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4

봉래각 이야기(3) 도래인을 직시해야 한국사도 보인다 필자가 느닷없이 가보지도 않은 봉래각 이야기를 적은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사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도래인을 부정하기 힘든 역사다. 청동기시대부터 역사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할 때까지 끊임없이 외부로부터 문화의 유입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청동기문화도 중국 황하문명과 다르다는 것이지 그것도 한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농사도 그렇다. 잡곡, 도작 모두 외부 기원이다. 한반도로 들어온 사람들의 시기가 문제일 뿐이지 도래인을 부정해서는 역사 자체가 성립이 안 된다는 뜻이다. 일본사를 보면-. 나름 열심히 치밀하게 역사를 쓰려 하는 그네들이 항상 꼬이는 부분을 보면 도래인과 도래문화가 있다. 뻔한 내용을 감추려고, 적당히 덧칠을 하려고 하니 항상 꼬이는 것이다. 이건 일본사만 그런 것이 아니다. 한국사 역시 마찬.. 2024. 6. 30.
봉래각 이야기 (2) 바다 건너 선경仙景을 찾는 사람들 이 봉래각 이야기를 왜 느닷없이 꺼냈는가 하면,우리는 흔히 주민 이동을 이야기할 때 그 원인으로 전란으로부터의 도피, 인구압에 의한 이주, 이렇게 원래 살던 곳에서 밀어내는 원인만 찾기 쉽다. 그런데-. 산동반도에서 요동반도를 거쳐 한반도로 들어오는 이 사람 중에는필자가 보기엔 반드시 그런 사람들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왜? 이 산동반도 일대에 아주 아주 오래전언제부터 있었는지도 모르는 바다 건너엔 신선이 산다는 믿음이 있었다는 증거의 편린이史記만 봐도 언뜻언뜻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이 발전하고 발전하여 만들어진 것이 결국 진시황의 불로초 수색이라 할 수 있을 것인데, 불로초를 찾아 떠난 서복(혹은 서불) 일행이 황해를 건너 어딘가 있을지 모르는 선경에서 불로초를 얻어 귀국하는 것이 표면상의 .. 2024. 6. 29.
봉래각 이야기 (1) 봉래각이라는 곳이 있다. 참고로 말하자면 필자는 여기 가 본 적이 아직 없다. 하지만 산동반도는 한국 관광객이 많이 가는 곳이고 이곳은 중국의 명승지로도 이름이 높아 아마도 많은 분이 다녀왔을 것이다. 갔다오지도 않아 놓고 뭔 봉래각 이야기를 하느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필자가 봉래각을 주목하는 것은 이 일대가 한반도로 도작이 들어온 도해지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봉래각에서 보면 북쪽으로 섬들이 이어지는데 이 섬들 사이의 거리는 서로 바라 보일 정도로 가까와 이 섬들을 따라가다 보면 요동반도 남단에 닿는다. 이 요동반도 남단에서 방향을 돌려 바다를 끼고 조금만 남하하면 바로 평양이다. 평양 일대에서는 한반도에서 아주 이른 시기 유적에서 다른 잡곡과 함께 쌀이 나왔다. 필자는 요서지역에서 출발한 잡곡문.. 2024. 6. 29.
삼부작...Trilogy 완성을 꿈꾸며 반지의 제왕에는 Trilogy가 있다. 스타워즈도 그렇다. 내 비록 평생 한 것 내세울만 한 것은 없다만, 나도 Trilogy로 완성해야겠다. Archaeopress 첫 번째 단행본은 필자 연구실 인도 조사 결과에 대해서 였는데 https://www.archaeopress.com/Archaeopress/Products/9781803275918 https://www.archaeopress.com/Archaeopress/Products/9781803275918Contents Preface Chapter 1: Introduction to the Harappan Culture: recent perspectives – Vasant Shinde Chapter 2: The Rakhigarhi Archaeologica.. 2024. 6. 28.
던져둔다고 농사가 될까? 직파의 의문 흔히 나오는 이야기 중에 직파直播라는 것이 있다. 간단한 초보적 농경 기법으로 설명하는 것 중에 그냥 씨를 밭에 뿌려 키운다는 말이다. 그런데 말이다. 직파 한 후에 내 던져둬서는 이게 과연 추수가 될까? 직파. 이걸 초보적 농경이라고 부른다면, 역시 밭에 씨를 뿌리고 김이나 좀 매주고 키운다 이것일 텐데.그래서 초보적 농경, 원시적 농경이라 이 말일 텐데. 문제는 이렇게 직파만 해가지고는 수확철까지 가지도 못했을 것이라는 말이다.  초보적농경으로 직파를 이야기 하기 이전에 밭에 씨를 뿌려 내던져두면 과연 저절로 곡식이 여무는가부터 한번 보는게 좋겠다. 무슨 소리인고 하니. 직파한다고 해서 절대로 원시적 농경, 초보적 농경은 아니라는 말이다. 직파를 했건 뭐를 했건 기본적으로 노동력이 투하되지 않으면 곡.. 2024. 6. 25.
고구려는 천리장성을 왜 쌓았을까? 역사상 장성은 여러 문명권에서 여러 번 있었다. 잘 아는 중국 전통왕조의 만리장성, 우리 고려시대의 천리장성 (여진족에 대하여 쌓은)그리고 심지어는 로마가 브리튼과 게르만에서 쌓은 장성에 이르기까지. 이런 장성들은 특징이 있다.  공격에 대한 방어의 이미도 있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편과 저편의 분리이며자기 영토안을 자꾸 침투해 들어오는 이민족과 우리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자 함이 더 크다는 말이다. 그렇게 놓고 보면, 고구려의 천리장성이 요하 유역에 저렇게 지어놓는 것이 장성의 용도에 충실한 축성이었을까? 중국으로부터의 침투는 슬금슬금 이민족이 흘러들어와 점유하는 게 문제가 아니고 대규모 군사공격에 의한 것이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오히려 고구려 천리장성이 연변지역에 축조되었다면이는 당시 말갈과 이쪽을.. 2024. 6.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