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6 일본 헤이안시대 귀족의 식사 일본 헤이안 시대 귀족이 먹던 밥은 찐밥, 즉 강반이었다. 뜸들인 밥이 아니다. 오른쪽에 높게 쌓아 올린 밥이 바로 코아이이, 강반이다. 밥 느낌은 딱 우리 약밥 정도 된다. 약밥은 밥알을 단 것으로 서로 붙여 놓은 거라 그렇지 밥알 자체는 찐밥이라 입안에서 따로 논다. 헤이안시대까지도 일본 귀족들은 강반을 먹었다. 왜 우리가 찐밥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그 이유는 여기에 있다. 우리 역사에서 찐밥에서 뜸들인 밥으로 넘어가는 시기가 언제인지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2024. 1. 5. 20년 전 기생충 검사용 토양채취 저땐 날씬했었네. 일을 정리한다고 옛날 사진을 뒤지다 보면 저때 벌써 저 생각을 했었나 싶은 사진을 만날 때가 있다. 이 사진은 한 20년 전 것인데 발굴 현장에서 기생충 샘플링이라고 붙어 있는거 보면, 이때 이미 토양에서 기생충 분석은 머리속에 있었던 거 같다. 따지고 보면 지금 정리 작업은 20년만에 그 결론을 보고 있는 셈이다. 2024. 1. 4. 20년전 현장을 누볐던 애차 요즘 책 쓴다고 과거 사진을 찾다보니 그 시절 타고 다니던 애차-코란도가 보여 한 컷. 좋은 차였다. 저런 현장 못가는 데가 없었음. 저 때는 발굴 현장 가보면 저렇게 광대한 땅에 건물이 들어설 계획이라 홀랑 나무를 다 쳐놔서 현장 들어가도 차를 바로 내리지 않고 몰고가야 했던 곳이 꽤 있었던 걸로 기억한다. 저 코란도를 나중에 더 이상 타지 않게 된 것과 현장을 뛰며 작업하던 시기는 거의 비슷하게 막을 내렸다. 2024. 1. 4. 쪄서 만든 현미수수밥 쪄서 만든 현미수수밥이다. 쌀반 수수반이다. 현미는 가장 껍질을 덜 벗긴 걸 썼다. 시식의 결론: 쪄서 만들어서 그런지 거칠다. 이걸 뜸들여서 취사도 해 보았는데 거의 다른 잡곡밥과 차이를 못 느꼈는데 쪄서 현미와 수수 반반 밥을 만들면 아주 아주 거칠다. 소화시키는 데 힘들었다. 다음 차례는 쪄서 만든 깡수수밥이다. 2024. 1. 4. 답답한 자가 우물 파는 한일 관계사 한일관계사의 경우, 일본이 그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고 질타하는 경우를 본다. 답답하다. 일본 연구자들이라고 맨손으로 연구하겠는가? 그 쪽도 전부 연구비 타서 연구한다. 일본에서 돈 줄 쥔 사람들이 미쳤다고 한국이 일본에 문물을 전파했다는 스토리에 연구자금을 지원하겠는가? 그쪽도 자기들 역사에 금칠 할 수 있는 스토리를 원한다. 그러니 야요이문화 연대도 올라가는 것이고, 쌀농사가 양자강에서 왔다는 소리도 나오는 것이다. 한일관계사, 특히 고대 한일관계사의 경우, 야요이 문화와 일본 고대국가 성립기까지의 한국문화의 영향력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아 답답하다면, 그 연구는 이쪽에서 해야 되는 거다. 저쪽이 아니라. 2024. 1. 4. 청동기시대의 논 양재천 산책로를 따라 걷다보면 논이 하나 나온다. 무슨 생각인지 모르겠는데 양재천을 따라 낸 산책로 옆에 논을 만들고 구청인지 어딘지 여기다 벼도 심는다. 이 논을 볼 때마다 아깝다. 이걸 가지고 여러 가지 실험을 해 볼 수 있을 텐데 싶어서이다. 청동기시대 벼농사. 말이나 그렇지 해본 사람 있는가? 고고학발굴로 확인되는 사실이 있다면 그 방법대로 한번 지어보는 거다. 그러면 거기서 다음 아이디어가 나오고, 그 아이디어 근거를 찾기 위해 현장에서는 또 착안하게 될 거다. 신기하게도 이 논은 딱 청동기시대 논이 이렇게 싶었겠지 싶은 모양에 크기도 딱 이 정도였겠지 싶은 정도이다. 2024. 1. 3. 이전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33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