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2 야요이인 논의를 시작하며 오랫동안 준비해온 바, 야요이인 이동에 대한 논의를 이제 시작하고자 한다.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국문학술지에 야요이인 이야기를 쓰고는 아무 반응도 접하지 못하는 그런 짓을 할 생각은 없고,많이 읽는 일본어권 학술지에 글을 실어 일본에서 관련 논의의 중심에,태풍의 눈으로 직접 들어갈 생각이다. 시작하기에 앞서 한 가지만 이야기하자면, 나는 고대 한국인이 일본열도에 건너가 현대 일본인의 기원이 되었네 아니네나아가서는 일본의 덴노가 백제인의 후예이니 아니니 이런 이야기의 귀추에는 관심이 없다. 오직 팩트만 이야기할 것이다. 그것이 설사 한반도에 불리한 이야기일지라도그것이 사실이라면 다 인정하고 밝힐 생각이니, 필자가 야요이인 이야기를 전개함에 있어 한국편만 들 것이란 생각은 하지 말아주셨으면 하노라. 2024. 9. 14. 글은 열독율과 임팩트를 보고 언어를 선택하는 것 세계화의 시대. 논문을 비롯한 글은 모국어인 국문으로만 쓰는 시대가 더 이상 아니다. 대학에서는 영어권 논문을 장려하여 국문 논문을 평가절하 하는 경향도 있지만 결국 논문은 독자의 열독율과 실제로 식자층에 던지는 임팩트를 보고 써야 하므로 주제에 따라 언어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사안에 따라서는 영어로 써 봐야 아무도 안읽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야요이인의 기원문제.이런 주제는 영어로 써 봐야 읽지도 않는다. 이해 당사자가 한국인과 일본인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논문은 한국어 혹은 일본어로 쓰야 하며 그안의 세부 주제에 따라서는 한국어와 일본어 둘 중에서도 선택해야 할 때도 있다. 필자는 앞으로 야요이인의 기원에 관련하여 장기간에 걸쳐 연구를 수행하여그 결과를 글로 발표할 것인데, 거의 대부분을 일본.. 2024. 9. 13. 60 이후의 글: 학계가 아니라 시간에 묻는것 60이전의 글은 학계를 보고 쓴다. 내가 대화를 나누는 상대는 학계다. 60이후의 글은 학계를 보고 쓰는 것이 아니다. 시간을 대면하며 쓴다. 주변의 선학들 의견을 들어보면 연구가 온전한 정신으로 가능한 나이의 한계는 75세다. 그 이후의 글은 후세의 평가를 생각하면 완성도의 측면에서 안 쓰는 게 더 낫다는 뜻이다. 따라서 황금같은 60세 이후 15년을 학계로 상대로 쓰면서 낭비할 수는 없다. 공부하는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 어느 시점에서는 학계와 심리적으로 절연하고 시간만을 앞에 두고 대면하면서 글을 쓸 각오를 해야 한다. 이 시점이 되면 독자는 시간이며 내 앞에 놓인 것은 팩트 그리고 펜과 종이만 남는다. 2024. 9. 13. 잡곡농사보다 도작이 우월한 것이 아니다 잡곡농경과 도작농경의 생산성 차이는 필자가 보기엔 한반도의 경우, 연작 가능성 유무에 달려 있었을 것이라 본다. 다시 말해 잡곡농경 자체가 도작 농경보다 열등한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것이 아니라 척박한 한반도 환경에서는 순수 잡곡농경으로는 연작이 도저히 불가능하여 떠돌이 화전농경을 극복할 수가 없었던 것. 그것이 이유라고 생각한다. 같은 잡곡농경이라도 황하유역처럼 범람으로 특별한 시비없이도 매년 연작이 가능한 땅이라면, 당연히 문명이 일어난다. 신석기시대 잡곡농경만으로도 세계적 수준의 문명이 황하유역에서 일어난 이유 그리고 청동기시대 도작이 시작되면서부터에야 문명이 한반도에서 일어난 이유는 잡곡과 농경의 생산성 차이가 문제가 아니라 결국은 무논과 연작 가능성, 한반도의 척박한 토질조건 등 이런 부분이.. 2024. 9. 12. 논과 밭의 차이 우리는 한국사에서 도작과 함께 한국사 수준의 일약 도약이 이루어졌다고 인정한다. 하지만 왜 도작이 전작에 비해 그렇게 우월한지 설명이 명쾌하지 않다. 땅을 갈아 씨만 뿌리면 자라는 줄 아는 전작에 비해 도작은 논도 만들어야 하고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어야 하니 전작보다 우월하지 않겠냐 막연히 짐작할 뿐이다. 그런데, 실제로 전작은 땅만 갈아 씨만 뿌리면 이루어지는 농사가 아니다. 전작을 수준있게 짓는 데는 많은 노력과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시비기술이 발달하지 않은 상고시대의 전작이란 그렇게 만만한 것이 아니다. 전작이란 결코 씨 뿌리고 사냥 다니다 돌아와서 추수만 하면 되는 그런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전작도 도작만큼 노력과 기술이 필요한 농경기술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도작과 함께 일약 생산성의 도약.. 2024. 9. 12. 논농사는 매년 일으키는 인위적인 홍수와 같다 문명중심 지역 특징 중 하나가 하천의 범람이다. 특별한 시비 없이도 매년 새로운 토양이 밀려 내려오고 축적된 노폐물이 쓸려 나가 생산성 높은 농사를 연작하는것이 가능해진다. 신석기시대, 아마도 한반도의 농부들이 척박한 지력을 극복할 길이 없어 정기적으로 화전을 통해 간신히 농사짓던 시절에도 황하유역이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찬란한 문명이 탄생한 것은 이 때문이다. 그래서 고대 문명은 황하의 선물이자 나일강의 선물이기도 하다. 한반도에서 무논 농사는 매년 인위적인 홍수를 일으키는 것과 같다. 무논에 물을 넣었다 빼고, 상류에서 흘려 내려오는 토양과 거름 성분을 잡아 논안에 가둠으로써 인위적인 홍수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주어 비로소 이전의 정처없는 화전 떠돌이 농경을 종식시킬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이루었다는.. 2024. 9. 12.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33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