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6

만주땅이 있었으면 달라졌을까 If 라는 말은 역사에서는 별 소용없다고들 하지만, 그래도 가끔은 그런 생각을 해보기도 한다. 만주땅이 한국사에 있었다면 달라졌을까. 필자가 보기엔 만주땅은 한국사의 경로를 바꾸는데 별 차이가 없었을 것이라 본다. 만주땅이 한국인에게 엄청난 의미를 갖게 된 것은 이 지역이 농경지로 바뀌기 시작한 이후부터다. 그 후에 비로소 만주땅을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기 시작했다는 말이다. 고려와 조선이 북진정책을 한데도 그건 어디까지나 농사가 제대로 되는 선까지 북진을 말하는 것이지, 시베리아 벌판 바로 아래까지를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었다 할 것이다. 오히려 한국사에서 if가 통한다면, 이것이 있었다면 한국사는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은, 한반도의 남쪽이 일본의 큐슈 남부 지역, 중국의 양자강 북.. 2023. 11. 20.
사군육진 개척을 둘러싼 의문 사군육진은 위도가 우리 생각보다 훨씬 높다. 사군 육진은 홋카이도 남부지역과 위도가 같다. 세종 때 이 지역에 사민이 이루어진 것은 여러모로 의문스러운 점이 많다. 우선 도대체 뭘 먹고 살았을까? 일본사에서도 15세기에는 저 위도까지 올라가지를 못하고 있었다. 특히 두만강 연안의 사민정책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유지되었는지, 도대체 뭘 먹고 살았는지 밝혀진 것이 너무 없다. 거듭 이야기 했지만 북방 사민은 그냥 올라가서 지킨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일본사에서 북해도까지 올라가 개척을 한 시대는 메이지유신 이후에야 본격화하는데 이 당시 북해도에 심을 적당한 종자가 없어 개척농민들은 크게 고생을 했다. 일본 동북지역은 19세기 초중반까지도 만성적인 흉년에 시달렸는데 결국 그 이유는 벼농사가 안정적이지.. 2023. 11. 20.
칠생보국에 대하여 미시마 유키오 하면 온라인에 뜨는 사진이다. 이 사람 인생과 그 문학은 솔직히 내 취향은 아니다. 각설하고-. 이 사람의 머리에 두른 띠에 보면 써 있는 글이 "칠생보국七生報國"이라는 것인데, 이를 "일곱번 다시 태어나도 나라에 보답한다"라고 번역하는 경우를 보는데, 정확한 번역은 나라에 보답하는게 아니라 덴노, 일본천황에게 보답한다가 맞다. 이 말은 일본 남북조시대에 남조의 무장으로 덴노편에 섰던 구스노키 마사시게楠木正成(?~1336)가 죽기전 한 말에서 유래한다. "일곱번 태어나도 덴노 편에서 서겠다" 결국 그 소리인데, 이 이야기가 메이지 이후 구스노키 마사시게가 무사도의 정화로 추앙받으면서 이 말이 각광을 받아, 이차대전 중에도 일본군이 애용하는 문구가 되었고, 위 사진에서 보듯이 미시마 유키오도.. 2023. 11. 19.
가장으로서 책임감에 대하여, 바람의 검 신선조의 경우 필자는 일본 소설가 아사다 지로[浅田次郎. 1951~]의 책 《칼에 지다》를 먼저 본 게 아니고 이 책을 원전으로 만든 영화를 먼저 봤다. 국내에서는 "바람의 검 신선조"라던가 하는 이름으로 개봉했는데, 원래 제목은 "미부 의사전[임생 의사전壬生義士伝]"이다. 미부는 신선조가 주둔하던 교토 동네 이름이다. 주인공이 신선조新選組[신센구미]의 대원이었으므로 붙인 책 제목일 게다. 책 제목만 보면 흔한 신센구미 찬양 영화인 듯 하지만-. 사실 이 영화는 신선조가 주인공은 아니다. 영화도 그렇고 소설도 모두 신선조는 그냥 흘러가는 배경일 뿐이고, 주제는 막말 지지리도 못살던 최하층 사무라이 이야기다. 이 사무라이는 동북의 한 번에서 태어나 가난을 등에 짊머지고 살았느데, 언젠가 쓴 것 같지만 일본사에서 막말, .. 2023. 11. 18.
굶는 게 일이었던 일본 동북의 번 에도시대 일본 동북지역의 번은 벼농사가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있었다. 이 때문에 조금만 기온이 내려가면 벼가 냉해를 입어 번 전체가 기근에 빠졌다. 에도시대는 물론 19세기 초 중반 막말까지도 이 문제는 해결이 안 되어 동북지역 번은 주기적으로 냉해, 흉년, 기근에 밥 굶고 가족을 내다 파는게 일이었다. 이 동북지역 번과 같은 위도가 우리나라 평안북도, 함경남도 일대다. 조선 전기에 개척된 육진 위도를 보라. 어마어마하게 높은 위도 아닌가? 조선 전기에 두만강 일대를 개척한 일은 그 업적에 비해 너무 조명을 못 받고 있다는 생각이다. 조선전기에 두만강 일대를 농경민, 특히 벼농사꾼이 들어가 산다는 것은 목숨을 기근에 맏기고 사는 일과 다름 없었을 것이다. 참고로 일본에서 동북지역이 벼농사가 비로소 안정되.. 2023. 11. 18.
한국과 일본의 벼농사 벼농사는 일조량과 강수량, 평균 기온의 영향을 짙게 받는다.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의 벼농사는 검은 선처럼 전파되었을 것이다. 먼저 한반도에서 한번 남하하여 바다를 건너 일본큐슈로 들어간 후 동위도상으로 동진하다가 마지막에 북진하게 된다. 이 북진 단계가 되면 벼농사가 점점 일조량이 짧은 지역을 거슬러 올라가야 하므로 북진 속도가 점점 느려진다. 일본 열도에서 벼농사 문명을 상징하는 야마토 왕권이 동일본일대를 조기에 석권하지 못한 이유다. 위도가 점점 올라가므로 벼농사가 북상을 쉽게 못한 것이다. 빨간선이 대략 서기 8-10세기 연간 한국과 일본의 북쪽 국경선이다. 양쪽 모두 비슷한 위도에서 국경이 형성됐음을 알 수 있다. 왜? 벼농사 기술의 한계상 이 위로 북상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노란색은 대략 .. 2023. 1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