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라 이야기/마왕퇴와 그 이웃149

[가의賈誼] (2) 황제의 뚜레펑! "당시 가생이 나이는 20여 세로 박사 중 가장 어렸지만 조령詔令을 논할 때마다 여러 선생이 대답하지 못하는 것을 가생은 거침없이 대답할 수 있었고, 사람들이 말하고자 하나 나타내기 어려운 것도 마음껏 구사하니 여러 선생들도 자신들이 가생한테는 재능에 미치지 못함을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사기 가생 열전에 보이는 한 구절이다. 그러면서 열전은 "효문제孝文帝가 이를 옳더니 하면서 1년 만에 가생을 태중대부太中大夫로 파격 발탁했다"고 한다.한나라 시대 공무원 직제를 정리한 한서汉书 백관공표百官公卿表에 의하건대 낭중령郎中令이라는 공무원 조직 소속 공무원으로 태중대부太中大夫 등이 있으니 연봉[秩]은 천석千石에 견주었으며 의론议论, 곧 간쟁을 관장했다고 한다.뭐 너무 자세히 들어가면 너무 복잡하고[실은 내가 아.. 2025. 4. 14.
[가의賈誼] (1) 스폰서 잘 만나 벼락출세했지만... 전한前漢 초기 문사로 이름을 잠깐 날리다가 훅 간 가생賈生은 성이 가賈씨인 것만은 분명한데 생生이 자인지, 아명인지 등등은 불명하거니와, 아무튼 그 행적이 사뭇 굴원과 비슷하다 해서 사마천이 사기에서 그와 한묶음해서 열전에 같이 올린 그를 두고 의誼가 이름이며, 낙양洛陽 사람이라 했으니, 본명을 합친 풀네임은 가생보다는 가의였던 듯하다. 그가 출세한 계기를 같은 사기에서는 18세 때 "시를 외우고 글을 잘 지어 고을에 명성이 알려졌다" 하거니와, 예서 그 고을은 그가 태어나고 자란 낙양을 말한다. 이 무렵 전한 왕조에서 낙양은 제1 수도는 아니었지만, 제2 수도로서 인구가 몰리고 인재 또한 넘쳐 났으니 그런 동네서 천재 소문을 들은 모양이다. 이 무렵 저 지역 지자체장 중 한 명으로 하남河南이라는 고을을.. 2025. 4. 13.
[마왕퇴와 그 이웃-116] 가난한 장사국, 화려한 대후의 무덤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마왕퇴 한묘가 조성될 때까지도 이 지역 장사는 인구도 많지 않은 제국의 변방 지역에 불과했다. 서한 시대의 인구밀도를 추산한 결과를 보면, 당시 황하유역 인구밀도는 평방킬로미터당 50-100명 사이였는데장사국 인구밀도는 같은 면적에 겨우 3.3 명이 살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앞서 말한 가의가 기원전 174년에 쓴 글을 보면, 한나라 초기 장사국 총 가구수는 겨우 25,000여 호 정도로 총 인구는 기껏해야 11만-12만 정도로 추산될 뿐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장사국은 당시 한반도에 있던 낙랑군, 현도군 보다도 훨씬 적은 제후국이었던 셈이다. 시기는 좀 늦지만 후한 원시 2년 (서기 2년) 당시 낙랑군 인구수는 40만 명이 넘어 있었고, 현도군도 20만이 넘는 인구가 있었.. 2025. 4. 12.
[마왕퇴와 그 이웃-115] 들판에 가득했던 물소떼 장사국에는 사육소로 인도혹소를 키우고 있었으리라는 이야기를 했다. 그러면 들판에 있던 야생동물 중에는 어떤 것이 있었을까? 묵자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墨子·公輸》 “荊有雲夢, 犀, 兕, 麋, 鹿滿之.” 운몽택에는 犀, 兕, 麋, 鹿 등 동물이 가득했다는 것이다. 이 중 犀는 코뿔소다. 麋는 사슴 사촌쯤 되는 사불상,鹿은 사슴이다. 그러면 兕는 무엇일까?옥편을 보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코뿔소, 혹은 외뿔소라고 해 놓았는데,뿔이 하나 달린 전설상의 동물이라는 설명도 있다. 물론 틀린 이야기는 아닌데, 코뿔소는 당시 犀라는 한자가 따로 있었다. 그리고 외뿔소라는 전설상의 동물도 아니다. 나중에는 兕가 뿔 하나 달린 전설상의 맹수가 되어버렸지만전국시대까지만 해도 그런 전설상 동물이 아니라실제로 야생에서.. 2025. 4. 12.
[마왕퇴와 그 이웃-114] 장사국에서 키우던 인도혹소 마왕퇴 한묘가 나온 장사국 주변-. 앞에서 말 이야기는 한 번 했고여기서는 소 이야기를 좀 해 볼까 한다. 중국 소는 크게 두 종류다.하나는 혹 없는 소. 또 하나는 혹이 있는 소. 중국 대륙에서 혹 없는 소는 서역에서 황하유역으로 흘러 들어왔고 혹 있는 소는 인도에서 동남아시아를 거쳐 북상하여 올라왔는데이 두 종류 소가 만난 곳이 회하 유역이다. 따라서 장사국 주변에는 당시 혹 없는 소보다는 혹 있는 소가 더 많았을 것이다. 아래 지도를 보면 확실하다. 장사 주변에는 인도에서 유래한 혹소가 지금도 더 많기 때문이다. 2025. 4. 12.
[마왕퇴와 그 이웃-113] 경이로운 운몽택 은허에서 나온 야생동물 뼈를 보면 상나라 때까지도 그 일대는 야생동물이 어마어마하게 많이 살던 곳임이 틀림없지만서주-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면서 황하 지역은 인구가 급증하여 야생동물도 이전에 비해 급감한 듯하다.이 때문에 황하지역은 늘어나는 인구 때문에 가축도 우리에 가둬 사육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동물이 바로 돼지다. 중국에서 처음 사육이 시작된 가축 중 가장 대표적인 예가 돼지인데이 돼지는 황하유역에서 그 사육이 가장 빨리 이루어졌다. 이 지역 돼지는 잡곡을 주로 드시며 성장했는데사람의 인구밀도가 높아 가둬 기르며 키웠기 때문에사육돼지의 형태적 특징이 주변 다른 지역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었다. 중국도 양자강 유역만 해도 돼지를 가둬 키우지 않고 풀어 놓고 길렀기 떄문에야생 멧돼지의 특징이 완전히 사라.. 2025. 4. 12.
반응형