.
셰일암 Shale巖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실 전시품이다. 설명문 보니 충남 보령산이며 지질학적 연대로는 아미산기(트라이아스기)라는데 생성연대가 열라 오래됐을 것이다. 셰일암이라면 문화재업게에선 대뜸 반구대암각화를 떠올리는데 이 암각화 바탕이 셰일암이요 그 앞을 흐르는 대곡천 일대가 온통 이 방구다. 설레발이 유행하는데 셰일암이 약해서 암각화가 급속도로 훠손하네 하는 헛소리가 횡행한다. 거짓말이다. 안 없어진다. 거기 물이 찼다 안찼다 한다 해서 저 장구한 세월을 버틴 셰일암이 삭아문드러진단 말인가? 인간이 때려부수지 않는다 자연으로 그에 새겼다는 암각화가 없어질 날은 인류가 멸종하기 전까진 안 온다. 제발 말도 안되는 헛소리는 집어쳤음 한다. 그렇게 해서 없어졌을 암각화 같으면 벌써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2020. 5. 14.
Trilobites, prevailed in the sea 삼엽충 National Science Museum in Daejeon 삼엽충, 한반도 바다의 첫 주인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2020. 5. 14.
닥나무꽃 보곤 격발하노라 한지가 급격히 종이 시장에서 퇴출하면서 급속도로 그 중대성이 동시에 떨어져 지금은 밭두렁에 그 편린만 계우 남은 닥나무꽃이다. 이 닥나무는 내 기억에 여름철 정도인가에 베어 이파리를 땄던가 아니면 그대로인가는 모르겠는데 대따시 큰 가마에 쪄서 저 껍데기를 홀라당 벗겼으니 거무틱틱한 저 껍데기는 다시 벗겨내곤 속살만 거두어 그걸로 종이로 가공해 냈다. 저 겉껍질을 벗겨내는 도구가 따로 있거니와 그 이름은 내가 망실했으니 고고유물 중에 그걸로 보아야지 않을까 하는 실물을 접한 적 내가 있는 듯하다. 무론 나 역시 어린 시절 저런 닥나무를 베고 지게에 져다 나르곤 했거니와 지게로 져낸 닥나무는 리어커에다 싣고는 십리길 닥가마로 옮겨다 주었으니 가격은 어찌 계상했는지는 기억에 없다. 그걸 키우는 데는 거의가 논.. 2020. 5. 12.
도교 신격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 상원上元 중원中元 하원下元은 모두 보름으로 도교의 삼대 명절이다. 상원당장군上元唐將軍이니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은 당근 빠따로 도교의 신이다. 도교를 도통 모르니, 그 실체를 둘러싸고 이상한 말들이 한 때 난무했다. 국립민속박물관이 복제로 전시 중인 이 하원당장군 원품은 상주 남장동에 있다. 이들이 도교신격이란 주장은 불상이 불교에서 왔단 주장이랑 같다. (2018. 5. 9) *** 주옥을 방불하는 이 글을 간평하는 말 중에 압권은 미국 의회도 상, 하 양원으로 구성되어 있지요 라는 畏友 이정우 선생 말이다. 미국은 도교 영향이 생각보다 더 짙은 모양이다. 2020. 5. 10.
2002년 어버이날 엄마의 사투 [순간포착] 자유를 향한 절박한 절규와 몸부림 2020-05-09 07:00 2002년 김한미양 일가족 중국 선양 일본총영사관 진입 사건 '자유를 향한 탈출 시도'라는 제목으로 발행된 우리 공장 사진이다. 사진이 포착한 장면은 2002년 5월 8일 오후 중국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 일본 총영사관 영내로 진입하려는 김한미 양 일가족을 중국 공안요원이 제지 체포하는 순간이다. 단 한 장의 사진이 이토록 강렬할 수 있을까? 이 사진 압권은 영사관에 이미진입한 한미 양이다. 불과 1미터나 될까말까한 거리를 두고 벌어지는 사투의 현장 생존의 투쟁 순간이다. 영사관은 국제법에 따라 그것을 제공한 해당국가의 주권이 미치지 못하는 치외법권 지대다. 저 선을 넘는 행위는 침략이다. 상징과 실질이 이만큼 절묘하게 교.. 2020. 5.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