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5 "이미 알고 있었다"는 것에 대하여-2 전술한 "이미 알고 있었다"는 것이야 말로 콜럼버스 달걀 같은 것이어서 애매한 부분이 있다. "알고 있어도 아는 것이 아닌 경우"가 꽤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직지를 보자. 직지가 금속활자일 가능성이 있다는 건 직지 내용을 통독하면 당연히 알았을 것이다. 직지가 프랑스에 있다는 것도 몰랐을 당시 국내 학자들을 제외하면, 프랑스 도서관의 사서들은 당연히 알았겠지. 통독하면 마지막에 써 있지 않나. 책 말미에 써 있잖나. 청주목 외 흥덕사 주자 인시 淸州牧外興德寺鑄字印施 라고. 그러니 이게 활자, 특히 주자라는 걸 금속을 부어 만든다는 뜻이라면 당연히 금속활자일수 있다는건 당연히 짐작했을 것이라는 말이다. 20세기 초반 프랑스에서 이미 이것이 세계최초의 금속활자일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왔다는건 아마 딱.. 2023. 4. 15. 개항 당시 조선의 상황과 일본의 그것, 그리고 난학蘭學 나라 밖 세상 돌아가는 것을 제대로 아는 사람이 백 명 만 있었어도 아마 조선은 식민지화를 면하고 자주적 근대화를 모색할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1876년 개항 이후 망국까지 34년. 길다면 길다고 짧다면 짧다고도 할 수 있는 기간이긴 한데, 나라밖 세상을 전혀 모르고 개항한 나라에게는 너무 짧은 시간이었다 하겠다. 왜 한국은 실패하고 일본은 성공하였는가. 일본은 서구와 비슷한 역사를 걸었다는 말도 안 되는 주장도 옛날에는 횡행했지만, 결국은 조선후기에는 없던 에도시대 난학의 존재가 양자의 차이를 결정했다고 본다. 해방 후 70년간 한국이 걸어온 경로와 성취를 본다면, 아마 개항 이후 한국이 메이지시대 일본처럼 나아갈 방향을 정확히 아는 사람들이 조종간을 잡고 있었다면, 전혀 다른 역사가 전개되었으.. 2023. 4. 15. 학계에서 소위 "원래 다 알던 이야기"라는 소리 필자는 연구 주제가 워낙 오타쿠 스러운지라 발표를 하면 "원래 다 알던 이야기"라는 소리 들어본 적이 몇 번 없다. 듣는 쪽도 처음 듣는 소리거든. 그런데 필자가 이런 오타쿠 스러운 이야기만 한 건 아니고, 가끔 다른 주제로 논문을 쓰다 보면 돌아오는 이야기 하나가, "이건 원래 다 알던 이야기"라는 것이다. 알긴 뭘 알아? 관련해서 나온 논문 하나 없던데. 검색해도 논문 한 편 없는데 그럼 알면서 지금까지 학계에서 이야기도 안 했다는 소리임? 이것이 큰 병폐인데, 간단히 써보면, 첫째는 발표된 논문 한 편 없는 주제를 가지고 "이건 다 알던 이야기"라고 우기는 것. 두 번째는 소위 말하는 학계 주류가 아니면 아무리 일찍 그 주장을 하더라도 없는 것으로 씹고 인용도 안 하는 것. 학계라는 건 公器다. 처.. 2023. 4. 14. 광개토왕비의 "신래한예": 동부여는 어디인가? (2) 광개토왕비에 의하면 광개토왕릉 수묘는 왕이 정복전에서 잡아온 사람들을 쓰도록 했다. 이에 관하여 비에 나와 있는 사람들이 바로 "신래한예"인데 어딘가의 정복전에서 잡아온 사람들일진데, 앞의 "한"은 분명히 백제에서 잡아온 사람들일 터, 문제는 뒤의 "예"가 어디서 잡아온 사람들일까? 광개토왕비 정복전을 보면, 신래한예의 "예"에 딱 맞는 사람들은 동부여 외에는 없다. 396년: 백제 토벌 398년: 식신 토벌 399년: 신라원조 404년: 왜와 대방에서 전투 407년: 확실치 않은 지역에서 전투 410년: 동부여 정벌 그렇다면 동부여가 "예"일까? 신래한예의 "예"는 두만강 유역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일까? 사실 이 동부여에 대해서는 그 실체가 두만강 유역이 아니라 삼국지의 "동예"와 같은 것이라는 주장을.. 2023. 4. 13. 광개토왕비: 동부여는 어디인가? (1) 광개토왕비에는 "동부여"가 나온다. 동부여는 흥미로운 나라다. 삼국지 동이전에는 동부여가 없다. 동예, 옥저, 읍루까지 나오는데 동부여는 없다. 현재 한국학계 통설에서는 동부여란 연변 지역이다. 여기 있었다면 왠만하면 삼국지 동이전에 기록이 나올 것 같은데 없다. 현재 동부여 위치를 두만강 하류 일대에 비정한 지도를 보면 동부여 위치가 옥저하고 읍루 사이에 끼어 있다. 그런데 삼국지를 보면 옥저와 읍루 사이에는 동부여가 없고 두 세력은 서로 접경하고 있다. 동부여는 한국측 기록에만 나오는 실체이다. 필자가 아는 한 삼국사기에 나오는 기록이 거의 유일하다. 그렇다면 동부여라는 나라는 그 실체가 모호한 것 아닌가 싶은데 흥미로운 부분이 있다. 광개토왕비에 동부여가 나오는 것이다. 그것도 아주 자세하게 나온다.. 2023. 4. 13. 세형동검이 수 백개는 녹아 들어갔을 성덕대왕신종 우리나라는 알다시피 구리가 잘 안 난다. 청동기시대 위세품으로 동검과 함께 석검이 많이 쓰인 것도 그런 이유일 터다. 뭔가 폼잡을 게 필요한데 구리가 워낙 안 나다 보니 석검으로 만들어 차고 칼자루만 세형동검처럼 위장하지 않았을까. 지난 주말에 학회를 참석하고 시간이 남아 경주박물관을 들렸다. 성덕대왕신종이 보였다. 그 규모에 새삼 놀라면서도 도대체 저 구리가 어디서 났을까 궁금해졌다. 아마 구리를 사오기도 했겠지만, 전해 오는 고물 청동기물도 많이 저 종 안에 녹아들어가지 않았을까. 에밀레 종 전설처럼 스님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시주를 받았을때 아마 돈을 내놓고 전답을 내놓은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청동기물을 내 놓은 사람도 많았을 것이다. 내 생각에 성덕대왕 신종에는 그때까지도 전해오던 세형동검 수 백.. 2023. 4. 13. 이전 1 ··· 239 240 241 242 243 244 245 ··· 33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