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6

100년이면 따라가는 양국사 한국과 일본의 역사는 서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교류도 하고 치고 받기도 하면서 여기까지 왔는데, 재미있는 것은 양국 격차가 아무리 벌어졌더라도 100년이면 따라간다는 것이다. 서기 7세기 후반-. 한반도의 삼국통일로 일본이 한국으로 부터 문화적 보급이 어려워졌을 때 이들은 잘 알다시피 대양을 건너 당나라로 바로 유학하는 길을 택했는데, 그 결과 평균적으로 견당선 두 척 중 한 척은 난파하였다는 것이지만, 반면에 서기 8세기 이후 나라-헤이안시대에는 빠른 속도로 한반도와의 격차를 좁혀-. 잘 알다시피 나라박물관에 가보면 8세기만 해도 일본은 한반도와 별 차이가 없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된다. 시대를 바꾸어 일본이 전국시대에 종지부를 찍고 에도시대가 시작되자 조선의 문예 수준을 쫒아가는데 딱 100년이면 됐.. 2024. 2. 10.
대장, 중장, 소장의 기원 지금 한국군 (북한군 포함) 계급체계에서 대장, 중장, 소장 등의 명칭은 사실 그 기원이 일본 헤이안시대 율령체제의 영외관 (율령체제에서 시행되었지만 율령에서 규정되지 않았던 관위)에 있다. 이 시대에 고급 무장이 이름에 대장, 중장, 소장이 있고 이런 명칭은 전국시대를 거쳐 메이지시대까지 이어진 것이 구 일본군 계급 체계다. 한국 전통에서 보자면 대한제국 시대의 대장, 부장, 참장이라는 명칭이 더 맞는 것 같다. 한국은 대한제국 시대에는 대장, 부장, 참장의 명칭을 쓰다가 경술국치 이후에는 일본군의 대장, 중장, 소장 전통 영향을 받게 되었고, 해방 이후에는 미국 영향을 받아 장군이 소, 중, 대장이 아니라 지금처럼 4단계로 바뀌게 되었다고 본다. 그렇다고 이미 건국 70년이 지났는데 이걸 지금 무리해.. 2024. 2. 9.
내가 있건 없건 잘 돌아가는 세상 자기 일에 대한 긍지가 강한 사람일수록 자신이 없으면 세상이 망하는 줄 안다. 그런데-. 사실 그렇지는 않다. 어쩌면 당신이 더 잘 될 세상을 앞에서 막고 있었을 수도 있다. 젊은 친구들이 미덥지 않다고 하지만 그 친구들이 사실 당신 때문에 더 발전을 못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 긴가민가 하다면 한 번 슬쩍 일년만 일에서 빠져봐라. 아마 그래도 잘 돌아갈 것이다. 그때가 바로 그 일을 접을 때다. 앞에서 자기가 가로 막고 있으면서 빨리 자신을 밟고 나갈 후진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말 하지 마라. 한가지 위안은 뭔가 하면, 그렇게 정리하고 세상에 뭔가 도움이 되는 일이 더 없을까를 찾아보면 의외로 다른 할 일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것이 이전에 있었던 일에 대한 집착 때문에 보이지 않았을 뿐.. 2024. 2. 8.
塚이라는 명칭은 타당한가? 우리 고분 중엔 총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황남대총, 천마총 등이 있는데-. 塚이라는 이름을 이런 왕릉급에 붙이는 것이 타당한가? 필자는 문외한이라 자세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塚이란 명칭에 대해서는 조금 고찰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 일단 우리의 경우 塚은 규모를 막론하고 왕릉이나 왕족의 무덤이 아닌 무덤을 가리키고 있음은 왕조실록만 봐도 알수 있다. 일본의 경우는 塚이라고 하면, 무덤이라는 일반적 호칭 외에 좋지 않은 의미로도 많이 붙인다. 대표적인 것이 미미츠카 耳塚 그리고 더욱 유명한 것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카인 2대 관백 히데쓰구를 할복시키고 그 일족을 모두 죽여 묻었다는 畜生塚 혹은 悪逆塚이 있다. 이 경우 히데요시는 히데쓰구를 할복시킬 때 그의 문란한 사생활도 널리 선전하여.. 2024. 2. 7.
가정에서 분리해야 하는 추모, 제사의 문제 조선시대에 유교 가례가 관철되면서 이전까지 장례와 납골 관련하여 개인이 아니라 사찰에서 담당하던 의례가 가정으로 들어와 버렸다. 무슨 말인고 하니 가례가 관철되기 전에는 어른이 돌아가시면 모시는 의례와 행사는 대부분 사찰에서 진행되었던 것이 가례 이후에는 온전히 가정의 몫으로 들어와 버렸다는 말이다. 일본에서는 전혀 가정에서 준비하는 의례가 아닌 추모행사가 한국에서는 온가족이 모여 가사노동의 형태로 남게 된 것은 이 때문이다. 이것이 과거처럼 농경사회로 어차피 집에서 타작도 하고 밥도 하고 부침개도 부치던 시절에는 문제가 안 되었겠지만, 지금은 평소에도 밥을 집에서 잘 안 해먹게 되면서 온전히 명절 때 노가다로 추모행사가 남게 된 것이다. 가례 도입 이후 때 아닌 가내 가사노동의 형태인 조상추모행사로 변.. 2024. 2. 6.
제사, 미련없이 없애야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340001 부모 기일 상관없이 제사 한번에…경북 안동 종갓집도 변했다제사 시간은 오후 11시 이후에서 7시로 당기고, 따로따로 지내던 부모 제사는 한꺼번에 지낸다. 제사 모시는 대상도 4대(고조)에서 2대(조부모)로 축소했다. 조상 제사 전통을 비교적 충실히 지켜n.news.naver.com 복잡하게 할 것 없고 그냥 없애면 됨. 부모기일도 없이 한번에 해도 되고 4대조에서 2대만 해도 되는 것이면 안 지내도 되는 것 아닌가? 필자가 항상 하는 이야기지만 유교식 제사는 16세기 이후 주자가례 도입으로 비로소 한국사회에 관철된 것으로 언제 없어져도 이상할 것이 없는 풍습임. 특히 필자 세대에 유교식 제사는 정리하는 것이 옳다. 다음.. 2024.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