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몽고 요나라 무덤이 드러낸 거란문화
내몽고 요나라 무덤이 드러낸 거란문화
내몽고자치구문물고고연구원内蒙古自治区文物考古研究院이 근자 内蒙古 개로현开鲁县 항원목장恒源牧场에서 요나라 시대 문화를 증언하는 이 시대 무덤 세 기를 발굴했다고. 그 성과가 중국
historylibrary.net
앞서 내몽고 개로현开鲁县 항원목장恒源牧场이라는 데서 거란 요나라 시대 무덤 3기가 발굴됐다는 소식을 전했으니, 찾아 보니, 이 발굴과 관련한 조금은 더 자세한 정보를 웹서칭 중에 발견했으니
그에 의하면 이 항원목장 요묘辽墓는 통화시通辽市 개로현开鲁县 동풍진东凤镇 금보둔촌金宝屯村이라 하며, 신개하新开河와 서요하西辽河라는 강이 흘러가며 형성한 충적평야지대에 위치하고
东으로 복거고성福巨古城(요룡화주辽龙化州)라는 데서는 25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한다.

2022년 10월 7일, 항원목장이 건설 공사를 위한 흙을 채취하던 중에 무덤 2기를 발견하고서는 내몽고자치구 문물국文物局에다가 보고하면서 알려졌단다.
이에 내몽고자치구문물고고연구원内蒙古自治区文物考古研究院은 개로현박물관开鲁县博物馆과 연합 조사대를 조직해 발굴작업을 개시한 결과 새로운 무덤 하나를 더 찾아내기에 이르렀단다.
앞에 첨부한 사진은 그들 세 무덤이 한 군데에 나온 장면이다.

이쪽도 우리랑 마찬가지로 대개 발견 순서에 따라 유적 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아는데, 1호묘라 명명한 데는 장축이 남북 방향이고, 머리는 아마도 북쪽으로 둔 듯한데, 무덤 안과 밖을 연결하는 통로인 묘도墓道가 없다.
묘실은 평면 장방형长方形이며, 묘벽墓壁과 바닥은 모두 长条 砖砌筑했다는데, 아마도 길쭉한 벽돌을 깔거나 쌓았다는 뜻이 아닌가 싶다. 묘실 동쪽 벽에는 벽돌로 만든 작은 이실耳室이 있고, 서쪽 벽에는 그 반대편 작은 이실耳室과 대칭하는 벽감壁龛이 있다고 한다.
묘실 중아에서 채회彩绘한 목관이 발견된 단인장单人葬이며, 묘주墓主는 청년 남성이고 머리는 북쪽으로 뒀단다.
수장품随葬品으로는 은질두고银质头箍·마갈형금이추摩羯形金耳坠·동경铜镜·동류금접섭대铜鎏金蹀躞带·은류금계지银鎏金戒指·동류금마구铜鎏金马具·도기陶器·철기铁器·칠기漆器 등이 있다.

2호묘는 장축이 동남 방향이며 묘도墓道와 용도甬道와 묘실墓室로 구성된다. 묘도墓道는 사파형斜坡形이고 용도甬道와 묘실墓室은 모두 长条 砖垒砌했다.
묘실은 평면 방형方形이며, 천장은 궁륭穹窿이지만 이미 파괴된 상태다. 네 벽면 모두 条砖砌筑하고 점토를 발라 사이를 채웠다. 묘실 바닥과 관상棺床은 长条 砖平铺砌筑하고, 관상棺床 위에는 목관을 안치한 단인장单人葬이고, 묘주墓主는 청년 여성, 인골은 보존 상태가 较差하다。
수장품으로는 도기陶器·마노관항식玛瑙管项饰·동류금수촉铜鎏金手镯·백유완白釉碗·백유분白釉盆·흑유병黑釉瓶·녹유계관호绿釉鸡冠壶·칠기漆器·골기骨器·철기铁器 등이 있다.

3호묘는 2호묘와 같은 장축 동남 방향이며, 묘도墓道·용도甬道·묘실墓室·이실耳室로 구성된다. 묘도墓道는 사파대계식斜坡台阶式이다.
묘실은 평면 방형方形이며, 궁륭정穹窿顶이며, 그 바닥과 관상棺床은 长条砖平铺砌筑했다.
묘실 북쪽에는 벽돌로 쌓은 관상棺床이 있고, 관상 위에는 채회彩绘 목관木棺을 두었다. 단인장单人葬이며, 인골은 보존상태가 极差하다.
수장품으로는 금화은개관金花银盖罐·동잔탁铜盏托·마갈형금이추摩羯形金耳坠·마노환玛瑙管과 동류금식铜鎏金饰 건으로 조성한 영락식건璎珞饰件·동류금접섭대铜鎏金蹀躞带·은류금계지银鎏金戒指·은류금비구银鎏金臂鞲·동착금마구铜鎏金马具·동경铜镜·동전铜钱·검초剑鞘가 있는 철검铁剑·골기骨器·철촉铁镞·도기陶器·칠기漆器 등이 있다.
조사단 평가에 의하면 1호묘와 3호묘는 선명한 거란契丹 특생이 있고, 또한 농후한 당대唐代 유풍이 있다 하는데, 글쎄다 그것이 무엇을 말하는지 선뜻 동의하기는 어렵다.
그 묘장 형식이라든가 수장유물随葬遗物은 이미 조사된 토이기산吐尔基山 요묘辽墓와 상당히 흡사한 대목이 많아 응당 요辽나라 시대 조기에 속하는 것으로 보며, 구체적으로 연대는 태조太祖와 태종太宗 연간(916~947)일 것이며, 2호묘는 요나라 중기, 대략 경종景宗 혹은 성종圣宗 연간(969~1031)으로 본다.
이들 들 3座墓는 보존 상태가 좋고 출토유물이 풍부하여 당조唐朝의 契丹에 대한 经济文化 영향과 거란 건국 이후의 문화 转型에 중요한 고고자료를 제공한다고.
앞 정보는 아래 보도 자료에 의거한다.
https://www.163.com/dy/article/I0MQH8LK0553PY1V.html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황남동 120호분 발굴현장 공개 (0) | 2023.04.10 |
---|---|
Underwater excavation in Yellow Sea starts (0) | 2023.04.10 |
왕비의 계곡 매핑 프로젝트 공식 사이트 출범 by 유성환 (0) | 2023.04.09 |
산서성 원곡에서 발견됐다는 금나라 시대 무덤 (0) | 2023.04.09 |
내몽고 요나라 무덤이 드러낸 거란문화 (0) | 2023.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